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전 게시판 beta
협동전 공략 beta
작성자 |
|
||
---|---|---|---|
작성일 | 2018-09-01 20:41:45 KST | 조회 | 1,735 |
제목 |
밑에 있는 포럼글 믿지 마세요
|
Infested라는 분이 쓴 글을 읽고 과연 얼마나 잘하는 사람이길래 글을 아무런 객관적인 근거나 이유도 없이 말을 썼는지 너무 궁금해서 한번 프로필 봤는데,
알라라크, 한호너, 피닉스, 스투코프만 레벨 5 업적만 있고, 나머지는 일체 안올렸습니다. 심지어 래더, 켐페인도 아예 안했더라고요.
고작 네명의 사령관을 5레벨까지만 올려놓고 죽음의 함대가 어쩌고, 아바투르는 아예 하지도 않았으면서 아바투르 군숙에 대해 불만을 내놓는다? 너무 이상하더군요.
그렇다면 외국인일 가능성이 높은데.... Abathur라는 당연한 단어를 Abath라고 쓴 걸로 보아 아시아 서버에서 게임을 하는 유저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밑에 댓글에 'Broken English'라는 글로 미뤄보아 문법도 잘 안맞은것 같네요.
그리고 이 사람이 포럼을 잘 안보는 사람인게 잘 나타납니다.
1. 케리건 뮤탈리스크에 대해 말을 놓았는데, 케리건 뮤탈리스크 개편되고, 재조정 패치가 들어갔었던 1달동안, 엄청나게 많은 케리건 뮤탈리스크에 대한 의견이 있었습니다. 재조정의 '튕길시 데미지 증폭 삭제', '본래의 공격방식에서 데미지 감소 삭제', '중장갑 추뎀 삭제' 등, 그밖에 다른 의견들도 굉장히 많았으며, 블리자드는 그걸 일부 수용해서 패치를 진행한 거였습니다.
근데 케탈리스크에 대한 반응을 1달동안 안했다? 포럼을 자주 보는 사람인지 의심스럽더군요.
2. 자가라 변형체, 타락귀가 상향을 받아도 링링갈귀가 더 좋다라고 했는데, 군단충은 3초만에 한번에 3마리씩 생산 + 공짜 맹독충 공장 + 갈귀는 노업 110 공격력에다가 싼 가격에 두마리씩 나오는데 변형체와 타락귀는 이들보다 더 좋아야 한다는 건가요? 변형체가 2초만에 나오고, 타락귀는 공격력이 150 이상 되야지 좋다는 걸까요? 저는 상상이 안가네요.
그리고 자가라의 변형체와 타락귀를 굴리면 아시겠지만, 변형체의 데미지 50% 감소는 지상 거대 유닛을 제외한 모든 유닛에게 적용되며 (아군에게도 적용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회피 특성과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해서 소모전에도 저글링이 죽지 않는 걸 보면 입이 벌어지죠. 또한 공3업시 중장갑 공격력 52라는 엄청난 데미지까지... 타락귀도 공3업시 공격력 37 , 타락 쿨타임 15초로 감소로 인해 전보다 훨씬 자주 쓸 수 있고, 죽을 시 갈귀 2마리 방출로 인해 가성비는 준수합니다. 데미지 주고 나면 현자타임이 있는 갈귀와 다르게, 타락귀는 본래 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서 자가라에 큰 혜택이 없어도 그정도 버티는 건만 해도 안정감을 주게 하죠.
애초에 자가라한테 인구수 제한이 100이라서 이 둘을 대량으로 쓰기에는 무리지만, 서포팅으로 쓴다는 생각으로 한줄정도 생산해놓으면 값을 톡톡히 치릅니다.
의심스러운게 더 있긴 한데, 더 나열하면 글만 길어져서 이만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문제지적만 하고, 정작 중요한 해결책은 쏙 뺴놓고 썼다는 점. 저도 이런 글은 영양가가 없는 글이라고 생각하네요. 중요한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으면 좋겠느냐'가 결여되어 있으니까요. 이런글은 피드백글이 아니라 징징글이라고 해도 구별을 못하겠네요.
추신: 그리고 북미 포럼에 대한 태도에 대해 오해를 풀고 싶습니다. 북미 출신 유저들도 케빈동에 대해 열혈적인 우호적 태도를 펼치는건 아닙니다. 오히려 케빈동과 다른 시각들을 가지고 있으니까 개편안을 내놓았을 떄 더 좋은 의견과 그에 맞는 이유도 적어서 밸런스팀이 수용할 수 있게 적극적으로 글을 쓰죠.
하지만 저 Infested님이 쓴 글은 케빈동에 대해 좀더 노력하자는 격려가 아니라 비하, 비꼬는 말이 많습니다. 의견을 내놓는 자리에 그저 남을 비하하는 글은 북미사람이 아니라 그 어떤 나라에서도 공감을 못받습니다. 오히려 비꼬기 보다 구체적으로 의견을 내놓아서 자기가 생각하는 문제를 어떻게 하면 블리자드가 인지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지 생각해서 글을 쓰는게 오히려 사람들의 공감을 받기도 쉽고, 블리자드쪽에도 한번 생각의 여지를 줄수 있습니다. 객관적인 근거나 이유까지 있으면 금상첨화고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