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0-09-18 03:01:01 KST | 조회 | 661 |
제목 |
각 종족 자원 채취량 비교
|
원래 밸게에 글 안쓰는데 이건 정리할 필요가 있어보여 적어봅니다.
순수하게 자원 채취량만 비교하고자 하니 다른 내용은 댓글을 삼가셨으면 합니다.
먼저 테란과 토스를 비교하고 이후에 저그를 추가하여 비교해보겠습니다.
계산하기 편하게 광물 기준으로 갑니다.
먼저 지게로봇의 효율입니다.
일단 지게로봇이 시간당 광물 캐는 양은 일반 일꾼의 4~4.5배입니다.
편의상 최적의 위치로 잡고 4.5배로 계산하겠습니다.
6배로 알고 계신 분들이 종종 계신데 오픈베타 이전에 패치되면서 바꼈습니다.
그런데 이 지게로봇은 다른 일꾼을 무시하며 광물을 캘 수 있습니다.
이것까지 고려하면 계산이 복잡해집니다.
여기서는 편의상 일꾼 6기의 효율로 갑니다.
그 이상으로 계산하고자 한다면 차후 계산에서 그만큼 곱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시간증폭의 효율입니다.
시간증폭은 아시다시피 20초간 생산속도를 50%증가시켜 줍니다.
탐사정 생산시간이 17초이니 2번 쓰면 약 3.5기가 나옵니다.
즉, 시간증폭 4번이면 일꾼 3기가 추가로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서로 앞마당을 먹은 상태를 생각해봅시다.
테란은 궤도사령부 2곳에서 지게로봇을 뽑을 수 있고 (물론 이전에도 써왔고)
토스는 이전부터 시간증폭을 써서 일꾼이 좀 더 많겠죠.
간단하게 생각하기 위해 일단 매몰 비용을 제외하고
테란이 스캔이나 보급고 투하를 한번도 안쓰고 지게로봇만 꾸준히 찍어주는 상황이라면
일꾼이 지속적으로 12기가 추가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고
이는 토스가 시폭을 16회 연결체에 썼을 때와 효율이 같습니다.
만약 토스가 시폭을 15회 연결체에 썼다면 테란이 더 많이 캐고
토스가 시폭을 17회 연결체에 썼다면 토스가 더 많이 캐겠죠.
여기서 변수가 되는건 스캔이나 보급고 투하를 얼마나 쓰느냐인데
보급고 투하는 제외하더라도 스캔은 테란의 주 정찰/디텍팅 수단이기에 배제하기 힘듭니다.
다음과 같이 놓으면
지게로봇 사용 횟수:스캔 사용 횟수 = 1:1
아까 시폭 16회에서 8회로 손익 기준이 바뀌겠죠.
또 하나 변수는 아까 언급했던 지게로봇의 효율인데
만약 지게로봇의 효율을 일반 일꾼 9기로 보고 위와 같이 지게로봇과 스캔을 사용한다면
그러면 시폭 12회가 손익 분기점이 됩니다.
/////////////////////////////////////////
이제 매몰 기용을 따져봅시다.
시폭 탐사정 생산에 대한 매몰 비용은 탐사정의 가격 뿐입니다. (병력 부족에 따른 위험도는 차후에 다룹니다.)
1기당 50이 되겠죠.
테란은 일단 궤도사령부 가격 150이 있고
궤도사령부가 올라가면서 못 뽑는 건설로봇 2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보급고, 병영 등 여타 건물을 짓는동안 자원을 못 캐는 비용이 추가됩니다.
아까의 계산에서 나온 시폭 12회를 손익 분기점으로 잡았을 때
토스 => 50x(9-2x2) = 250
테란 => 150x2+@
테란의 매몰 비용이 보다 큽니다.
즉, 매몰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손익 분기점은 시폭 12회 이하로 내려가게 됩니다.
덧붙여 멀티 타이밍까지 고려해보겠습니다.
테란과 토스가 동시에 앞마당에 직접 멀티를 한다면 위 계산은 그대로 성립합니다.
하지만 테란은 보통 본진에 사령부를 짓고 띄우죠.
위 계산이 그대로 성립하려면 테란이 먼저 본진에 사령부를 짓고 토스가 그걸 보고 앞마당을 가져가는, 그런 구도가 되겠습니다.
////////////////////////////////////
그렇다면 저그는 어떻게 되느냐.
앞마당을 무난히 먹은 저그의 상태를 2부화장에 꾸준히 알까기를 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여기서 부화장의 라바 재생산 시간은 15초, 알까기 쿨은 40초입니다.
즉, 알까기를 꾸준히 하면서 일벌레만 생산하는 저그는
단순히 건설로봇만 꾸준히 생산하고 있는 테란보다 2배 이상의 일벌레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건물을 짓느라 소요되는 일벌레를 제외하고도 말이죠.
하지만 아시다시피 실제 경기에서 저그가 일꾼 숫자에서 압도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즉, 일꾼만 죽어라 뽑으면 자원 채취량은
저그>>토스>테란
이 되겠지만 반대로 지속적으로 전투를 하기위해 일꾼을 최소 숫자만 생산한다면
테란>토스>저그
가 됩니다.
/////////////////////////////////
정리하자면
- 무난한 양상을 가정하였을 때, 테란과 토스의 자원 채취량 비교 기준은 연결체에 몇 회나 시간증폭을 사용하였느냐가 된다.
- 그 손익 분기점은 서로 앞마당을 먹었다고 가정하였을때 대략 12회 이하가 된다. (주관적으로는 10회 정도)
- 즉, 7회를 사용하면 테란win, 13회를 사용하면 토스win.
- 여기에 대한 주된 변수는 스캔 사용량, 일꾼 숫자에 따른 지게로봇 효율, 건물을 짓고 있는 건설로봇의 숫자.
- 저그는 일꾼만 쨀 수 있다면 자원 채취량에서 압도한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망한다.
참고로
지게로봇의 특장점인 '인구수 안먹긔'라던가 '일꾼 다 잡혀도 부활하긔' 등은 자원 채취와는 적접 관계가 없기에 생략하였습니다. 알아서 생각해주세요.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