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01-10 20:55:11 KST | 조회 | 1,178 |
제목 |
[퍼옴]도타용어정리
|
1.크립
크립 : 중립크립,라인크립(상대편, 우리편) 에인션트 크립으로 나뉜다. 중립크립은 '숲'속의 보통 크립들로서 핸드 오브 마이다스의 트랜스뮤트가 가능하고 에이션트 크립은 트랜스 뮤트스킬이 불가능하며 경험치와 골드량이 중립크립에 비해 1.5배 높다. (트랜스뮤트 = 몬스터를 돈으로 바꾸는 스킬)
메가크립 : 본진에 있는 배럭 6개가 전부 부서지면 크기도 커지고 파워업된 크립이 나오게 되는데 이를 메가크립이라고 한다. 메가크립이 되면 게임은 거의 끝났다고 보면된다. 메가크립같은 경우에는 일반 라인크립에 비해서 돈도 조금준다.
슈퍼크립 : 게임시작후 모드설정할때 -sc를 입력하면 나오는 크립으로 일정라인에 특정시간에 슈퍼크립이 리젠되는데 이 크립은 매우 강력하며 이 크립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라인을 밀수도있고 밀릴수도 있다. 조종불가하며 잡을시 많은 돈을 준다.
풀링 : 정글캐릭터가 정글몹을 유인해서 우리팀라인몹과 싸우게 하는것으로 라인관리에 큰 도움이 되며 체력을 안쓰고막타만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익혀야할 기술이다.(풀링방법은 42초에 센티는 바텀, 스콜지는 탑라인 부근에서 가장 가까운 중립크립을 친 후 라인으로 끌고와서 우리 크립이 몹을 치게 하면 된다, 그외에 많은 방법으로 풀링을 하는 기술이 있다.)
2. 라인관리
디나이 : 피가없는 우리 크립(절반이하), 지속성대미지(예를들면 둠)를 입은 우리편 영웅(25%)과 타워(1/10이하)를 강제공격하여 죽이는 행위, 라인관리(즉 라인을 유지시키는것)에 중요하며 고수로 가는 첫걸음. 지속성대미지를 입은 우리편영웅도 스킬에 따라서 되는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다. 또한 패치로 인해서 타워를 디나이 당하면 소정의 돈을 얻게된다. 우리편 크립을디나이 하면 근접캐릭은 절반의 경험치를 얻고 원거리 캐릭은 1/3의 경험치를 얻게된다.
라인홀딩 : 라인을 일정부분에서 멈춘다라는 뜻으로 디나이를 능숙하게하면 저절로 되는데 상대방에게 돈을 안주는것과 돈을 안정적으로 번다는 것의 두가지 의미로 아주 중요한 스킬이다(배우는거아님).
파밍 : Farming 으로 농사를 짓는다는뜻에서 돈을 번다는 모든행위(영킬제외). 보통 파밍하면 중립크립을 잡는것을 의미.
푸쉬 : push로 민다는 뜻이다. 우리편 영웅이 모여서 적 타워를 미는 행위를 뜻하며 보통 한타를 유도할 때 쓰이고, 3라인푸쉬는 상대방이 라인으로 분산되게 해서 우리편이 갱크를 잘 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무리한 푸쉬는 죽음을 불러옴을 명심!
3.하면 안되는것
리버 : 게임중간에 나가는사람으로서, 인간이하의 대접을 해도 무방하다. 하면 안되는 짓 No1
커킥 : 일종의 핵으로써 방장이 맘에 안드는사람을 게임에서 내쫓는것이다. 하면 안되는짓 No2이다.
맵핵 : 왜하면 안되는지 아시죠^^? 양심에 맡길게요
4. 킬과 관련
퍼블 : 퍼스트블러드(First Blood)로 게임전체에서 처음으로 유저가 유저를 죽이는행위이다. 킬보너스로 200원이 더 지급된다.그러나 패치된후 센티널이나 스콜지(타워)가 죽여도 어시스트를 유저가 하게되면 퍼스트블러드가 된다, 이때 돈은 나눠서 갖고타워가 죽였는데 어시스트가 없으면 퍼블이 되지 않는다.
한타 : 보통 교전과는 달리 적이나 아군영웅 8명 이상 즉 대단위 전투규모를 일컫는다. 이 한타에 따라 불리하게 진행되온 경기를 역전할수있기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영킬 : 영웅킬의 줄임말로 영웅을 죽이는 행위
갱킹 : 갱크라고도 하며, 팀원들이 모여서 상대방 영웅을 잡으러 가는 행위
로밍 : '돌아다니다'라는 roaming으로, 돌아다니면서 영킬을 하는것을 의미힌다. 주로 히드라, 벤지 등의 서포터캐릭이 한다.주로 이런 캐릭들은 템트리를 올리지않고 보틀,신발,포탈,브레이서의 템으로 끝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피딩 : 적군 영웅에게 계속 죽어주는행위.(고의적이든 비고의적이든)
뉴비 : 초보자를 의미하는 단어.
5. 데미지 관련
물리데미지 : 영웅의 평타(일반공격)을 가리킨다. 영웅의 물리방어력에 의해서 감소되며 방어력은 아이템과 민첩스탯으로 올릴 수 있다.
마법데미지 : 영웅의 마법공격을 가리킨다. 영웅의 마법방어력은 기본적으로 20%정도 있고, 게임내 에서 후드로 올릴 수 있다.
퓨어데미지 : 물리,마법방어력을 무시하고 들어가는 데미지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인첸트리스의 임페투스, 사일런스의 글레이브, 어스 쉐이커의 에코슬램에서 시체로 증폭되는 에코데미지가 있다.
믹스데미지 : 영웅의 물리방어력과 마법방어력 둘다 영향을 받는 데미지 유형. 예로써 테키의 자폭과 리모트마인을 들 수 있다.
6. 캐릭터 관련
솔로 : "솔"로 주로 표현하고 혼자서 라인을 맡는 영웅, 보통 레벨을 올려서 로밍을 하는 캐릭이 하게된다.(하지만 때에 따라 다르다.)
ex) 저 미들솔이요~
누커 : 한번에 많은 대미지를 줄수있는 캐릭터이다. 예를들면 팅커, 리나, 라이온 등등
캐리 : 후반캐릭터를 지칭한다. 예를들어 트롤, 스펙터, 팬어, 루나 등등
서포터 : 1) 후반캐릭터를 보조, 와드사서 박음(sitter(시터)라도고 한다). 2) 갱크나 영킬에 도움이 되는캐릭.
주로 와드를 사고 메칸즘이나 아켄링같은 아템을 가서 보조역할을 수행한다.
Ex] 1)쉐도우프리스트, 2)각종 스턴캐릭
탱커 : 한타시에 몸빵을 하는 역할로 주로 힘캐릭이 해당된다. (ex 켄타, 브리슬백, 등등)
장판 : 광역기술로서 한타시에 매우 유용한 스킬이다. ex) 어쉐의 궁극인 에코슬램, 샌드킹의 궁극인 에피센터, 타이드헌터의 궁극
7. 룬과 관련
룬첵 : 도타에서는 매 짝수 분마다 룬(빨간색, 연보라색, 주황색, 연두색, 파랑색)이 나오는데 이를 체크하는것을 룬첵이라고하며
영킬이나 생존에 매우 유리하다. 빨간색은 헤이스트, 연보라색은 인비, 주황색은 일루전, 연두색은 리젠, 파랑색은 더블데미지이다. 효과는 헤이스트는 이속 최대, 인비는 은신, 일루전은 2개의 분신생성, 리젠은 모든 체력과 마나회복, 더블대미지는 영웅평타대미지의 두배의 대미지를 증가시킨다. 한가지 팁으로 인비룬을 물병에 담고 인비룬을 먹었을때 곧바로 물병을 한번 먹어도 인비는 풀리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먹으면 풀린다.
닭 : 카오스에서 창고로 불리는 것으로 여기서는 걸어다닌다. 카오스와는 달리 영웅이나 크립에 의해서 쉽게 죽을수있기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새로 업그레이드 할수있다. 새는 날아다니고 부스터와 케리어쉴드를 쓸수있다. 부스터=이속증가 캐리어쉴드=일정시간동안 무적, 새로 업글했을시에 물병으로 룬을 먹을 수 있다. 새로 룬을 지울수도 있다.
새보틀 : 빈보틀을 우물에 가져가면 보틀이 차는 원리에 착안하여 새를 이용해서 보틀을 나르는 것을 새보틀이라고한다. 주로 미들솔에서 하며 굉장히 까다로운 컨트롤을 요구한다.
8. 아이템관련
서클 : 새로 생긴것으로 자기 색깔의 원이 우물옆에 존재한다.(센티널은 왼쪽, 스콜지는 오른쪽) 여기서 할수 있는일이 매우 다양한데 돈부활, 건물방어를 일순간에 9999를 만드는것, 영웅이 마을에 없을때 예전에는 아이템을 사면 그냥 땅에 떨어졌는데 이제는자기 서클위에 올려져 있게되었다. 상당히 유용한 것이다. 또한 자기 서클위에 있는 아이템을 주을 수 있으며 한번에 아이템을 조합 할 수 있게 되었다.
비밀상점 : 탑라인과 바텀라인에 있는 두개의 상점으로 여기서 파는 것 중 중요한것은 포탈, Ring of Health(875원, 피리젠+5)ultimate orb(2100원, 올스탯+10), 탈출의단검(kelen's dagger, 2150원), 후드(650원), 스타웃쉴드(300원)헬름(피리젠 +3, 방어+5), 매직완드(상대편이 마법을 시전하였을때 차지가 쌓이고 차지 하나당 피 15와 마나 10을
회복할 수 있는 아이템), 포탈(자기편이 있는 건물로의 순간이동, 135원), 부츠(이속증가, 500원)
에너지부스터(마나+250), 글러브 오브 헤이스트(공속증가, 파트의 재료), 450원짜리 능력치아이템(힘, 민첩, 지능이며 파워트레드의 재료가된다.) 비밀상점을 잘 활용한다면 마을에 다시 가야하는 불필요한 소요를 줄일 수 있다.
오브이펙트 : 상태이상을 일으키는 아이템 혹은 기술. 이것은 중복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퓨절블레이드의 피드백과 마스크 오브데드의 흡혈효과는 겹치지 않는다
오브이펙트가 두개일때 계산되는 테이블도 있으나 복잡하다. 오브이펙트의 아이템중 대표적인 것 은 디퓨절블레이드(피드백 : 마나를 없애고 그와 동등한 데미지 추가), 헬름오브도미네이터(흡혈 : 공격한데미지의 일정부분 체력으로 흡수), 산지앤야사(메임 : 5초동안 슬로우), 아이오브스카디(슬로우), 데솔레이터(커럽션 : 일정방어 감소), 마엘스트롬과 묠니르(체인라이트닝 : 일정확률로 체인라이트닝 발동) 등이다.
레인지캐릭터인 경우에 아이오브스카디의 슬로우는 중복이 되어 오브아이템을 하나 더 낄수있다.
오브이펙트기술은 네루비언위버의 제네레이트어택(두번공격), 문라이더의 문글레이브(여러명공격), 트라젝스(드로우레인저)의 프로즌에로우(우), 본플레쳐의 시어링에로우(추가데미지), 우르사 퓨리스왑(일정데미지를 중첩되어 추가), 바이퍼의 포이즌어택
자이로콥터의 플랙케논도 오브이펙트이지만 스카디착용은 가능. (레인지스카디는 버프플레이서라서 가능)가 있다.
어떤 오브이펙트를 정하느냐에 따라서 게임을 장악할 수 도 있고, 장악당할 수 도 있다.
아이템 줄임말 : 자주 쓰이는 아이템의 줄임말을 정리해놨다
레이스밴드=레벤, 눌 탈리스만=눌탈, 메칸즘=메칸, 블랙킹바=블킹, 배틀퓨리=배퓨, 몽키 킹바=몽킹,
버터플라이=버플, 구인수=권수, 블러드스톤=블스, 헬름오브도미네이터=도미, 산지앤야사=산야,
데솔레이트=데솔, 마엘스톰=마엘, 디퓨절블레이드=디퓨, 부츠 오브 트레블=트부, 파워 트레드=파트
라.디언스=라디, 만타 스타일=만타, 탈출의 단검=탈단, 어둠의 항아리=항아리, 고스트셉터=고셉
9. 기타등등
고스트폼 : 고스트셉터를 들면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물리공격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마법스킬엔 더 많은 데미지를 입는다.푸그나의 2번째 스킬과 똑같음.
포스 : 포스셉터를 들면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바라보고 있는 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블링크개념이지만타인에게도 시전할 수 있다.
채널링 : 다른말로 시전시간이라고 한다, 스킬을 쓰는동안 움직이거나 다른 행동을 하면 안되는것이다.
예를들면 에니그마의 궁극 스킬인 블랙홀 같은 경우에는 스킬이 시전될때 움직이거나 디스에이블을 당하면 바로 스킬이 취소된다.
따라서 채널링 스킬을 가지고있는 캐릭터같은경우에는 이에 대비하여 컨트롤을 신경써야 할 것이다.
미싱콜 : 상대방영웅이 라인에서 없어졌을때 하는 것이며 주로 xxㅁㅅ 라고 표현한다. ex)상대방라인에 팬어였는데 미싱이였으면팬어 ㅁㅅ 라고 표현하고 영어론 pa mia(mia = missing in area) 라고 표현한다. 보통 라인에서 크립막타를 하는 초반에서 중반넘어가기 전까지 한다. 후반에는 라인에서 싸울일이 별로 없기때문이다. 미싱콜이야말로 카오스에서는 별로 볼수없는 것이다.
미싱콜 못하면 우리편이 죽거나 큰 손실이 있기때문에 꼭 하는게 좋다.
(물론 카오스에서도 미싱콜이라는 개념은 있지만 도타에서처럼 공방에서 바로바로 하는것은 못봤기때문에 이렇게 썼습니다.)
백도어 : 우리편 크립없이 상대편 건물을 부수는것으로 대부분의 공방게임에서는 백도어가 허용되고, 리그에서는 허용이 안된다.
시작할때 방장이 노룰이라고하면 백도어 허용이고 백도어금지라고하면 백도어 금지이다.
돈부 : 돈부활의 줄임말로 게임이 극후반까지 가거나 팀이 위기에 처했을시에 죽은 영웅을 일정한 금액을 내고 부활하는 것으로자기 영웅밖에 안되며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금액이 커진다. 초반엔 안하는것이 좋다. 영어로는 buy back(bb) 이라고한다.
로샨 : 바텀룬 지역에 있는 시간이 지나면 강해지는 보스 몬스터로서 잡게되면 죽어도 그자리에서 살아나는 능력을 주는 아이템(이지스)을 주게된다. 세번째부터 리젠되는 로샨은 피3000과 마나 1000정도 회복하는 아이템인 치즈를 주게된다.
기초 명령어: -di(크립킬과 디나이를 보게하는명령어고 디나이를 했을시에 디나이를 한 크립위에 느낌표가 뜬다),
-repick (영웅을 리픽하는 명령
-cs(크립킬과 디나이 중립크립의 킬수를 볼수있게 하는명령어지만 -di와는 다른점은 -cs를 입력하면크립킬/디나이/중립크립의 킬을 화면에 한번 볼수 있다는 점이다. 일정시간후에는 없어지며다시 입력하면 갱신된 킬수가 나오게 된다.)
-ap(올픽, 즉 센티널과 스콜지영웅 모두 선택할 수 있는 모드),
-rd( random drift, 리그모드지만 영웅이 랜덤적으로 제한되어있는 모드),
-sp( suffle이란 뜻으로 센티널과 스콜지의 유저를 임의대로 섞는 명령어)
-sd(single drift로 각 유저들마다 힘캐릭, 민첩캐릭, 지능캐릭 한개씩 고를 수 있는 모드)
-ar(all random으로 모든유저들이 랜덤으로 캐릭터가 걸리게 되는 모드이다, 리픽해도 랜덤캐릭이 걸리게된다.)
-cm(captain mode로서 밑에 설명되어있는 리그모드이다.)
XL(리그모드) : 리그에서 쓰이는 모드로, 캐릭을 4개씩 서로 밴(못쓰는캐릭을 정하는것)을 하고, 먼저 밴을 한 팀이 선픽을 하게 된다. 캐릭터를 뽑는 순서는 1/2/2/2/2/1 의 순서이다.
출저-도타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임(도즐모)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