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1-10-15 08:15:59 KST | 조회 | 1,213 |
제목 |
원작의 느낌을 느끼기 위해서는 한국어 버전을 하는게 맞습니다.
|
블리자드 번역팀의 번역 1순위 목표는
"영어판을 영어 모국어자가 플레이 할때의 느낌을 타국 유저도 받게 하는것" 입니다.
직역, 완역 과는 전혀 그 방향이 다르며, 그 목표는 그동안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워송클랜 의 경우 전쟁노래부족 이라고 번역됩니다.(와우의 예)
우리가 워송클랜을 접했을때 느끼는 느낌은 분명히 영어권자가 워송클랜을 봤을때 느끼는 느낌과 다릅니다.
훨씬 영어권자에 비해 "멋있다거나" "약간 심오하다거나" "약간 알수 없는 느낌" 이 듭니다.
일종의 신비감? 이 드는것이죠.
이는 워, 송, 클랜 모두 매우 쉬운 단어로 어지간한 한국인은 그 단어의 뜻을 충분히 해석할 수 있지만
"느낌"은 다르다는 것이죠.
이를 전쟁노래부족으로 해석하면, 그렇게 신비하다거나 심오한 느낌은 사라집니다.
그냥 부족 이름이고 전쟁노래 라는 이름이구나 라는 느낌이 되어버리죠.
하지만 이러한 느낌, 이러한 정서가 바로 영어권자들이 느끼는 "원작의 느낌"입니다.
그래서 이런 단어의 경우 번역을 했죠.
와우에서 크로스로드 같은 경우도, 단순히 교차로 라는 뜻이고 영미권에서 일상어에 불과합니다만,
크로스로드를 그대로 쓸때는 교차로, 십자로 라는 의미에 비해 과장된 멋? 신비감?이 부여됩니다.
그냥 큰길이 만나다 보니 생긴 마을이고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닌데 말이죠.
영미권자에 비해 타국어를 씀으로 해서 과장된 느낌을 받는 것, 이것은 결코 "원작의 느낌" 이 아니게 됩니다.
그래서 추후 크로스로드는 십자로 라는 이름으로 변역되어 서비스 되었지요.
비로소 한국어 유저들도 영미권 유저들이 느끼는 크로스로드의 느낌을 공히 똑같이 받고 있는겁니다.
디아블로의 예를 들면 오랫동안 직업으로 있던 바바리안, 소서러(소서리스) 등의 이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영미권에서는 우리가 야만용사, 마법사(여마법사) 정도의 느낌 그 이상도 받지 않습니다.
원래가 담백한 느낌을 주는, 그래서 약간은 평면적이기 까지한 네이밍입니다.
하지만 한국유저가 바바리안 이라고 했을때는 야만용사라는 네이밍에 비해 훨씬 과장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것은 영어를 잘 하는 것과 무관하게 모국어와 일상어로 쓰지 않는 단어이기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를 야만용사로 번역함으로 인해 영미유저의 원작에서의 느낌(담백한 클래스 명칭)을 똑같이 느끼게 되는 거지요.
스2에서도 이를테면 토르나 바이킹의 경우 영미유저든 한국유저든 모두 고유명사로 인식하여,
해병/마린 에 비해 훨씬 "있어보이는 이름"으로 들립니다.
따라서 토르나 바이킹은 그대로 음독하여 서비스하여도 영미권자가 느끼는 "원작의 느낌"을 받는데 큰 지장이 없지요.
반대로 마린의 경우 영미 일상에서 해병을 지칭할때 쓰는 말이고,
우리가 마린을 들었을때 느끼는 과장된 느낌이야 말로 원작의 느낌을 해치는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해병으로 명칭하여 같은 느낌을 받게 되지요.
스스로가 본인이 영어를 일상에서 일상어로 사용하고, 영미권의 문화가 자신의 삶에 녹아있다면,
영어버전역시 원작의 느낌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스스로가 영어가 아닌 한국어를 일상어로 사용하고 한국어 기반의 문화가 자신의 삶에 녹아있다면,
한국어 버전을 플레이할 때 가장 원작의 느낌을 잘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정말 원작의 느낌을 느끼고 싶은것이 아니라,
그간 게임을 즐길때 각종 명칭이 영어였기 때문에 느끼던 과장된 느낌을 좋아한다는 게 맞을겁니다.
실제로 블리자드는 각종 네이밍이 매우 담백한 편에 속하며,
이러한 게임을 즐길때의 한국번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애초에 블리자드의 성향자체가 맞지 않는겁니다.
NC등에서 즐겨 쓰는 의도적인 비 일상어, 생소한 외국어 네이밍이 더 맞는 성향의 유저라는 것이죠.
이런 부분이 플레이에서 너무나도 큰 요소로 작용할 만큼 싫다면,
사실 그 유저는 블리자드게임보다는 NC게임을 하는 것이 맞겠지요.
실제로 NC게임은 블리자드에 비해 일상에서 거의 쓰지않는 단어나 생소한 외국어를 많이 사용하여,
신비롭고 있어보이는 명칭을 즐겨 사용합니다.
이런 성향이 마음에 든다면(정답은 없습니다. 호불호의 영역이니)
블리자드의 그동안의 행보로 볼때
앞으로도 각종 어휘 선택에 있어서도 아주 담백한 명칭을 사용할 확률이 높고,
빨리 타 게임사의 게임으로 갈아타는 것이 더 재미있을 겁니다.
진짜 원작의 느낌을 받고 싶다면 한국어판을 플레이하는 게 맞습니다.
스스로의 일상어가 한국어라면 말이죠.
그리고 xp에서 즐겨 한국어로 토론하고, 또 이 글을 다 읽고 뉘앙스까지 이해할 유저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영어판으로 원작의 느낌을 제대로 받을 분은 애초에 덧글도 영어로 쓰는게 더 편한 정도의 유저분이셔야 맞는 말이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