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WWI2009

<배틀넷 2.0 - 유료 커스텀맵 시스템 등>

2009-08-22 12:49:17 KST | 조회 3,928

파일포켓 이미지

랍 팔도 부사장 (우측) 

 

우선 인터뷰에 앞서서 새로워진 배틀넷 2.0에 대해 한국 분들께 간략하게 다시 소개하겠다.

 

지금 현재의 배틀넷은 1996년 디아블로를 출시하며 선보인 서비스였다. 항상 우리는 3가지 원칙으로 배틀넷을 기획하고 있는데, 1) 항상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온라인); 2) 서로 경쟁할 수 있는 환경 조성; 3) 블리자드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이들 3개가 우리의 원칙이다.

 

1) 항상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란 상시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로그인 화면 처럼 향후 뜨게 될 것이다. 설령 게이머가 싱글 플레이를 하고 싶더라도 게임을 켬과 동시에 배틀넷에 접속하게끔 만들고 싶다. (주: 기존 시스템 처럼 오프라인으로 싱글 플레이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배틀넷에서 싱글 플레이를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싱글 플레이를 무조건 배틀넷에서 해야한다는 오해가 없길 바란다)

 

2) 기존 스타크래프트 유저를 봤을 때, 프로게이머가 아닌 일반 유저가 서로 경쟁하고 대전하기 위한 환경이 잘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전장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제 2의 원칙으로 생각하고 있다. 프로게이머가 아니라 일반 유저이더라도 서로 경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싶다.

 

파일포켓 이미지

▲ 수준별 리그 단위로 구분이 되며, 각 리그 단위는 디비전으로 다시 구분된다

 

상호 경쟁하기 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있던 래더 시스템을 강화했다. 또한, 리그 시스템을 구현하여 수준 별로 구분했다. 최상위는 프로게이머 리그이고, 그 아래로 다이아몬드, 골드, 실버 등으로 낮아진다. 물론. 아직 명칭은 미 확정이다. 플레이어 개개인의 실력에 맞게 리그가 구분된다. 지나치게 강한 상대가 지나치게 약한 상대와 만나지 않도록 적당히 조절할 것이다.

각 리그는 별도의 디비전 단위로 다시 나뉘며, 각 디비전은 100명씩 배치된다. 각 디비전 단위로 1위부터 100위까지의 플레이어 순위가 나오며, 디비전 내에서도 플레이어의 실력에 맞게 재 배분된다. 시즌에 대한 부분은 아직 미정이지만, 시즌이 끝날 경우 각 디비전의 우승자는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경쟁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들 것 이다.

단순히 경쟁 관계로 대전하는 것 외에도 유저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마련해 두었다. 유저가 개발하여 인기리에 있는 도타와 같은 커스텀 게임도 포함이 되고, 컴퓨터와 플레이하는 스커미쉬나 싱글 챌린지 모드 등이 있기 때문에 캐주얼한 기능들로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3) 커뮤니티의 경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도 이미 활성화가 되어 있는 부분이지만, 게임마다 구분된 커뮤니티를 배틀넷이라는 한 지붕 아래로 커뮤니티 환경을 통합하고자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과거에 관찰한 결과 처음부터 시작할 때 주변 지인과 친구를 맺는 경우도 있었고, 게임을 하면서 알게된 친구 그룹도 있었다. 우리는 친구 시스템을 강화하여 실제 친구 간에는 상대방의 배틀넷 계정을 한 번 추가하기만 하면 해당 친구가 다른 게임의 아이디나 캐릭터를 생성해도 바로 알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업적 시스템을 배틀넷에 도입함에 따라 계정에 업적을 연계할 생각이다.  

가령 배틀넷에 등록된 실제 친구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하다가 게임을 중단해도, 디아블로3가 나와서 다시 게임에 접속한다면, 친구로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내 배틀넷 친구가 지금 다른 게임을 하고 있구나하고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은 디아블로3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통합된 배틀넷 2.0을 쓰는 모든 게임에 적용된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개인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옵션을 두어서 정보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2 마켓플레이스

애플의 앱스토어 같은 시스템이다. 지도 편집기를 강화시켰기 때문에, 개발자 못지 않게 유저들도 재미있고 특징있는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필터나 특성으로 지도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 유저가 제작한 지도를 업로드 함으로써 별도의 배포 시스템이 필요 없어진다. 해당 지도를 플레이 하고 싶은 유저는 마켓플레이스에서 검색을 해서 맵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검색 뿐만 아니라 해당 지도에 대한 평점도 줄 수 있고, 코멘트를 적을 수 있는 기능도 만들 것 이다.

지도 등록의 경우 일반 등록과 프리미엄 등록으로 나뉘는데, 프리미엄 지도 등록의 경우 해당 지도를 만든 사람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다. 아마추어 게임 개발자가 이를 활용함으로써 획기적인 컨텐츠를 개발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프리미엄 맵이나 컨텐츠의 경우 금전적인 부분이 거래가 되지만, 무료 컨텐츠가 있기 때문에 좋은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실제 애플의 앱스토어를 보면 다양한 아이템들이 올라오고 있고, 아이디어 등이 교환이 되어 활성화가 잘 되고 있다. 마켓플레이스가 활성화 될 경우 게임의 수명도 자연스레 길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PC방 환경

배틀넷 2.0을 개발하면서 PC방 환경도 고려하여 개발 중이다. PC방에서 게임을 할 경우, 과거에는 PC방에서 싱글 캠페인을 했을 경우 세이브 파일을 별도로 복사해야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하지만, 이제 배틀넷 계정과 연결이 되기 때문에 PC방에서도 배틀넷에 접속하여 싱글 캠페인을 즐기면 집에 가서도 이어서 캠페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배틀넷 상에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고, 그 캐릭터에 프로필/업적/아바타 등이 들어가게 된다. 게임 내 존재하는 캐릭터가 아닌 배틀넷에 존재하는 캐릭터가 되는 것이다. 업적을 계속해서 쌓을 경우 아바타를 보상으로 받거나, 데칼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보상 받은 마크를 실제 게임 내 건물 등에 나타나게도 할 수 있다.

 

 

 

 

 

Q. XBOX 처럼 단일 아이디 형태인데, 국내에서는 익명성 보장이 되지 않아 환영받지 못하는 시스템이 될 것으로 보인다.

A. XBOX와 다르다. 배틀넷 계정당 3개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가 하나의 계정에 서버 당 여러 개의 캐릭터를 만들 수 있는 것과 동일하게 봐도 좋다. 익명성 보장의 경우, 친구별로 정보 공개 수준을 옵션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우려한 문제는 없다.

 

 

 

Q. 업적 리셋이나 전적 초기화 같은 기능을 만들 생각은 없나? 또, 어느 정도 업적이 높아지면 아이디를 매매하는 경우도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막을 생각인가?

A. 향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 업적 리셋 같은 아이템을 고려할 수 있으나 현재는 아니다. 아이디 거래의 경우 자신의 개인정보가 모두 공개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의 배틀넷 계정에 하나의 게임만 포함된 게 아니라 여러 게임이 연결되기 때문에 어느 게이머가 자신의 모든 게임의 정보를 거래하려고 할지 의문이 든다. 또, 실제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회사 차원에서 인정을 하지 않을 것이다.

  

 

 

Q. 앱스토어의 경우 애플이 일정 부분 수익을 가져가는데, 블리자드는 마켓플레이스 관련해서 수익 분배를 고려 중인가?

A. 블리자드 마켓플레이스에서도 수익을 분배하게 되어 있다.

 

 

 

Q. 스타크래프트2 배틀넷에서 메신저를 통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접속한 게이머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유저는 어떻게 메시지를 받게 되나?

A. 게임 간 채팅에서는 각 게임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개별로 작동한다. 스타크래프트2에서 메신저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접속 중인 게이머에게는 귓속말이 간다.

 

 

 

Q. 마켓플레이스는 스타크래프트2 아이템만 등록이 가능한가?

A. 현재까지는 스타크래프트2만 가능하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경우 맵 에디터 같은 기능이 없기게 고려되지 않는다.

 

 

 

Q. 핑 같은 부분 때문에 랜 플레이를 삭제한 부분에 대한 불만 의견이 있다. 배틀넷을 경유하기 때문에 랜 플레이 만큼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A.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틀넷에 계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면서도, P2P 방식으로 직접 게이머간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현재 개발을 고려 중이다. (주: 워크래프트3의 경우 배틀넷이 호스트이기 때문에 무조건 배틀넷을 경유한다) 게임의 경험이 최상의 경험이어야 한다는 이념으로 개발을 하고 있다. e스포츠가 활성화되고 발전하는 게 우리로써도 이득이기 때문에 산업을 저해할 의도는 전혀 없다. 우리는 배틀넷 2.0 시스템을 통해 e스포츠가 보다 진보하게끔 만들고 싶다. 현재 여러 토너먼트 파트너들과 e스포츠 진행에 필요한 요소들이 있는지를 고려하여 개발 중이다.

 

 

 

Q. 마켓플레이스 외에 스타크래프트2에 다른 유료 모델이 있는지?

A. 배틀넷은 기본적으로 무료 시스템이고 마켓플레이스 외에 다른 유료 컨텐츠로 제공되는 부분은 없을 것이다. 물론, 특정 게임 플레이와 무관하게 영향이 없는 부분들에 대한 사항은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유료 컨텐츠를 생각하면 될 듯)

 

 

 

Q. 불건전 지도가 유통되는 건 어떻게 할 것인가?

A. 해당 지도를 유저들이 신고하거나 불건전 지도로 태깅을 할 수 있다. 또, 향상된 고객 지원 등을 통해 부적절한 지도는 바로 삭제할 수 있도록 하겠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이다. 프리미엄 지도의 경우 블리자드의 검수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사전 예방이 가능하다.

 

 

 

Q. 스타크래프트2가 배틀넷 시스템 때문에 연기가 되고 있는 데 언제쯤에야 일반 유저가 접할 수 있나?

A. 2010년 상반기에 새로워진 배틀넷을 접할 수 있도록 현재 목표를 세우고 있다.

 

 

 

Q. 배틀넷 계정과 시디키와 연관이 있는가?

A. 배틀넷 계정에 시디키를 등록해야 한다. 즉, 배틀넷 계정 자체가 하나의 시디키라고 봐도 된다. 각 계정 당 3개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Q. 그렇다면 PC방에서 문제가 되는 게 아닌가?

A. 아직 PC방과 관련된 부분은 논의가 안된 부분이다.

 

(c) Nios

전체 기사 목록
발도장 찍기
  |   아이콘 CHAOSPHOENIX   |   Shadow_   |   아이콘 헤헤   |   아이콘 [Enemy]
(2009-08-22 12:53:46 KST)
배틀넷에서의 싱글 플레이라...
아이콘 Lenin (2009-08-22 12:57:45 KST)
한마디로 배틀넷을 스팀화 시키겠다는거네
포더윈터 (2009-08-22 13:08:14 KST)
COH하고 비슷비슷하게 가네요
(2009-08-22 13:22:14 KST)
마켓플레이스에서 유료 모델의 맵을 다운받을경우

그 유료 모델 맵으로 방을 만들었을때

그 맵이 없는 사람들은 그 방을 들어갔을때

무료로 다운이 되는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저거 소용없는걸텐데

아니라면 그 맵이 있는사람끼리만 게임이 되게 만들건가?
ㅉㅉ (2009-08-22 13:27:14 KST) - 59.29.xxx.107
맵을 유료로 한다니
이거 완전 망했네 ㅉㅉ
사람들이 유료맵 쳐만들려고 돈독이 오르겠네
아이콘 알루미나 (2009-08-22 13:45:39 KST)
유료맵 크래킹버전이 난무하는걸 예상해봅니다
아이콘 산백합 (2009-08-22 13:48:05 KST)
↑여기 난독증있는 병신 하나 추가요
아이콘 Lenin (2009-08-22 13:48:30 KST)
알루미나님이 병쉰이라니 ㅠㅠ?
아이콘 CHAOSPHOENIX (2009-08-22 13:50:06 KST)
확실히 콯의 시스템은 괜찮긴 하죠
랜을 없애더라도 그에 상응 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면 상관 없다고 봅니다
ChicKIN (2009-08-22 13:51:39 KST)
상식적으로 유료맵을 돈주고 받은 사람이 방을 만들면
맵이 없는 사람은 플레이 못하게 하겠죠.. 아니면 뭐하러 유료맵 만들어요..

앱스토어의 어플들처럼 나온다면
0.99~5달러정도면 크게 부담되는 가격도 아니고
유료라면 Free버전 체험판도 있을꺼고, 패치도 무료로 해줄꺼 같음

핸드폰 게임 다운로드 받는다고 생각하면 되겠네
아이콘 Lenin (2009-08-22 13:57:09 KST)
유료맵 크래킹 버전이 널뛰겠네요 근데 ㅎㅎ
(2009-08-22 13:59:28 KST)
엌ㅋ
아이콘 예압 (2009-08-22 14:35:56 KST)
유즈맵 100원 이하 정도에 거래가 된다면 괜찮다는 생각이듬. 전문적으로 만드는 사람이 존재한다면 더 낫은 유즈맵이 나오리라고 생각됨. 100원 일시에 판매자도 10만명 정도 다운받으면 천만원 버는거니까 블리자드도 좋고 맵제작자도 좋고 질좋은 게임 즐기는 게이머도 좋고,... 문제는 저작권이 문제인데 배낀다거나 하면 아무레도 제작자 입장에서는 분노와 상실감이 생길 수밖 에 없죠.
(2009-08-22 14:43:12 KST)
유료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할경우 블리자드 관계자들이 맵을 확인해본다니까

질은 어느정도 보장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이콘 살려주쇼 (2009-08-22 15:19:37 KST)
저것만 유료라는거니까. ㅋ
아이콘 LanStory (2009-08-22 15:40:07 KST)
진짜; 과연 블리자드 라는..
lhm6225 (2009-08-22 15:51:17 KST) - 124.61.xxx.13
진짜 고급유즈맵 나오겟군여
아이콘 산백합 (2009-08-22 16:03:14 KST)
알루미나님 지칭한게 아니라 그 위에분 ;;
해머토르 (2009-08-22 16:22:10 KST) - 115.140.xxx.103
카오스, 파오캐같은 그나마 고퀄의 유즈맵만 유료화시키겠지...

ㅇㄹㄺ (2009-08-22 19:23:34 KST) - 124.254.xxx.63
파오캐가 고퀄이라니
트리지콘 (2009-08-22 22:12:59 KST)
전 유료 커스텀맵 괜찮아 보이는데요.
만든사람이 결정할테니 사기 싫은 사람은 안사면 되는거고...
퀄리티 낮은 유즈맵이 유료로 들어가진 않을테니 문제도 없고말이죠.
이 기능이 도입되었을때 단점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aaa (2009-08-23 09:10:41 KST) - 123.213.xxx.132
카오스가 고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콘 책장수 (2009-08-23 10:31:15 KST)
카오스 파오캐가 고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드레드노트 (2009-08-23 13:06:17 KST)
카오스가? ㅋㅋㅋㅋㅋㅋㅋ
아이콘 [닭별] (2009-08-24 16:56:51 KST)
카오스가?
우리나라 유즈맵은 정말 외국 유즈맵에 비하면 엄청 저퀄인데...
아이콘 [닭별] (2009-08-24 16:58:21 KST)
그리고 유료 유즈맵은
현제 외국 서버 유즈맵에도 몇개 있는것으로 알고 있음...
뭐 체험판 레벨이 있고
그 이상 진행할려면 이였나..
하여간.
제작자에게 돈을 입금하면 뭔가 사용 할수 있었던것 같긴한데..
뭐 여튼 굳이 우리나라 타겟 아닌것 같기도 하고
절대적으로 우리나라는 유료 하면 싸도 조ㅈ망일 가능성있어서
닉네임: 암호: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