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83559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S_wing
작성일 2010-05-31 17:47:10 KST 조회 201
제목
캐스파 기자회견 보충자료 발표내용중

본문 :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07304&db=issue&cate=&page=1&field=&kwrd=

 

눈에 띄는거만 몇개 뽑아봤음

 

Q 일부 팬들 사이에서 협회가 노력을 덜 했고, 안이하게 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들이 있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 협회가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이러한 오해를 받게 된 것에 대해 유감이며 보다 팬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지 못했구나 라는 반성을 하게 된다.  <- X까

 

 

Q 블리자드는 리그에서의 게임 사용을 공공재가 아니라 지적재산권에 대한 영역이라고 설명했는데, 이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게임은 종목사의 자산이 맞으나 게임과 e스포츠는 다르다. e스포츠는 게임을 소재로 했을 뿐 플레이어 중심이 아닌 관람문화 중심으로 발전되며 수 많은 관계자들의 노력과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차원의 문화이다. 이미 중국에서 정식 스포츠 종목으로 인정받았고, 지난해 실내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세계적으로도 스포츠산업으로 발전해나가는 추세다.
- 또한 스포츠는 일부 매니아나 특정 기업의 사유물이 아니다. 일반 관중들이 보고 즐기며 참여하는 공공적인 성격을 갖는다   <- 왜 스1이 축구나 농구같은 스포츠라고 생각하는거지? 블리자드가 만든 게임이 아닌가? 캐스파 맘대로 북치고 장구치네?

 

Q 협회 측은 블리자드의 지적재산권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것인가?
- 원칙적으로 스포츠는 지적재산권의 협상 대상이 아니다. 축구공을 만든 아디다스가 월드컵에 축구공 사용료를 내라고 하는가? 자동차 회사들이 카 레이싱대회에 사용료를 내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 이것도 마찬가지 캐스파 지들끼리 스1은 '스포츠'다 드립

 

Q 협회에서도 방송중계권 판매 등 사적인 이윤추구행위가 있지 않았는가
- 협회가 방송중계권을 통해 이익을 얻은 것은 없다. 협회는 문화부 산하 비영리법인으로서 수익을 내지 않는다. 방송중계권료는 전액 경기운영 등에 재투자된다.
- 협회는 매년 회계감사 자료를 이사사들에 공개하고 있고, 중계권료에 대한 전액 재투자 부분에 관련된 회계자료 등도 필요하다면 공개할 수 있다.
- 근본적으로 선수들이 좋은 경기를 보여줄 수 있도록 경기력 향상에만 몰두하려면 먹고 사는 문제의 해결 즉, 직업적으로 안정돼야 하는 것처럼 스포츠가 발전하려면 일정 정도의 산업화가 꼭 필요하다.
- 12개 게임단이 매년 많은 투자를 해왔고, 협회도 방송중계권료를 전액 경기운영과 방송제작에 재투자하는 것도 이러한 토대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도 이러한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 읭?

 

<곰TV와의 관계>

Q 협회는 과거 ‘곰TV 클래식’ 으로 인해 그래텍과 껄끄러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안다. 추후 협상이 진행된다면 협회가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 과거 중계권 논의가 있을 때 방송사들과도 많은 논쟁이 있었지만 지금은 서로 좋은 파트너쉽을 갖고 일을 하고 있다.
- 언제든지 그래텍과도 한국e스포츠 발전을 위한 대화와 협력을 할 수 있다.
 <-- 지금은 서로 좋은 파트너쉽을 갖고 일하고있다고? 지나가던 개가 웃겠음 ㅇㅇ

        님들은 이제부터 곰tv 똥꼬 빨아야됨여

 

<e스포츠 발전에서 협회의 역할>
Q e스포츠가 스타1에만 집중되어 성장 되어 있는데, 다른 e스포츠 종목 발굴 육성에 대한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아닌가?
-  e스포츠 종목의 발굴과 육성에는 팬들이 선택해서 사랑해주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 협회가 그동안 다양한 종목 육성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해봤지만 팬들의 사랑을 통해 대표적 종목으로 육성되는 사례는 아직 없었다.
- 협회는 앞으로도 종목 다양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 워3 중국에 넘겨준 시점에서부터 이건 개소리


 

Q 협회가 지나치게 프로리그에만 집중하고, 아마추어 육성에 소홀했다는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한국e스포츠가 스포츠로서의 모양새를 갖춘 역사가 불과 몇 년이 안된다
- 협회가 그동안 아마추어 대회를 열거나, 학원스포츠로서의 가능성 등을 검토했으며 비전도 갖고 있지만 모든 것이 한꺼번에 이뤄질 수는 없다.
-  e스포츠가 프로와 아마가 골고루 발전하는 등 토대가 확대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 캐스파가 원하는 토대를 만들려면 10만년은 걸릴듯?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ㅁㅁ (2010-05-31 17:49:21 KST) - 112.162.xxx.11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론은 개스파의 뒷 북 헛 소리의 하모니~~
아이콘 OUT-아웃 (2010-05-31 18:10:47 KST)
0↑ ↓0
센스 이미지
이런 3등신들...
아이콘 Garcia (2010-05-31 18:51:26 KST)
0↑ ↓0
센스 이미지
십만년이라뇨 .. 지구가 멸망해도 못하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