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10-09 02:56:19 KST | 조회 | 728 |
제목 |
사실 더빙은 살짝 미묘할 수 도 있음
|
한글화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도 있지만
더빙의 경우는 까닥 잘못하다가 원작의 재미나 감동을 망칠 수 도 있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할리우드 영화에서 흑인들이
마더퍼커 어쩌구저쩌구하는 욕을 라임에 맞추어 맛깔나게 랩배틀하는 장면을
한국 사람이 더빙한다면 아무래도 흑인형들의 그 맛이 나진 않겠죠.
위에건 사실 저도 없어도 그만이다고 생각하니 다른 예를 들어보면
영화나 게임에서 배역를 선택할 때 캐릭터의 성격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건 기본이고
심한 경우 배우나 성우를 골라놓고 그에 맞추어서 나중에 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문제가 될 수 도있다는 겁니다.
이번에는 게임으로 예를 들어서 메탈 기어 솔리드 4의 예를 보죠.
엔딩에서 주인공인 스네이크와 그의 아버지인 빅보스가 해후한 후 빅보스가 최후를 맞이하며
시리즈의 대단원을 내리는 폭풍 감동을 주는 명장면이 있는데
이 장면을 위해 일판에서는 자연스러운 연기를 위해
아버지 역의 성우를 아들 역을 담당한 성우의 실재 아버지를 기용합니다.
이게 애초에 이 단 한 장면을 위해 시리즈 처음 기획할 때부터 캐스팅을 저렇게 한 것이라고 하는데
부자가 둘다 그것도 중년의 베테랑 현역 성우라는 일본에서도 특이한 케이스 우리나라에는 없지 않습니까?
실재로 같이 발매된 영판을 보면 그 차이를 보면 알 수 잇죠.
이렇게 더빙을 할 경우 작품에 따라 영 좋지 않을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걸 다 재쳐두고 막상 두껑을 열어보니 한국어 더빙이 원작을 초월했다라는 경우도 있으니
원판 음성이 좋을 지 한국판 음성이 좋을 진 나와바야 압니다.
세줄요약 :
작품에 따라 더빙이 미묘할 수 도있다.
하지만 더빙이 좋은지 나쁜지는 까봐야 안다.
그러니 서로 싸우지 말아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