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42610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해병킹
작성일 2012-02-12 22:50:18 KST 조회 205
제목
아니왜자꾸

정종현이런애들 다합쳐도 이영호보다 딸린다고하지? 그건 스1에서의 얘기일뿐 스2에서는 전혀아닌데

이영호를 깎아내리는게아님. 나역시도 스1꾸준히본사람으로서 이영호는 전무후무한 스1의 신임. 갓영호

 

하지만 주제가 스2라면 이야기는 달라짐. "이영호의 스1의경력으로 스2와도 정종현따위 가볍게 누르고 본좌먹는다"는건 개소리일뿐. 물론 스1떄의 그 패기와 열정과 재능 노력이라면 금방 sss급이 될순잇겟지만 곧바로 정종현을 잡는다는건 순전히 개소리임

중요한건 이영호는 스2와 전혀 무관한애임 얜 스1프로게이머임 ㅇㅋ?

 

그리고 정종현이 스2최초의 본좌라고 해도 안틀림 맞는말임 정종현의 스펙을 뛰어넘는애가 있긴있을라나? 그것도 손목터널증후군이라는 재앙같은병을가지고 지금의 본좌칭호가 붙은 정종왕인데...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이애송이놈들 (2012-02-12 22:53: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종현 아직 스2 본좌는 아님... 본좌라고 불리우기엔 솔직히 너무 지는편임.
아이콘 비비듀듀 (2012-02-12 22:53: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본좌라고 할수 없어요 아직. 스타1에서 본좌라는 단어가 만들어질때는 마재윤이 극강의 포스로 5연결승진출하고 극강의 포스로 스타판을 잠식했을때 그 엄청난 포스에의해 만들어졌어요. 오죽하면 마재윤이 스타판 다해먹어서 스타판 망한다는 얘기가 자주 나왔을정도에요. 스타2는 경기수가많아서 한달에 한번씩열린다면 스타1은 3~4개월에 한번싞열리는데, 그 긴시간 장기간 포스를 유지해야 본좌포스를 내뿜는데 스타2에서 본좌포스 내뿜으려면 최소 5회우승은 해야합니다. 마재윤도 임이최마도 임요환빼고 4회우승이상인데
아이콘 라벤스부르거 (2012-02-12 22:54:4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종왕이 한해 먹은 상금이 2억6천인가? 정도 되잖아요
gsl3회우승 이 끝이 아니라 해외대회 나가서도 우승하고 WCG나가서 우승하고..
해병킹 (2012-02-12 23:01: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종현 5회우승에 근접해있거나 했을겁니다. 그리고 님은 스1에서의 본좌기준을 스2에도 적용시킨걸로 보이는데..... 스2는 스1에서와 똑같이 기준을 정하는것보다 스2 나름대로의 기준을 정하고 보는게 더 적절할거같구요.

그리고 지금까지의 정종현의 우승횟수,전체적인극강의상승세,극강의포스로 본다면 충분히 본좌로 봐도 적절할거같은데요.

스2에서 정종현만큼의 우승횟수나 포스를 가지고 있는 게이머가 있긴 있던가요? 최상위탑클래스의 임재덕,장민철,문성원,최지성,이정훈등의 선수들도 결국 정종왕의 커리어를 넘지 못했습니다. 또한 그 물오른상태를 유지한것도 정종현만한 선수도 없구요.

근데 정종현 우승횟수 5회이상일겁니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죠. 이정도면 스2 초대 본좌라고해도 전혀 이상할게없는데요.

그리고 스1에서 마재윤이 하도 혼자다해먹어서 스타판망한다는얘기나온다고하셧는데.... 스2에서도 비슷한상황입니다. 정종현이 gsl에 나가기만 하면 사람들 정종현 까는데 정신없습니다. 일명 "니가와 메카닉" 시전으로 진짜 보는사람들마저 빡돌게 만든 장본인이 정종현이었꾸요. 일단 정종현이 떳다하면 일명 '정종현을 막아라"라는 구호를 외치기도했었구요. wcg에서도 이런 말이 나돌았지만, 막상 결승떈 모두가 하나되어 정종현을 응원했었죠.

이정도면 스2 초대 본좌라고해도 손색없어보입니다.

일단 가장 중요한 우승횟수를 만족시킨걸로 아는데요.
해병킹 (2012-02-12 23:03: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여기있네요. 정종현 우승 거의 10회에 근접해있습니다.

WCG 그랜드파이널 스타크래프트2부문 우승
2011 블리즈컨 스타크래프트2 배틀넷 인비테이셔널 우승
2011 GSL투어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우승
2011 LG 시네마3D 월드 챔피언십 서울 우승
2011 GSL투어 소니 에릭슨 GSL Jan. 우승

이외에도 해외 가장큰대회인 MLG에서도 우승 몇개 거머쥐고있구요. 이외에도 기타대회등에서 찾아보면 더있을겁니다.

5회는커녕 10회에 가까운우승경력인데요.

본좌맞습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