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56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콩성전차
작성일 2011-04-12 20:59:00 KST 조회 1,763
제목
프로토스의진화모습과아이어의셍태계
프로토스가 키가큰 이유가 아이어의 낮은 중력때문인거 같은데요 근ㄷ

프로토스가 광합성을 하는 이유도 아이어의 생태계때문인가요

아님 젤나가 가 인의로 진화를 조종한건가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도란 라우스 (2011-04-12 21:46:46 KST) - 183.98.xxx.169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프로토스는 원래 광합성을 했습니다. 아마도 지구의 파리지옥 같이 광합성과 섭취를 동시에 하며, 어느정도의 유동성을 지닌 생물이 조상인 걸로 추측됩니다. 아이어의 중력은 지구와 비슷합니다. 중력은 질량의 크기에 비례하는데, 설정을 보면 아이어가 지구와 비슷한 크기거든요.
프로토스가 키가 큰 이유는 광합성을 하기 위해 더 많은 면적으로 빛을 차지하려는 이유 같습니다.
아이콘 지브정가르 (2011-04-13 02:58:36 KST)
0↑ ↓0
센스 이미지
아이어의 중력은 0.98입니다. 지구랑 중력에 별로 차이가 없죠.
프로토스의 키가 큰 이유는 그냥 추측하도록 합시다.
블쟈가 키크면 간지겠지해서 3m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아마도 나무가 클수록 작은 나무보다 빛을 받기 유리해지는데
그래서 프로토스 키가 크지 않을까요?(내가 무슨 소리하는 거지?)
아이콘 [아라한] (2011-04-13 22:48:55 KST)
0↑ ↓0
센스 이미지
차행성 보니까 목성만 하던데 저그는 왜케 큰가요
아이콘 지브정가르 (2011-04-13 23:37:53 KST)
0↑ ↓0
센스 이미지
└차행성이 목성만하다구요? 지구보다 작은데요?
직경/중력: 10,521 km, 0.91 표준치 (출처 : 공홈)
그리고 애초에 목성크기면 생물이 살 환경이 안돼요.
앙ㅎ하 (2011-04-14 10:01:54 KST) - 58.72.xxx.24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생물이살려면 산소가있고 물이있고 물질대사에 젖절한온도정도면 되는거아님까
목성크기 행성이면안됨?
111 (2011-04-14 10:18:48 KST) - 211.209.xxx.75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윗분말씀대로 중력은 질량의 크기에 비례합니다. 목성크기의 행성에서 생물이 살려면 그 중력 때문에 척추가 있는 생물은 살기가 힘들어요.
목성은 거의 준항성 급의 행성이라 ㄷㄷ;
아이콘 Silverbronze (2011-04-14 17:01:33 KST)
0↑ ↓0
센스 이미지
목성을 연구하다 보니 항성이 되려다가 말았다는 흔적을 발견했다죠.
아이콘 지브정가르 (2011-04-14 21:33:36 KST)
0↑ ↓0
센스 이미지
목성형 행성들의 특징이 크기가 크고 대부분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겁니다.
중력도 굉장한데다 대부분이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살 환경이 안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살기 적절한 온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항성과 어느정도 가까운 것이 좋겠죠?
하지만 항성과 가깝게 되면 물질을 항성에게 뺏겨버려 목성만큼 커질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만약 살수있다면 그 생물은 땅이 없으니 목성의 강력한 중력과 가벼운 대기 속에서도 떠다녀야겠죠? 여튼 그런 환경에서도 떠다닐 수 있고 강한 압력에도 버텨내는 육체와, 산소가 부족하니 수소로 호흡해야 하니까 몸에 핵융합로를 달아야합니다.
아이콘 Gaybar (2011-04-14 21:52:23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렇게 목성에서 생물이 살수있냐 없냐의 논쟁이 사작되게 대는대..
아이콘 테란권하는사회 (2011-04-14 22:14:29 KST)
0↑ ↓0
센스 이미지
지브정가르 님이 대부분 설명하셨지만, 추가설명을 하자면 코낼 대학교의 행성연구소 소장인 칼 세이건 교수와 그의 동료 샐피터 교수의 말에 따르면 목성을 비롯한 거대 기체 행성에는 고체 표면이 없기 때문에, 목성에는 구름 덩이리들이 떠도는 수직으로 무한히 이어진 고밀도의 가스층인 '심연'이 있죠. 이러한 대기권에서는 각종 유기 분자들이 하늘에서 마구 떨어질 겁니다.대기권은 격렬한 난류 운동을 하고, 대기권 아래쪽 깊숙한 곳은 매우 뜨거워서, 목성의 생물은 바닥으로 가서 죽기 전에 재빨리 번식해 후손들이 상승 기류를 타고 서늘한 상층부로 가도록 진화해야 하죠. 또는 거대한 수소풍선 같은 생물도 있을 수 있는데, 헬륨 이상으로 무거운 기체는 버리고, 수소로만 몸을 채운 뒤, 먹이로 얻은 에너지를 체온 유지에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체내의 수소를 뜨겁게 해 부력을 얻는 생물이죠. 이런 생물은 크기가 커야 유리하기 때문에 거의 수 킬로미터에 달할 수도 있습니다. 저그의 베헤모스도 어쩌면 이런 생물 출신일지 모르겠네요.
아이콘 테란권하는사회 (2011-04-14 22:18:31 KST)
0↑ ↓0
센스 이미지
좀 더 생태계를 추가해보자면 포식자도 있을 수 있겠네요. 빠른 기동성을 이용해 위에서 언급한 두 종의 생물들을 잡아먹으면서 필요한 유기 물질과 수소를 얻어 살아가는 종류의 포식자겠죠?
참고로 위에서 말한 수소 풍선 종류의 생물의 경우 목성에 지천으로 널려 있는 유기 물질을 섭취하거나, 식물처럼 햇빛과 공기로부터 자신이 필요로 하는 유기 물질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체내의 기체를 강하게 분출하여 로켓처럼 행성 여기저기를 떠다닐 수 있습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