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Nios
작성일 2009-06-19 14:13:58 KST 조회 7,612
첨부
제목
스타2 전투 보고서 3부 (동영상)

 

※ 참고: Pino 플러그인을 설치하셔야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 Pino 설치 주소: http://pino.peeringportal.co.kr/pino/install/check.htm

 

 

 

0:15

 

로버트: 스타크래프트 II 전투 보고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더스틴: 저는 스타크래프트 II의 수석 디자이너인 더스틴 브라우더입니다.

 

로버트: 저는 eSports 팀의 로버트 심슨입니다.

 

더스틴: 오늘 여러분을 위한 멋진 시합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연호(Yeon-ho Lee)가 저그를, 김태연(David Kim)이 프로토스를 플레이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기능이 적용된 스타크래프트 II의 새로운 지도인 폐기물 처리장(Scrapyard)에서 맞붙게 될 것입니다. 먼저 지도 왼쪽 상단에는 이연호 씨가 플레이 중인 파란색 저그를 볼 수 있는데요. 두 선수가 적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매우 가까이 붙어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쪽은 김태연 씨가 플레이 중인 흰색 프로토스입니다.

 

 

 

0:52

 

로버트: ‘폐기물 처리장’은 흥미로운 지형적 특징이 많습니다. 먼저 기지로 향하는 넓은 진입로입니다. 이 진입로는 전투 보고서에서 선보인 다른 진입로보다 훨씬 넓어서 막기가 더 어렵습니다.

 

더스틴: 저기 두 플레이어들이 추가 기지를 짓고 추가 자원을 모으게 될 앞마당 확장지점이 있습니다. 이것은 연기 밖의 유닛이 안쪽을 볼 수 없는 연기 통풍구로군요.

 

로버트: 여기 또 하나의 확장 지점과 더불어 주목할 만한 지점을 볼 수 있군요. 이곳은 젤나가 감시탑으로 지상 유닛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시야를 밝혀줍니다. 이 감시탑 역시 연기 통풍구로 쌓여 있습니다.

 

더스틴: 방금 감시탑이 얼마나 넓게 시야를 밝혀주는지 확인했습니다. 감시탑을 확보하는 건 전략상 매우 중요하며, 이 지도에서 승리를 좌우하는 열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프로토스의 첫 번째 탐사정(Probe)이 저그 기지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방금 김태연이 앞마당 확장 지점으로 이동하는 일벌레의 움직임을 포착했습니다. 이연호의 자원창에 보이는 것처럼 확장 기지 건설을 자원을 모으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김태연의 탐사정이 확장 기지 건설 지점을 막아서고, 이에 이연호가 다른 일벌레(Drone)를 보내 이 탐사정을 막아보려 하지만 김태연이 포기하지 않습니다.

 

 

 

2:20

 

더스틴: 김태연이 계속해서 탐사정을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연호가 저 확장지점을 확보해야 더 많은 자원을 모을 수 있을 텐데요. 프로토스가 확장지점을 막아선 상태에서 이연호, 결국 포기한 것처럼 보이죠? 다시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기지로 돌아가는 중, 김태연도 저그 기지를 정찰하기 위해 따라갑니다. 아, 김태연, 이젠 탐사정으로 일벌레마저 방해하려는 것 같군요.

 

로버트: 김태연의 탐사정, 결국 일벌레의 자원채취를 견제하여 초반 자원 확보에 지장을 주는데 성공한 것 같습니다.

 

 

 

3:00

 

더스틴: 상대방의 자원 확보를 방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지도에는 감시탑을 돌아가는 길 말고도, 상대 기지에 이를 수 있는 지름길이 있습니다. 바로 다리 위의 파괴 가능한 바위를 부수는 것이죠. 바위를 부수게 되면 다리를 건너 적에게 더 이른 시간에 도달할 수 있으며 기습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로버트: 김태연, 이제 융화기(Assimilator)와 인공생체 실험실(Cybernetics Core)을 함께 짓기 시작했습니다. 곧 추적자(Stalker)를 볼 수 있겠군요. 이연호는 아직까지 김태연에게 자원채취를 방해받고 있습니다. 김태연의 탐사정, 다시 한번 이연호의 확장기지 건설을 막기 위해 이동합니다. 과연 이번에도 해낼 수 있을까요? 아, 실패했습니다.

 

더스틴: 결국 성공하진 못했지만, 김태연, 충분히 시도할 가치가 있었다고 봅니다. 프로토스가 감시탑을 손에 넣지만, 대군주(Overlord)가 탐사정을 발견해 재빨리 저글링(Zergling)을 이동시킵니다.

 

로버트: 대군주가 탐사정을 볼 수 있으니 저글링이 공격할 수 있었던 거죠. 과연 탐사정이 기지로 후퇴할 수 있을까요? 탐사정 뒤로 저글링이 몇 마리 더 쫓아가지만, 간신히 벗어나는군요.

 

더스틴: 김태연에게 수비할 만한 유닛이 무화기(Nullifier) 몇 기 말고는 없는 것 같습니다. 무화기는 역장(Force Field)을 사용해 지형이나 적 병력을 막을 수 있죠.

 

로버트: 저글링 8마리가 공격하려고 뛰어들지만 역장으로 길이 막힙니다. 프로토스 기지로 진입한 저글링은 제거되었군요.

 

 

 

5:28

 

더스틴: 탐사정도 공격할 수 있었지만, 무화기가 저글링을 처치하고 프로토스 기지 입구를 지키고 있습니다. 저그가 연기 통풍구 뒤에서 병력을 더 확보하려고 하지만, 광전사(Zealot)와 무화기를 처치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살아남으려면 도망치는 길뿐이군요.

 

로버트: 방금 김태연이 저글링 한 마리가 이동하는 모습을 살짝 본 것 같은데요, 김태연, 앞마당 확장기지를 건설하러 가는 중이었던 것 같습니다. 탐사정이 모든 저글링들을 봤기 때문에 이제 쫓아갈 수 있겠군요. 이제 저글링으로 프로토스 기지를 공격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더스틴: 저글링이 공격을 시도하려고 하지만 프로토스 기지를 지키는 데 무화기가 소환됩니다. 아, 무화기가 역장으로 저글링의 공격을 막아내는군요.

 

 

 

6:21

 

로버트: 일반적으로 역장은 방어용 기술로 보일 수도 있지만, 지금 같은 경우에 김태연은 자신의 기지 내에서 적을 가두고 처치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더스틴: 공격용과 방어용으로 모두 쓰일 수 있겠군요. 방금 대군주가 무화기에 의해 공격받았으나 간신히 달아났습니다.

 

로버트: 이제 김태연, 매우 넓은 지역의 시야를 확보하여 전략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젤나가 감시탑에 병력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근처에 어떤 유닛도 없다는 것을 확인한 듯하군요. 방금 이연호의 저글링을 모두 처치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테니 이제 공격할 기회를 엿볼 때죠?

 

 

 

7:11

 

더스틴: 김태연, 자신의 유리한 상황을 잘 활용해보려 하지만 결국 앞마당 확장기지에서 물러나 저그 본 기지로 바로 이동하는군요.

 

로버트: 하지만 바퀴(Roach)가 너무 많습니다, 무화기가 언덕 위로 올라와야 할 것 같군요. 아, 무화기가 이연호의 여왕과 잠복(Burrow)한 바퀴 한 마리를 제외한 모든 방어 병력을 가두었습니다. 이제 마음껏 공격을 전개할 수 있겠습니다.

 

더스틴: 역장이 모든 유닛을 막았지만, 일벌레는 자원채취를 포기하고 안전을 위해 잠복했습니다. 일벌레와 바퀴는 역장이 해제되면 공격을 재개하겠죠. 지도 남쪽 부분에 또 다른 감시탑이 있고, 고밀도 광물이 있는 확장 지점이 있습니다. 이연호가 바퀴 부대로 김태연의 기지를 공격합니다.

 

 

 

8:56

 

로버트: 확실히 바퀴가 추적자의 수를 압도하고 있으나 김태연은 점멸(Blink)을 굉장히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바퀴의 총공격으로 추적자들의 체력이 대부분 깎였지만, 김태연은 점멸을 사용해 추적자를 잘 후퇴시키고 있습니다. 김태연, 이번엔 앞마당 확장 기지에서 역장을 사용해 바퀴를 가두고 저그를 제거합니다.

 

더스틴: 역장과 점멸이 김태연을 구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재생 속도가 빠른 바퀴도 점멸 조작에 능한 추적자에게는 속수무책이군요. 김태연, 저그의 공격을 막아내고 새로 소환된 추적자를 사용해 남은 바퀴를 쫓아가기 시작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불사조(Phoenix)로 대군주를 사냥합니다.

 

 

 

10:25

 

로버트: 지금 추적자가 엄청난 수로 이연호의 확장 기지로 이동하고 있으나 저글링이 너무 많습니다. 추적자는 자신을 둘러싸고 공격할 수 있는 유닛에 매우 약합니다. 물론 점멸로 빠져나갈 수 있지만, 다시 사용하려면 10초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또다시 둘러싸일 수밖에 없겠죠.

 

더스틴: 김태연이 공격에 사용한 유닛은 거의 죽거나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금 공허 폭격기(Void Ray)가 그래비톤 광선(Graviton Beam)으로 여왕을 들어 올리자 불사조가 마무리하는군요. 저그는 계속해서 김태연의 앞마당 확장기지를 밀어붙입니다. 프로토스의 견제에 이연호가 앞마당 확장기지 공격을 잠시 멈추는 듯하지만 이제 주 기지를 공격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습니다.

 

 

 

11:33

 

로버트: 김태연의 기지는 방어선이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저글링 몇 마리가 무리에서 벗어나 맹독충(Baneling)으로 변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저글링과 바퀴는 공격에 취약한 변태 중인 맹독충을 보지 못하게 교란하고 있습니다.

 

더스틴: 저 맹독충은 적에게 가까이 다가서면 폭발합니다. 아, 이동합니다. 이연호, 맹독충을 이용해 김태연의 탐사정과 광양자포(Photon Cannon )를 파괴하는 데 성공합니다.

 

로버트:  이연호, 김태연에게 피해를 입히기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까진 탐사정 44기가 있는 김태연이 일벌레 37마리인 이연호보다 경제적 우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12:23

 

더스틴: 저그가 이 게임에서 승리하려면 계속해서 일꾼을 생산해야 할 것입니다. 프로토스가 파괴 가능한 바위를 부숴서 저그에게 기습 공격을 감행할 것 같습니다.

 

로버트:  보이는 바로는, 기습 공격이기엔 좀 늦은 것 같군요. 한편, 이연호는 변태시킨 맹독충 쪽으로 프로토스 군대를 꾀어내려 하고 있습니다.

 

더스틴: 맹독충이 광전사를 제거했고, 프로토스 병력은 잘 전개된 역장의 힘으로 간신히 빠져나올 수 있었습니다.

 

 

 

13:35

 

로버트:  김태연은 현재 이연호보다 두 배에 가까운 광물을 채취하고 있습니다. 김태연, 자원에서 이연호를 압도하고 있군요.

 

더스틴: 확장 기지를 잘 활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맹독충 몇 마리가 변태를 마치기 전에 처치되었고 이제 땅속에 있던 다른 맹독충들이 공격하여 무화기를 파괴했습니다. 김태연, 점멸을 사용해보지만 완고한 저그 병력에 맞서는데 곤란을 겪고 있습니다.

 

로버트:  감염자(Infestor)가 등장했습니다. 감염자는 신경 기생충(Neural Parasite)을 이용해 정신을 제어하듯 적을 조종할 수 있습니다. 지금 김태연의 불멸자(immortal)에 신경 기생충을 심어 추적자를 공격하고 있군요.

 

 

 

14:21

 

더스틴: 이제 이연호, 많은 유닛과 여왕을 잃었습니다. 저글링과 감염자 조합으로 프로토스의 공격을 간신히 막을 수 있었습니다. 

 

로버트:  이연호가 이 시점에서 3마리의 여왕을 잃은 것은 치명적입니다. 여왕이 있어야 더 많은 애벌레를 생성할 수 있거든요.

 

더스틴: 그런 부분은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글링이 광양자포에 제거되는 동안 프로토스는 비밀리에 거신(Colossus)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5:13

 

로버트: 김태연이 다음 공격을 준비하고 있으나 이연호는 잠복한 감염자가 정찰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계획을 준비하는지 다 볼 수 있습니다.

 

더스틴: 현재 저그는 거신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그 동안 프로토스는 차원 분광기(Phase Prism)를 사용해 저그의 기지 뒤편에 추가적인 유닛을 소환합니다. 마침내 김태연이 거신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이연호는 오히려 신경 기생충으로 거신을 빼앗아 반격합니다.

 

 

 

16:05

 

로버트:  이연호, 김태연의 거신을 조종해 김태연 자신의 군대에 무시무시한 피해를 입히고 있군요. 신경 기생충의 제어가 끝나자마자 저글링이 이용해 거신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더스틴: 회심의 프로토스 공격은 저그에 의해 좌절되었지만, 이 공격은 주의 끌기에 불과했습니다. 그 동안 프로토스가 저그 기지 대부분을 파괴했기 때문입니다. 추적자가 저그 확장기지를 부수고 있습니다.

 

로버트: 감염자와 여왕이 몇 마리 남아 있군요. 신경 기생충이 다시 한번 활약하며 몇 마리의 추적자를 지배하고 남은 병력을 처치합니다. 여왕이 차원 분광기를 파괴해보지만 불멸자가 4기 소환되고 나니 이연호로선 막을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17:04

 

더스틴: 엄청난 병력이군요. 이연호, 마침내 GG를 칩니다. 저그도 사실상 게임이 끝난 걸 알고 있습니다. 김태연에게 “좋은 게임이었다.”라고 전합니다.

 

로버트: 두 플레이어간의 멋진 시합이었습니다. 바퀴의 잠입과 추적자의 점멸 같은 기술을 잘 활용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더스틴: 그렇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크래프트II 전투 보고서와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 드립니다.

 

 

 

제공: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   GoblinAlchemist   |   Pnix_DoubleO   |   아이콘 진유온   |   아이콘 The_Rainbow   |   아이콘 [Enemy]   |  
아이콘 진유온 (2009-06-19 14:57:42 KST) JinYuOn@Kalimdor (Lv.0)
0↑ ↓0
센스 이미지
허허;;;
아이콘 Sorrow_Rainbow (2009-06-19 15:01: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으아... 베인링 제대로 먹히니까 타격치가 ㅎㄷㄷㄷㄷ

근데 전체적으로 "기초유닛 물량의 따른 힘싸움" 이 주가 된거 같네요.

전략 개발같은게 적어서 그런걸까요 후우
아이콘 Mooncurian (2009-06-19 15:28:22 KST)
0↑ ↓0
센스 이미지
배틀 리포트는 벌써 3번째입니다만 고테크 유닛이 안보이는게 아쉽군요. 특히 프로토스는 템플러를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다음엔 좀 더 고테크의 유닛과 화려한 매지컬 유닛들을 보고 싶군요.
아이콘 Saladom (2009-06-19 16:34: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그 안습.
스팀팩_라이플맨 (2009-06-19 17:08: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그 너무 발린다 ㅡ_ㅡ
homm3 (2009-06-19 17:09: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그 또 되게 못하는 사람 사용했구만...
ㅇㅅㅇ (2009-06-19 17:17:05 KST) - 211.195.xxx.2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번에도 김형이 승리
아이콘 CHAOSPHOENIX (2009-06-19 17:34:00 KST)
0↑ ↓0
센스 이미지
프로토스의 유닛들중 재밌어 보이는게 많군요... 역장을 통한 길막기 라거나 피닉스로 띄우기 등...
아이콘 Arcueid[E.Blue] (2009-06-19 18:10:56 KST)
0↑ ↓0
센스 이미지
퀸을 여러마리 뽑을수 있도록 바뀐듯
아이콘 카이류 (2009-06-19 18:44:29 KST)
0↑ ↓0
센스 이미지
지금까지 나온 전투중엔 가장 재밌었던듯
별왕 (2009-06-19 19:32: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pino 깔기 번거로우신분은 유투브로 보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VNU21qess4c

http://www.youtube.com/watch?v=a2WkwEuZsa4
구지성 (2009-06-19 21:03: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별왕님 ㄳㄳ
헐; (2009-06-20 01:39:37 KST) - 124.63.xxx.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그는 매번 발리는 역할이네요 ㅠ 특별히 뭐 보여주는 것도 없고. 뮤탈이라도 봤으면 했는데 아니면 화면 가득채우는 저글링 웨이브라든지
g (2009-06-20 08:41:44 KST) - 220.76.xxx.56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태...태연!!
아이콘 Mooncurian (2009-06-20 11:07:31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래도 저그가 베인링과 인페스터 및 버로우는 잘 쓰는 듯 합니다. 저런 식으로 쓰이는 군요. 음...
skwnd32 (2009-06-20 12:30: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인페스터가 무슨 역활을 하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자꾸 버러우만 되있네요.
버러우 상태에서 뭔가 가능한가요?
스타2는 확실히 특성이 많아서 잼있을듯.
아이콘 카이류 (2009-06-20 16:35:00 KST)
0↑ ↓0
센스 이미지
skwnd32//번역문을 보시면 일종의 정신지배 역할을 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건물 자체를 감염시키는 기능도 있다고 들었는데 패치중에 삭제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ㅇㅅㅇ (2009-06-20 17:15:02 KST) - 211.195.xxx.2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신경 기생충이란 마법으로 10초간 적군을 아군으로 만듭니당.
냐흠 (2009-06-20 21:53: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해처리 수 만큼 퀸을 뽑을 수 있나보네요. 그리고 저그가 히드라 뽑아서 피닉스랑 셔틀 잡았으면 이겼을 것 같은데..
_Dark_ (2009-06-20 22:57: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뇨스님 올려주시는건 고맙지만 피노는 좀.. 피노가 컴퓨터에 유해한 프로그램이고, 심하게 욕먹고 있습니다. 또 이거 보신분들 보고 피노 바로 지우는거 추천해요.
╋하이델룬╋ (2009-06-23 00:11:59 KST)
0↑ ↓0
센스 이미지
임모탈은 드라군 수준이 아니라 거의 탱크급이로군요 굉장히 무게감 있는 유닛인듯

여전히 거신은 언제 어디서나 발리고 ㅜㅜ

사실 나온지 얼마안된 게임이 후반 유닛 보기는 쉽지 않죠 초반 유닛을 이용하는 전략이 시간이 지나 후반유닛을 이용하는 전략에게 깨지면서 널리 퍼지는 것이기 때문에...

여튼 역장이 쓰이는 모습을 보니 정말 흥미롭네요... 쓰시는 분도 연습 많이 하신듯하고
dsd (2009-06-23 08:25:20 KST) - 59.20.xxx.32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임모탈이 거신보다 더쎄네요/.
아이콘 Celcious[XP] (2009-06-23 16:27:43 KST)
0↑ ↓0
센스 이미지
프로토스가 거신을 활용안한데는 다 이유가 있다
아이콘 F1rst (2009-06-28 02:05:40 KST)
0↑ ↓0
센스 이미지
드론이 건물 지을 때 너무 이상합니다. 스타1에서는 드론이 건물을 짓기 위해 하는 순간적인 움직임이 있고. 워3에서는 위습이 건물을 짓고나서 땅에 건물이 작은 초록숲에서 큰 초록숲으로 바뀌는 시작적인 면과 소리까지 나는데 스타2는 그냥 드론이 그자리로 가더니 소리도 없이 건물은 쿵쾅쿵쾅 뛰면서 지어지고 있습니다.
거디가다 중간에 저그가 해처리를 레어로 업그레이드 하는부분에서도 스타1에서는 딱 눈에 들어오는것과 다르게 옆에있는 챔버같은 건물들과 비교가 안됩니다.
그리고 챔버보다 해처리가 큰데 왜 레어로 진화하는 모습은 챔버보다 작게 보이는겁니까? 그리고 저그가 건물 지어질 때의 모습은 스타1에서 3가지로 나뉘어져있는데 왜 스타2에서는 고작 하나죠? e스포츠를 위한 게임 만들다면서 시각적인 효과에 신경쓴게 고작 이건가요? 블리자드팬으로써 너무 블리자드를 믿어온 것 같네요.
first님아 (2009-07-05 16:24:18 KST) - 121.136.xxx.188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블리자드가 그딴거를 왜 안신경씁니까;;
당연히 하죠 만약에 제가 정품출시쯤에 그딴거 하나라도 안되어있으면
손에 장을 집니다.
지금은 블리자드로써 그런거 신경쓸때가 아닙니다. 추후에 100% 됩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