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936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패왕히로
작성일 2005-01-20 02:27:18 KST 조회 464
제목
[펌] [정보] Wow 문제점의 허와 실
루리웹에서 글 보던 중에 읽어보면 좋을듯 한 리플이 있어

본문과 같이 리플을 퍼왔습니다.

작성자 닉네임만 공개합니다.


출처:루리웹


====================================================================
제목 : [정보] Wow 문제점의 허와 실
작성자 : CamilleBidan

1.비합리적인 가격? 약속을 지키지 않은 wow?

공식적으로 유료화 소식이 알려졌을때 올라온 이야기 입니다.

유료화 소식이 올라오기 1~2주전쯤 인터넷에서는

wow의 서비스 가격이 14800,19800원이 될것이다라는 글이 널리 퍼졌습니다.

다들 우호적인 반응이었고 거의 1만원대로 확정되는 분위기 였습니다

하지만 막상 공식 발표때는 24800원으로 많은 분들 예상햇던 가격과는

전혀 다른 가격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Wow에서는 서비스 가격에 대해서는 정확히 언급한적이 없었으며

게임 메카의 인터뷰 에서는 NC나 넥슨과 비슷한 수준의 요금이 된다고 했습니다
[출처:http://www.gamemeca.com/news/main_view.html?seq=5&ymd=20040228&page=1&search_ym=&search_text=]

어디까지나 루머였던 글에의해 문제가 시작된것 입니다.

하지만 이로 시작으로 국내의 온라인 게임의 가격에 대한 의문들이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말하지만 외국과 우리나라의 온라인 게임의 서비스 방식은 다릅니다.

외국의 경우 대부분 패키지 형식의 형태로 초기 비용의 부담은 크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경우 싼가격에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큰 패치를 하는 경우는 다시 패키지를 사야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대부분 확장팩의 개념으로 나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초기 계정은 상대적으로 패키지 비용보다는 싸지만

장기간으로 보면 패키지보다 비싼 가격입니다.

다만 패키지 형태보다는 능동적으로 업데이트의 자율성이 있습니다.
[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회선이 나쁘기 때문에 고용량의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선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는 겁니다.

참고 자료 -
WOW(북미) : 패키지 가격 - 49.99달러 / 월정액 : 14.95달러
리니지2 : 패키지 가격 - 29.99달러 / 월정액 : 14.95달러(패키지를 내렸음)
: 일본 3000엔 [전세계 최고가]
FF11 : 패키지 가격 - 49.99달러 / 월정액 : 12.95달러


만약 현제 문제가 되고있는 현재의 요금제가 패키지 제도로 했으면

5만원 정도의 패키지를 샀어야 합니다.

그럼 또 다시 이런 소리가 나왔겟죠 다운 받음 그만인대 겨우 CD나 메뉴얼 넣고
5만원이나 받아먹냐? 라고....
[한정판 패키지가 아닌이상;; 초기에 국내에 배포한 CD와 내용물이 유사합니다]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전세계 최고라는건 말안해도 아실겁니다.


하지만 분명 우리나라의 온라인 게임의 가격 비쌉니다.

초기에 잘못 끼어진 단추때문에 거의 나머진 단추들도 잘못됬습니다

많은 Wow 유저들은 블리자드에게 다시 단추를 풀고 올바르게 해줄것을 기대했지만

그렇지 못했습니다....... 너무나 아쉬움이 많이 남지요..


PC방 요금의 경우 리니지2와 비슷한 가격이지만

야간 할인이 안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고 합니다

제가 PC방에 관련된 일을 하는것이 아니기 떄문에 뭐라고 할순 없지만

야간 할인만이라도 어떻게 되는게 어떨지=_= 합니다..

PC방 사장님 말 들어보니 남는것도 없다고 합니다..






2. 소비자를 무시하는 약관?

아래의 글은 공식 홈페이지에 기록된 약관입니다.



11. 환불.
귀하가 "표준 최종 사용자"인 경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의 중단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전 통지를 하지 않은 채 서비스가 삼 일(72시간) 이상 중지되거나 중단된 경우 귀하는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귀하의 계정에 "게임 시간 조정"을 제공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그 예외는 서비스의 중단이나 중지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겼을 경우입니다.

A. 아래 15(I)에 정의된 바와 같은 "불가항력의 사건"

B. 귀하나 다른 서비스 사용자로 인한 서비스의 중단이나 중지

C.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잘못 없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통신 서비스 제공회사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한 서비스의 중단이나 중지

D. 서비스 장비의 일정에 의한 유지, 교체, 정기 검진, 구축에 대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 중단에 대한 사전 통보를 게시하는 경우

E. 귀하가 "게임 시간 조정"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서비스가 중단된 시간의 네(4) 배의 시간을 귀하의 계정에 제공할 것입니다. "신용 상태가 양호한" 현존 계정만 이러한 "게임 시간 조정"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환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i) "신용 상태가 양호한" 현존 계정만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체"나 본 사용 약관을 위반하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중단"된 계정은 환불을 받을 수 없습니다.

(ii) 귀하가 환불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경우, 그리고 귀하가 일정 기간 동안 귀하의 계정을 사용하기 위해 요금("정액 요금")을 내는 경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가장 최근의 청구기간에 대해 일당 서비스 요금에 사용자가 그 청구기간 동안 서비스를 사용한 날 수를 곱한 금액을 정액 요금에서 뺀 "조정된" 환불을 귀하에게 드릴 것입니다.

(iii) 이에 대하여 귀하가 귀하의 계정을 처음 쓴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계정을 종료하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환불에 "정액 요금"의 10%에 해당하는 "환불 수수료"를 포함시킬 것입니다.

(iv) 귀하가 할인된 요금("할인 요금")으로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프로그램을 통해 "게임 시간"을 구입하신 경우, 그리고 귀하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 계정 종료를 요청하는 경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조정된 금액의 환불을 할 것이며 이것은 귀하가 계정의 종료를 요청한 날짜로 유효한 월정액을 30으로 나누고 이것을 귀하가 할인 요금으로 구매한 청구 기간 동안 서비스를 사용한 날짜 수로 곱한 것을 할인 요금에서 빼는 계산을 통해 제공될 것입니다.


자 다른 업체와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바로 이 문구 때문 입니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서비스의 중단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전 통지를 하지 않은 채 서비스가 삼 일(72시간) 이상 중지되거나 중단된 경우 귀하는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귀하의 계정에 "게임 시간 조정"을 제공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72시간 즉 3일동안 사전 통지 없이 서버가 정지되어야만 보상이나 환불이 된다는

소리 입니다 최근 업체들이 점점 서비스가 좋아지는것과는 전혀 반대되는 약관입니다

어떤 게임에서는 2시간정도 서버가 마비된것을 사장이 직접 유저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구 그에 따른 보상을 해준 업체도 있습니다.

확실히 이점은 wow에서 반드시 수정되어야할 문제입니다



3.환불에 관한 글

몇분의 글을 보니 환불이 전혀 안되다고 하셨습니다.

더군다나 환불하면 계정 블럭까지 당한다는 소리까지 들어서

참을 수가 없어서 전화;;

6시쯤에 직접 문의 해봤습니다

간단히 내용을 정리하면


Camille: 인터넷에 글을 보니 전혀 환불 자체가 지금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던대..

상담원 : 약관을 보시지 아시겟지만 실수로 결제를 잘못하신 경우가 아닌 이상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서버 문제라면 현제 정상적으로 모든 서버가 돌아가고 있습니다.

라는게 주된 내용이 었습니다.

그냥 생각이 바뀌어서 환불은 안됩니까? 라는 질문은 까먹었습니다=_=;;

내일 상담센터가 열리면 다시 한번 해봐서 물어봐야겠습니다..;;





아랫 글은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문제의 환불에 관한 글입니다..


----------------------- 문제의 글 ------------------------

저도 게임을 워낙 좋아하고 그래서;; 혹시나 해서 오늘 생각난김에 전화해봤습니다

첫번째 초기화가 너무 궁금했기땜에 초기화는 안됐다고하더군요

두번째는
"계정결제후 마지막날처럼 렉이 심해지는경우 환불도 가능한가요?"
- 현제로선 환불이 되지 않습니다.
"서비스상에 이상이 생기면 당연히 환불해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환불은 어렵고 서버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있습니다
"그건 오베처음부터 그런말씀하셨지 않나요 상용화이후에도 계속 심할경우엔 당연한거 아닌가요?"
-만약 환불하시게 되면 다시 그계정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환불할경우에 다시 결제해도 아예 사용할수없다는 말씀이신가요?"
-네 정책상 그렇습니다
"약관상에도 명시되어있나요?"
-약관엔 자세한 내용은 없습니다.정책상......
"약관상에도 없는데 정책상이라는 이유료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는건 말이 안되지 않나요?"
-..........

이렇습니다 통화내용;
정말 어이없는 소릴들었습니다. 저도 워낙 게임을 좋아하고 와우같이 완성도 높은 게임 접해본적도 없고 솔직히 가격책정 부당하다고 생각해서 다른게임으로 눈도 돌려봤습니다;
하지만 조금 미련이 남아 확인해봤는데 이러더군요
-----------------------------------------------------------


또 다른 글입니다.



----------------------------------------------------
정말 환불을 않해줄까 싶어서 전화를 해본결과.. 몇마디 대화가 오고 갔습니다..

레이: 환불받을려고 합니다

상담원: 환불을 받으실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레이: 서버상태가 이런대.. 어떻게 게임을 하라는 것입니까??

상담원: 그것은 저희가 서버담당팀에게 문의하여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레이: 그럼 약관에 다른서비스 이용시 환불된다는 것은 무슨 내용이죠?

상담원: 그것은 고객님이 잘못 이혜를 하신거 같습니다. 그약관의 내용은 게임을 진행하다 서버나 저희 블리자드측에서의 문제로 인하여 게임을 제대로 할수 없을때에 대한것입니다.

레이: 그것은 환불 1번약관에 대한것 아닙니까?? 저는 2번약관에 대한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상담원: 그것은 고객님이 잘못 이해하신거... 같..

레이: 자꾸 되풀이하게 하실겁니까?? 2번약관 못읽습니까??

상담원: ........

레이: 약관은 왜만들었습니까?? 오타라도 치셨습니까??

상담원: ........ 그럼 게임에 한번이라도 접속은 하셨습니까??

레이: 네

상담원: 게임에 한번이라도 접속을 하셨다면 저희측에서 환불을 해드릴수 없게 정해져있습니다.

레이: 그건 어디에 적혀 있습니까??

상담원: .......... 회사측에서 그렇게 정해져 있습니다.

레이: 그럼 약관에 왜기재를 안하셨고.. 약관은 왜만드신겁니까??

상담원: ..............

레이: 그럼 공정위에 한번 문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담원: 네 좋은하루 되십니오.


더이상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이럴지 몰랐는대..... 궁금해서 해본 전화인대....... 블리자드... 미워..... 지네...


------------------------------------------------------------------------------------


이상 wow 인벤에 '레이' 님께서 직접 통화하신 내용이구요.

리니지,드래곤라자,다옥 등 수많은 외산,국산 온라인게임을 봐왔지만,
약관에 '환불 가능'이 명시되있음에도 불구하고 , 환불을 않해주는 기업은 태어나서 처음 봅니다.
또한, 상담원에 따라서 한번 환불하면 영구계정블록 된다고 설명하는 상담원도 있다더군요.
진실인지 의심되시면, 지금 전화해보세요. 20분정도 통화시도후 기다리면 전화 연결됩니다.



잘 읽어보시면 뭔가가..
뭐 제가 확실히 어떻다고 말못하겠습니다. 그냥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하시는게
가장 확실할겁 니다.










결론


인터넷에 떠돈 수없는 루머와 [공식적으로 나온게 아니면 일단 루머가 대부분입니다]

WOW 한 게임만의 문제점이 아닌

국내 온라인 게임 전체에 대한 문제점이 확연히 들어난

어처구니 없이 유저들만 손해본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빨리 문제가 해결됬으면 좋겠군요..



P.S
글을 퍼가실때는 확실히 출처만 써주시면 상관 없습니다..
====================================================================


그리고 이 글에 달린 리플중에 하나 입니다.

----------------------------------------------------------------
작성자 : JOSH

적정가격이라... 말씀 잘 하셨네요.

그런데 모든 것이 공급자 입장에서 정해져야 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말씀하신 자유시장경제에서는요.
가격이란 그런 것입니다.

값이 비싸다는 소비자 저항이 있다면 전략적 판단에 따라
가격은 오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온라인게임은 특히 고정비용(서버,인건비,추가개발비)이 들어가기 때문에
운영기획을 하는 사람은 '서버 한대 돌리는 거마다 얼마의 수익을 보장해 주는가?' 를
언제나 고민해야 합니다.
수입은 유저가 지불하는 사용료로 결정되고,
서버를 몇대 돌려야 하는 가는 한 서버당 얼마의 동접을 소화할 수 있으며
우리 게임은 소비자가 얼마정도 동접을 하는가 의 요소를 집어넣은 방정식을
매번 풀어내는 것입니다.

이 방정식을 위와는 반대방향에서 풀어보겠습니다.
일단 돌릴 서버양이 결정되면 사실 고정비는 확실하게 나옵니다.
상담/개발에 들어가는 인건비, 기타비용이 웬만해서는 뽑아지지요.
그럼 문제는 그 고정비 이상의 수입이 있을 것인가,
얼마정도의 회원을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사실 WoW 는 서버당 동접자 수 의 효율(연비?)이 별로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나 될 지는 그 사람들 만 알겠지요.

만약 B/P가 거의 맞아서 사전 개발/마케팅비도 못뽑는 상황이라면
사람들이 비싸, 싸게 해 하고 반발 한다고 값을 내릴 수는 없겠지요.
손해보고 장사한다고 미래가 보이는 것은 아니니까요.

같은 돈이 들어오는 정도라면 구조조정을 해서 그 연비를 개선해야 합니다.
공격적으로 나가자면 이벤트를 통해 고정유저수를 늘리든가 해야합니다.
그러면서도 서비스 질을 떨어뜨렸다는 느낌을 유저들이 받지 못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데 유저가 빠져나가는 상황이라면 다른 고민이 필요합니다.
소비자가 가격과 서비스에 만족을 못해서 수익이 줄어드는 것은
현상유지도 못하게 되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물론 적당한 수준에서 유저가 빠져나가서 서버 몇대 딱 줄일 만큼
빠지고 만다면 걱정이 없겠습니다만,
이렇게 유저가 빠지고 오르는게 명백히 보인다면 사실 그만큼 명백한 이유가 있기 때문인데
오른다면 외부적으로 타 경쟁작의 부실로 유저가 빠지면서 그 잉여유저
(매달 일정비용을 온라인게임에 지급하는 유저는 일정양 존재하며
한국은 이 소비층이 현재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WoW는 베타를 통해 타 온라인 게임과 유저를 뺏고 뺏기는 제로섬을 넘어,
신규유저층을 확보하는 단계까지 들어갈 뻔 했다고 보입니다.)가 유입되거나,
내부적으로 단기간의 마케팅을 통해 일정수의 유저가 확보되거나 하는 경우이며,

내려간다면 외부적으로 유저를 보다 강하게 회유하는 요인이 발생하여
그쪽으로 유저가 빠져나가거나, (WoW베타로 인해 마비노기, 라그 등에
일부 발생한 현상이며 향후 전개는 미지수 임)
내부적으로 유저를 불만족 스럽게 하는 요인이 발생한 경우인데,
(크게 서비스 이용 가격이 오르는 금전적인 문제나
유저정보유출/소비자와의 트러블/기업의 윤리성 문제 발생 등에 의한
도덕(모럴)적인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
WoW는 유료화라는 유저 서비스 이용가격이 오르는 '단계'에
도덕적인 문제까지 겹쳐 사용자의 유료화 진입장벽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명백한 마케팅/유저관리의 업무 실수입니다.
아마 유저층의 높은 베타평가로 인해 자신들에 대한 SWOT 분석을
너무 낙관적으로 찍었다고 보입니다.

이야기가 너무 다른 곳으로 빠지는 것 같으니 다시 돌리자면,
유저가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신속한 대처는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흥행에 있어서 사람이나 기세라는 것은 흐름을 타기 시작하면
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언가 이 흐름을 막고 물길을 돌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데
WoW의 마케팅 팀은 두고보자는 식으로 이틀을 허비했습니다.
아마 단순히 비싼 이용금액에 대한 저항으로만 생각했겠지요.

그러나 비용이 변하면 사람들의 평가기준도 변합니다.
차라리 작년 말에 유료금액을 미리 발표하고 유료화를 지금 시작했다면
그 사이 대처할 시간이 넉넉히 확보되었을 수 있습니다.

비용을 내리지 않고도 얼마든지 소비자의 불만을 잠재울 방법도 있고
그 가격에 사람들이 익숙해지기 위한 시간이 약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크든 작든 게임서비스 자체에 대한 불만이 엄연히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료요금 발표와 유료화를 거의 타임래그 없이 전격적으로 실시하게 되어
실무진에서도 많이 피곤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만....
역시 판단을 내리는 경영진을 그렇게 몰고 간 실무진의 실수가 없을 수 없지요.

2만5천원이라는 월 요금으로 이용자가 얻는 프로핏은 무엇일까?
발표가 난 뒤부터 유료지불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열심히 그 계산을
무의식중이든 의식해서든 열심히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미 유료지불을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그만큼 장점을 보고
들어온 사람들일텐데, 그렇게 고민하게 되면서 (어차피 봐 오던 장점은
뒤로 제쳐두고) 단점 만 보이게 됩니다.

이 소비자의 심리를 이해하고 달래야 하는데 결정적으로 WoW는 그것을 못 했습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 라는 말을 흔히 하는데
한국 소비자에게 대안은 많습니다.

신생 서비스로서 WoW가 가격경쟁에 불을 붙이면
온라인게임시장 자체를 말아먹을 까봐 겁났을 수도 있었겠지만,
이미 알려진 NC나 넥슨의 수익에 대한 자료들을 충분히 검토했을 텐데
B/P를 단기에 맞추려고 너무 과욕을 부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즉흥적으로 쓰느라 이거 또 엉뚱하게 써진거 아닌가 싶네요)
----------------------------------------------------------------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닉네임: 암호: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