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전 게시판 beta
협동전 공략 beta
작성자 | 방민지 | ||
---|---|---|---|
작성일 | 2015-12-23 22:06:06 KST | 조회 | 940 |
제목 |
프토사령관끼리 비교한 카락스의 문제점
|
1. 아둔창 최상위 스킬의 단일딜 및 쿨타임이 가장 김
카락스의 정화광선은 최대뎀은 업글 해금시 2000이며 쿨타임은 450초입니다.
반면, 알타의 태양포격은 최대뎀은 업글 해금시 1만2천으로 카락스의 정화광선보다 6배 더 강력한 데미지이며, 쿨타임은 300초입니다.
보라준의 시간정지는 데미지는 없지만 '은신'된 유닛까지 디텍팅되면서 무려 20초동안 얼어붙으며 쿨타임은 업글 해금시 240초입니다.
카락스 정화광선 한발쏠때 보라준은 시간정지를 거의 두번 사용하는게 가능하죠
그리고 대충 게임하면서 느낀거지만 카락스의 정화광선은 대략 3번째 공세때 사용이 가능하고
알타는 두번째 공세때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공허분쇄자나 공허 파편, 열차 파괴할때 알타 태양포격으로는 한마리는 깨는게 가능하지만 카락스 정화광선은 깨는게 불가능합니다.
2. 아둔창의 의존도는 카락스가 제일 높으나, 전체적 성능치는 카락스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다.
카락스가 태양제련소로 태양효율을 증대시킨다고 하지만 객관적인 아둔창 능력치를 본다면 카락스의 아둔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우선 멀티 돌무더기 깨는걸 비교한다면
카락스의 경우 태양효율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한 다음에 태양에너지 100을 모아서 궤도포격으로 돌무더기를 깹니다
반면, 보라준의 경우 태양에너지 50으로 그림자 파수대를 소환한다면 동맹 돌무더기까지 깨는게 가능합니다.
알타의 경우 궤도포격으로 깨는건 노답이지만 한번의 공세만 막아냈다면 태양포격으로 돌무더기를 깨는게 가능합니다
각 사령관별 아둔창 능력치를 보면
카락스의경우 3번째 스킬 시간 과부화로 시간500% 증폭하는 스킬 외에는 전부 공격스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태양제련소에서 지속적인 업글을 통해 궤도폭격과 태양창은 강화하는게 가능하지만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모됩니다.
문제는 카락스의 경우 3개의 스킬이 전부 공격스킬로 구성되 있어 효율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태양창은 한번에 50의 태양에너지를 빨아먹지만 컨만 받춰진다면 10발 이내의 궤도포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훨씬 더 많죠.
특히 태양창은 여러번 사용하면 할수록 효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대다수의 경우 태양창 두발로 해결가능한 공세가 와버려서 한발은 버리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보라준의 경우 공짜 인구수 채워주는 암흑수정탑 소환 + 수정탑 주변에는 은폐장 + 수정탑 귀환기능까지 있는녀석이
고작 태양에너지 25밖에 먹지를 않습니다.
사건지평선또한 태양에너지 25밖에 안먹으며 이녀석의 경우는 쿨타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태양에너지만 만족한다면 계속해서 시전하는게 가능하죠
그리고 태양에너지 50을 투자해서 소환하는 그림자 파수대...
보라준 암기가 사기인건 모두가 아실거지만 초반 1공세부터 모든 암기 업글이 다된 상태의 데미지 더 쎄고 피통은 더 높은 파수대를 소환합니다.
오펜스 미션에서는 스완 전투로봇도 잡기 힘든 기차도 부수는게 가능하며
디펜스 미션에서는 가볍게 보너스 한개 께고 나오죠. 스완 전투로봇은 컨을 좀 해줘야 깨는 그 보너스 말입니다.
제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절대적인 아둔창 능력치는 보라준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상황별로 쓰일수 있는 스킬들이 잔뜩 포진해 있으면서도 태양에너지는 25 25 50 이렇게 적게 소모되죠
아르타니스의 경우 아둔창 스킬의 효율이 제일 좋지 않다 생각합니다.
동력장 투사의 경우 태양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지만 쿨타임이 30초로 은근 길기때문에 여러 지역에 방어유닛을 소환해야 하는 경우가 온다면 대처가 느린 편이죠
궤도포격의 경우 태양에너지 50을 소모해서 5발만 사용하고 또 5발을 전부 사용해야해서 상당히 비효율 적이며
그나마 쓸만한게 보호막 과충전인데 얘도 태양에너지 50을 먹으며 무엇보다고 쿨이 300초로 엄청나게 깁니다.
이 3명의 사령관을 플레이하면
아르타니스의 태양에너지는 항상 200을 찍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보라준 태양에너지는 100넘기는 적이 없고
카락스는 100에서 150 모아둿다가 한번에 파바바박 하고 다 쓰는 플레이를 할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결론을 내리자면
절대적 아둔창의 성능치는 보라준이 제일 좋고 카락스가 다음이고 알타가 제일 꼴지인데
사령관 컨셉이 아둔창에 몰빵된 카락스의 아둔창 성능이 보라준보다 떨어지니 이게 좋은 현상이냐는 말입니다.
공격스킬이 3개나 겹치면서 효율이 반감된 케이스죠
3. 사용유닛의 전반적 DPS, 기동력, 유지력문제
DPS만 따진다면 보라준이 압도적으로 좋은걸 모두다 인정하실겁니다.
암흑기사 그림자 격노 업글만 완료되면 모든걸 파괴하죠
그리고 그다음 전체적인 유닛의 DPS도 카락스가 아닌 아르타니스라 생각합니다.
아이어 광전사 데미지 버프로 알타의 전체적인 DPS가 확 올랐죠. 그리고 광전사는 버프 이전에도 소용돌이 회전만 업그레이드 하면 쓸만한 DPS를 자랑했습니다.
불멸자도 카락스 불멸자는 방어력 버프를 달고나온다지만 전체적인 불멸자 업그레이드 개수를 고려하면 알타 불멸자 업글1개, 카락스 불멸자 업글1개로 두개의 성능은 거의 동일하다 생각합니다.
또 알타는 지대지, 지대공유닛으로 활용가능한 용기병, 집정관을 갖고있으며
카락스 DPS로 거신을 넣을수 있지만 솔직히 기동성에 문제가 있어서 그렇지 알타 파괴자가 거신보다 저는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펜스미션에서 카락스의 경우 지상유닛으로는 기차, 공허파편, 공허분쇄자 처리하는데 데미지 잘박히는애가 불멸자밖에 없지만
아르타니스는 불멸자 포함해서 집정관 파괴자 이렇게 3종류의 유닛으로 딜을 확실하게 박을수 있습니다. 그나마 딜이 안박히는애가 용기병인데 용기병도 쎄죠 추적자랑은 다릅니다.
공중유닛 DPS만 따져도 보라준 공허포격기, 아르타니스 폭풍함, 카락스 우주모함순으로 좋다 생각합니다.
생존력까지 따지면 카락사 우주모함이 더 좋을수는 있지요 폭풍함이랑 공허포격기는 잠깐 방심하면 유닛이 막 죽어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니
하지만 오펜스 미션 특히 기차미션에서 딜넣을때
카락스 우주모함으로는 안되는 감이 있습니다. 안되요 우주모함가지고는
아르타니스 폭풍함은 분해 스킬을 쉴새없이 돌리면 기차깨고 보라준같은 경우는 만랩 해금시 은폐유닛 데미지 뻥튀기가 있어서
딜딸리면 암흑수정탑 긴급소환하면 됩니다. 공허포격기로도 기차는 깰수 있어요
다음으로 기동력을 볼까요?
기동력도 보라준이 압도적으로 좋다는데 이의를 제기하실 분은 없다 생각합니다.
카락스 불멸자 거신 우주모함
느립니다.
아르타니스 기동력도 문제가 되긴하지만 아르타니스는 카락스보다는 기동력이 좋습니다.
동력장 투사때문에 오펜스에 한해서는 유닛이 즉각적으로 충원되지요
카락스도 동력기 동력장 생성이랑 차원관문 업글하면 되지 않느냐? 라는 말이 나올수 있죠?
카락스는 '관문'한정으로 차원관문 업글에 차관 쿨이 1개밖에 안돕니다.
아르타니스는 로보틱스, 우주관문 전부 차원로보틱스, 우주관문이며, 차관쿨 3개까지 저장가능입니다.
같은 생산건물에서 단번에 뽑아내는 유닛의 양과 질이 달라요
마지막으로 생존력 혹은 유지력을 봅시다.
유닛을 어느정도 모아놓고 이 유닛이 몰살당하는 경우의 수를 따지는건데
이것도 카락스가 압도적으로 좋지 못합니다.
재구축광선
이거 최대 4마리의 유닛밖에 적용이 안됩니다. 까딱 잘못해서 4마리 이상의 유닛이 전체공격을 받을시에는 유닛이 몰살될수도 있습니다.
보라준의 경우 은폐장만 잘 활용하면 보호막이 400% 빠르게 찹니다. 전체유닛 및 건물에 적용됩니다.
또 보라준은 긴급귀환으로 유닛이 죽을라 카면 연결체로 귀환하죠
아르타니스는 유지력이 나빠보일지 몰라도 2랩 패시브인 수호보호막이 사기입니다. 딜 다맞고 죽어야할 유닛이 5초간 무적이 되는데다가 60초 쿨이 있어서 60초만 버틴 유닛은 다시 수호보호막 효과를 받을 수 잇습니다.
공세가 대략 150초당 한번씩 옵니다. 한번의 공세를 버텨내면
카락스야 모든유닛의 보호막 체력이 다 완충될것이고 보라준, 알타는 보호막 체력만 다 차겟죠
하지만 공세가 온 순간 유닛의 생존력까지 계산하면 카락스의 재구축 광선이 무조건적으로 좋은게 아닙니다.
재구축광선은 그 효과가 발휘되는데 오래걸리는 스킬입니다.
그리고 유지력은 단순하게 위에 나열된것만 비교해서는 안됩니다.
유지력에는 유닛의 양과 유닛의 DPS도 관여를 하게 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공세가 올때 질럿 두마리의 유지력을 계산하면 0 질럿 몰살의 계산이 나오겠죠
하지만 질럿 100마리라면? 질럿 한마리도 안죽을 수가 있습니다.
또 질럿이 풀업상태라면? 적어도 한마리는 살 수가있죠
유닛이 많이 쌓이고 또 유닛 개개별의 DPS가 높다면 전체 유지력도 높아지는건 자명한 사실입니다.
이런걸 따져봣을때 어느 조합을 해도 인구 200을 쉽게 채울 수 있는 알타 보라준 대비
오직 광전사 + 파수병 조합만 인구 200을 채울 수 있는 카락스의 유지력이 과연 타 사령관 대피 높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까?
4. 자원 효율문제
카락스의 경우 프토사령관끼리 비교가 아니라 전 사령관과 비교했을때 자원을 가장 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사령관입니다.
일단 유닛비용이 1.5배 높으면서 DPS 유지력이 상위랭크에 오르는 사령관이 아니기때문에 유닛 자체의 자원효율이 최악입니다.
또 카락스 사령관 컨셉이 '방어건물' 빌드를 타게끔 권장하죠?
이 '방어건물' 광자포, 초석같은 방어건물은 자원효율이 최악입니다.
그 이유는 이동성이 전혀 없으며, 공세가 올때 무조건 공세보다 훨씬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 놔야 한다는 겁니다.
음.. 이건 좀 설명이 필요한데
광자포를 도배할때 광자포 개수가 좀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잖아요? 아니면 배터리가 모자른 상황이라던가?
이럴경우 공세가 밀려오면 해당 방어건물 그냥 다 깨져버립니다.
공세가 오면 '대충 이번 공세는 이정도 유닛의 양으로 오겠지?'라고 생각하면 광자포 및 초석이 단 한개도 깨지지 않을 정도로 건물을 도배해놔야 한다는 겁니다.
쉽게 설명하면 성벽에 모래구멍이 하나 생기면 성벽 자체가 와르르 무너지니 개미가 쳐들어와도 절대 무너지지 않는 강철의 철벽을 구축해놔야 한다는거죠
또 공세가 와서 건물이 밀리는 상황에 즉각즉각 방어라인을 새로 만드는게 가능합니까?
유닛이야 계속 뽑으면 되지만 일꾼 한 방어라인당 5마리씩 붙여서 뒷방어라인 만들지 않는이상 바로바로 깨진 방어라인 메꾸기가 어렵고 또 일꾼이 범위공격이나 혼종스킬걸려서 피격당하면 추가 광자포나 초석을 소환할 수가없어서
한번 공세에 밀리면 그 방어라인 다깨지게 됩니다.
결국 절대로 깨지지 않을정도로 포토 도배를 해야하며, 이는 자원의 심각한 낭비를 불러일으키죠
그리고 초석이랑 광자포가 DPS가 높으면 머합니까
공세 들어오는게 머 맨날 한방향으로 오는경우는 드물며
오펜스 미션에서는요
깨러가야 하는미션에 전진 포토러시 그게 유닛 200모아서 진격하는것보다 쉽답니까?
그리고 전진포토러시 생각해 보십쇼
다 깨고 난 다음에 그 지역에 건설한 광자포는 다 무쓸모 자원덩어리가 되버립니다.
스완은 '회수'기능이라도 있지 광자포, 초석은 자원회수도 안되요
결국 방어건물이 카락스의 사용에 일정부분을 차지하며 이는 자원효율면에서 타 사령관 대비 효율이 나쁜 사령관으로 평가될 수밖에 없습니다.
스완도 방어형 사령관이지만
얘도 이렇지는 않습니다.
스완도 인구 200 어느 유닛빌드로든 채울 수 있으며, 방어건물도 건설시간을 줄인다면야 줄일 수 있고 또 방어건물또한 유동적으로 사용가능해요
카락스만
위와 같은
문제가
있는
겁니다.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