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zger (118.39.xxx.224) | ||
---|---|---|---|
작성일 | 2010-10-22 01:56:18 KST | 조회 | 1,628 |
제목 |
코프룰루 섹터에서도 '1년'은 24시간이 365번 찾아오는 개념일까?
|
제목 그대로의 질문입니다 밑에서 나이 이야기를 하다보니 문득 떠올랐네요
1년=365일=24시간.
지구위에서 보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뒤집어 생각해보면 또 다르죠
1년이라는 개념이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 시간'이라 지구상에서 볼땐 아주 편리한 개념이지만
우주라는 큰 단위에서 보면 되게 쓸모없는 시간일지도 몰라요.
우선 행성마다 자전주기가 다르니까 낮과 밤의 길이가 다를거고(캠페인에서도 나왔죠)
그렇다면 '하루'의 개념이 아리송해지죠 꼭 24시간이 아니니까
아마 코프룰루에선 이런 오류가 발생할지도 몰라요
레이너 : 내일까지 이리로 와 맷. 저그의 움직임이 감지됬어.
맷 : (내일까지 35시간이나 남았군.. 천천히 가도 되겠어) 알겠습니다 대장님.
-10시간 후-
레이너 : 맷 이자식 왜이렇게 안오는거야.
그리고 행성마다 공전주기가 다르니까 행성이 항성을 한바퀴 도는시간이 다르고
그렇다면 '1년'의 길이도 다르겠지요. 나이는 1년 기준으로 1살씩 먹는건데
코프룰루 주민에게 지구의 1년이란 너무나 귀찮고 쓸데없는 기준점이죠.
이건마치 천동설로 행성의 위치를 예측하는 것과 비슷한 거에요.
사람들은 천동설이 전혀 쓸모없는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기준점이 지구에 있어서 생기는 복잡한 계산과정을 거치면
행성이나 별의 위치를 그럭저럭 예상할수 있고 적중률도 높아요
기준점을 태양으로 잡는 지동설이 오류도 없고 계산도 (비교적) 간편해서 결국 받아들여졌죠
이야기가 잠시 옆으로 샜는데
어쨌든 결론은 365일 지날때마다 자기나이를 1살씩 더하는건
코프룰루 사람들에게 비 효율적인 계산법이란 거져.
프로토스인들도 마찬가지죠 그들의 시간개념은 또 다를테니까
아마 테란물좀 먹고 돌아온 제라툴이 이런이야기를 하면 다른 프로토스는 전부 비웃을거에요
제라툴 : 라스자갈님 태어나신지 24시간이 365번주기로 반복되어서 1000번째 되는 날,
곧 1000살이 되신걸 축하드립니다
라스자갈 : 뭐라는거야
쓰잘데기없는 이야기는 집어치우고 스크롤만 내린사람을 위한 질문 내용
Q. 이 글 제목을 읽으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