playXP

서브 메뉴

Page. 645 / 645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닭별]
작성일 2010-07-30 16:14:00 KST 조회 1,842
제목
[리뷰/공략] 연결체 부시기 대물량전 V1.0

이글은 7월 30일 현제 인기맵 상단에 있는

파일포켓 이미지

연결체 부시기 대물량전에 관한 리뷰 입니다. (연결체 부시기는 편의에 의해서 넥뿌라 통칭하겠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살펴 봐야할 유닛들 부터 소개 하겠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1레벨 유닛들입니다.


파일포켓 이미지

먼저 저글링/바퀴/히드라/마린/불곰

파일포켓 이미지

그리고 화염차/광전사/추적자/파수기/불사조가 넥뿌의 기본 유닛인 1레벨 유닛들입니다.


1레벨에서는 주로 불곰이 제일 많이 사용 되며 가장 강력합니다.


불곰의 상성이라고 보이는 저글링은 그다지 힘을 못씁니다.


레더와 다르게 불곰의 숫자가 많기도 하지만 3명다 불곰을 생산 하였을 시에 그 물량은 장난이 아니기 때문에


제압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선택하는게 보통 맞 불곰이긴 하지만. 오로지 이쪽도 전부다 불곰을 가는것 보다는 광전사나 추적자를 이용하는것도 상당히 괜찮은 방법 입니다.


* 상대가 3불곰인데 땡 광전사 가는것보다 조합하는게 상당히 좋습니다.



그외 1레벨에서 주의할점은 별로 없으며 다만 화염차를 사용할때는 상대 유닛 바로 앞 까지


무빙으로 움직인후 공격하는게 좋습니다.


이방법을 사용한다면 불곰/추적자/바퀴를 제외 한 1레벨의 어떤 유닛이든 손쉽게 잡아 낼수 있으며


바퀴같은 경우도 운이 좋다면 이길수도 있습니다.





그다음 유닛을 많아 잡아 450점을 넘기게 되면 사용할수 있게 되는 2레벨 유닛들은


파일포켓 이미지

퀸/감염된테란/뮤탈/탱크/밴쉬

파일포켓 이미지

바이킹/집정관/불멸자/공허포격기/유령


이 2레벨 유닛들 입니다.


하나하나 설명 하자면


은 수혈 기능이 오토캐스팅 되면서 생각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감염된테란레더 보다는 상당히 강하지만. 그래도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뮤탈은 1레벨의 불사조에게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여 주고 다른 공중 유닛에 비해서 그다지 큰 효용성이 없어서 그런지 잘 안쓰입니다.


탱크는 우월한 사거리와 고데미지를 노리고 사용을 흔히들 하지만 이 역시 같은 2레벨 유닛인 불멸자에게 약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그리고 아군이 상당히 몰아 치고있는 상황이 아니면 그다지 많은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밴쉬는 레더와 비슷하게 지상에 괜찮은 데미지를 입히기 때문에 뮤탈 보다는 자주 보이긴 하지만 같은 레벨의 공허포격기 보다 덜 사용됩니다.  그래도 지상데미지가 상당하기 떄문에 방어타워 철거용으로는 상당히 좋습니다.


바이킹 또한 2레벨의 공중유닛으로써 공중유닛을 멀리서 공격 할수 있기때문에 유용한 유닛입니다. 하지만 유용 하다 할뿐 공중 유닛을 잡는것은 다른 캐릭터 들이 좋기 때문에 잘 사용이 안됩니다.


그다음은 집정관! 개인적으로 토르보다 더 자주 사용하고 애용 하는 유닛으로 엄청난 만능 캐릭터 이라고 생각합니다. 괜찮은 데미지와 공속으로 동레벨 레더 강자인 불멸자를 잘 잡기도 하며 미미한 스플래쉬지만 빠른 공속과 다수의 유닛으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 유닛잡는데는 집정관만한 유닛이 없습니다.


*토르와 비교 했을때는 어떠냐 나는 물음에는 개인적으로 더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이유는 짤방 보이는 사거리가 단점이라면 단점이겠지만 괜찮은 체력과 데미지 공속은 토르의 능력을 앞선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캐리어 배틀을 잡기 힘든것은 토르나 아콘이나 비슷하며 다만 토르가 앞서는것은 공허포격기가 상당히 뭉쳐 있을때만 토르가 원샷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르가 강해 보이는것 일뿐 넓게 퍼지거나 할때는 집정관이 좋습니다.


불멸자는 레더와 비슷하게 대형유닛 잡는데 좋습니다. 3레벨에서 자주 쓰이는 울트라를 잡는데 상당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사용 용도가 그것 말고는 별로 없기 때문에 생각보다 자주 안보이는 유닛입니다.


공허포격기! 공허짜응.. 공허 포격기는 3레벨 중첩시 데미지가 상당히 좋기 때문에 4레벨 유닛들을 잡는데 종종 쓰이며 건물 테러 할때 매우 애용 되는 유닛입니다. 하지만 2레벨의 집정관과 3레벨의 토르에게 약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조심히 사용 하여야 하는 유닛입니다. (뭉치면 1샷 다이도 가능합니다...)


2레벨 마지막 유닛 유령은 저격이 오토캐스팅이 가능하기때문에 생체유닛이나 체력이 적은 유닛을 잡는데 상당히 유용한 캐릭터 이며 은근히 데미지가 많이 들어가는 유닛입니다. 또한 캐리어의 인터셉터 잡는데도 유용 한 캐릭터 입니다.(단, 캐리어 사거리 외각쪽에서 인터셉터 하나하나 잡아주는 움직임이 필요함 그리고 저격은 오토캐스팅)


 



3레벨 유닛은 1050점을 넘기면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포켓 이미지

타락귀/울트라/감염충/전투순양함/토르

파일포켓 이미지

밤까마기/캐리어/거신/고위기사

가 있습니다.


타락귀는 레더와 마찬가지로 공중의 제왕이라 할수 있다. 캐리어를 잡는데 본체를 일일히 점사 해줘야 하는 귀찮음(?)이 있음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공중 유닛도 잘 잡으며 특히나 하이페리온/모선을 잡는데 상당히 좋은 유닛이다. 하지만 패치이후 모선과 밤까마기의 국지방어기 스킬이 있으면 데미지를 줄수 없으므로 그것은 딱하나 있는 단점이라고 말할수 있으며 이후 무리군주로의 변신도 가능하여서 좋은 유닛이라 할수 있다.

또한 무리군주는 토르에게도 약하지 않으며 레더의 명성을 쭉 이어오는 유닛이라 할수 있다.


울트라는 중후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지상유닛이며 대부분 공중전이 벌어지지만 언제나 그렇듯 지상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자주 보이는 유닛이다.


감염충, 이 유닛은 참 할말이 많은 유닛인데 일단 진균 번식은 캐리어의 인터셉터를 잡는데 유용하며 팀플 유닛이라 할수 있겠다. (* 2:3의 캐리어 싸움이라도 진균 번식이 제대로 연타로 들어가면 상대 인터셉터의 대부분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쉽게 제압 할수 있다.)


전투순양함/캐리어는 좋은 체력/방어력/데미지/스킬이 있어서 자주 사용되며 딱히 특징이라고 할만 한것은 없으며 타락귀에게 약한점이 단점이다.


거신/고위기사는 별다른 일이 없는이상 보기 힘드며 좋은 스플래쉬때문에 빠르게 3레벨에 혼자 올라온 사람이 가끔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다지 효능은 없다고 볼수 있는 유닛들이다. 하지만 고위기사의 환류는 토르나 전투순양함을 잡는데 유용하지만 그냥 냅두면 한 유닛에게 중복 시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아쉬운 유닛이다.




4레벨 유닛은 2000점 이상이면 사용할수 있고

각각 유닛의 포인트를 소모 하며 차감됩니다. 그러므로 아무때나 사용 하다가는 위험할수 있습니다.


4레벨 유닛은 어떻게 사용 하에 따라서 게임이 좌지 우지 되므로 하나하나 리뷰 합니다. 


맹독충

파일포켓 이미지

맹독충은 300포인트를 소모 하며 생산 가능하며

한기당 구조물에게 무려 300의 데미지를 줄수 있는 유닛입니다. 

그리고 맹독충의 숫자를 늘릴수 있는 증식 스킬이 있습니다.


사신

파일포켓 이미지

사신은 750포인트를 소모하며 소형유닛과 건물에게 좋은 데미지를 줄수 있는 유닛이며

일정시간 공중에 머물수 있는 스킬이 있습니다.

기습이나 끝내기 용으로 괜찮은 유닛입니다.


암흑기사

파일포켓 이미지

암흑기사는 사신과 마찬가지로 750포인트를 소모합니다. 

그리고 회피와 크리티컬 스킬이 있으며 데미지 또한 준수한 편이기에 3레벨 이하의 유닛을 상대 할떄는 유용하지만 동레벨 우버리스크에게 상당히 약한 모습을 보이므로 허무하게 사용 될수 있습니다.


우버리스크

파일포켓 이미지

우버리스크는 1000포인트를 소모하며
괜찮은 체력과 데미지 스플래쉬 그리고 건물 상대로 추가 데미지가 120이나 붙어 있는 상당히 좋은 유닛입니다.

특히나 피해반응촉수유기갑피 라는 스킬은 50% 확률로 데미지를 반으로 줄이며 공격자에게 소량의 데미지를 주는 스킬이고 은근히 안죽게 만드는 우버리스크의 스킬입니다.

상당히 공격적인 유닛입니다.



쉴드 1만 회복 

파일포켓 이미지

위급할때 사용이 편리하며 1000포인트를 소모합니다.

하지만 이미 이것을 사용할 정도면 많이 밀리고 있는 상태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위기의 순간에는 좋은 스킬이죠.



하이페리온

파일포켓 이미지

무려 2500 포인트 하지만 밥값은 해주는 유닛이며 7500이라는 우월한 체력을 바탕으로 공격 수비 시에 유용한 유닛입니다. 사거리 공속 데미지 또한 괜찮은 유닛입니다.



모선

파일포켓 이미지

모선 또한 2500 포인트를 소모하며 주위 아군 유닛은 안보이게 만드는 은페장 

어디든 갈수 있는 텔레포트

어떤 유닛이든지 묶을수 있는 소용돌이

그리고 국지방어기 능력을 가진 유닛을 다량 소환하는 스킬이 있으므로 수비적으로 더욱 강해진 유닛이며


이 유닛을 잡을려면 토르 보다는 집정관이(토르는 국지방어기 스킬에 공격능력상실)


공중유닛에서는 공허포격기가 제일 좋습니다.


하지만 공허포격기는 소용돌이에 묶이게 된후 모선팀원중 하나가 토르를 가져오면 순삭 당하므로 조심하여야 합니다.


모선의 용도는 은페장이 있기에 연결체를 지키는데 상당히 좋으며 


모선의 체력이 떨어지면 연결체 오른쪽 점점 멀어지면서 적 유닛의 연결체 공격을 회피 하게 만든후


텔레포트로 연결체 왼쪽으로 도망 그리고 다시 오면 소용돌이 아군의 스플레쉬 유닛 소환 적유닛 삭제


후 대기 같은 방법으로 상당히 오랜시간 버틸수 있으며 게임의 역전도 가능하게끔 만드는 유닛이라 생각합니다.




정리


1레벨 - 불곰이 제일 좋고 화염차도 컨트롤 하여 사용시 괜찮은 효과를 낼수 있다.

2레벨 - 집정관/공허포격기가 주력으로 쓰이며 건물 테러시에는 밴시가 제일 좋다, 하지만 뭉친후 스플래쉬 유닛의 공격을 조심 하여야 한다.

3레벨 - 쓸모 없는 유닛은 거의 없으며 거신/고위기사 이 두유닛만 사용 용도가 많이 떨어지는 유닛이다.

캐리어/전투순양함/타락귀를 이용한 공중 지배도 중요하지만 울트라를 이용한 지상군 싸움도 필수다.

4레벨 - 4레벨의 유닛은 생산시 포인트가 소모되는 방식이므로 포인트를 보면서 유닛은 뽑아야 한다. 또한 아군의 유닛과 조화를 이루어 공격/수비를 하는것이 중요하며 어떤 레벨이던지 혼자 놀을 경우 이기기 쉽지 않으며 이기기 위해서는 테러를 잘 해야 한다.




테러 팁 - 전에는 공허로 쓰던 방법인데 사거리가 조금더 우월한 밴쉬가 더 좋은것 같군요

밴쉬로 양옆 라인을 타고 가면서 점사로 하나씩 방어 타워를 삭제 하면서

위급할시에는 연결체 뒤쪽의 유닛 선택 공간으로 도망간다. (적 공중유닛이 공격할시에는 그냥 테러.)

계속 이런식으로 반복하면서 테러한다. 지상군으로는 사거리가 1000이라도 시야 확보가 되지 않으므로 밴쉬를 공격할수 없다.(단, 적군이 유닛을 뽑으시기에는 적군도 시야 확보가 됨으로 조심)





이만 모든 유닛의 리뷰를 끝냈습니다.


재미있는 유즈맵 플레이 즐기시길 바랍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Guetelperr (2010-07-30 17:01:44 KST)
0↑ ↓0
센스 이미지
이제 맹독충의 데미지는 500입니당 ㅋ-ㅋ
아이콘 [닭별] (2010-07-30 17:06: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 또 패치 하셨나요
리뷰 쓰자마자 패치하시면 난감 ㅠㅠ
참 그리고 프라임 클랜쪽 맵게시판이 본진아닌가봐요? 리젠도 없고 맵게시물도 없네요 ;;;;
아이콘 Guetelperr (2010-07-30 17:13:11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무래도 그냥 일반 클랜 홈피로는 흥하기가 힘들죵.. 전 본진을 인맵으로 옮기고 있답니다 ^-^;
아이콘 내가 참 피온 (2010-07-31 01:19: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밤까로 추미쏘고 자살 이나 불사조로 지상유닛 한기씩 골라 잡아먹기도 쓸만합니당
아이콘 Plorenia (2010-07-31 20:18:00 KST)
0↑ ↓0
센스 이미지
이건뭐.
사실 눈치게임ㅇ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