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단 탈주를 게임이 끝나기 일정시간 이상 전에 나간 다음 게임이 끝날때까지 돌아오지 않을 경우로만 제한 해서 기록함
이러한 제한의 이유는 일단 팀원한테 피해가 갔다고 판단이 되는 유효 탈주 시간의 기준선을 잡기위해서임
2. 탈주횟수 기록이 몇번 이상 일경우 자동으로 경고메시지를 띄우도록하고 그후에 또 어떤 기준선을 넘길때마다 기간 계정정지를 먹이며 물론 이 기간은 횟수 기준점이 높아짐에 따라 길어짐 일정량 이상 넘길시 자동 영구정지
내가 생각하는 장점은
1. 자동화 시켜서 인력자원 안들여도 되니 효율적이고 즉각적
2. 계정을 버리고 다른 계정을 쓴다해도 같은식으로 많은 고의적 탈주 시 자동으로 제제 되므로 지속적 제제 됨
3. 맨처음 탈주 시간대 고려를 함으로서
사람들이 게임 끝났다 싶어서 쉽게 포기해 나가버리지 않고 최대한 끝까지 해보도록 하는 효과
4. 유효탈주시간을 정함으로서 그 원인이 뭐였건 간에 팀이 객관적으로 봤을때 피해를 입었는지 여부만으로 판단
5. 유효탈주시간 기준으로 기록되는 탈주횟수로 제제의 기준선을 둠으로서 인터넷문제로 어쩔수없이 몇번 탈주된 사람들은 최대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함
(기준선을 넘길정도로 인터넷이 문제라면 그건 그지경인 인터넷선을 고집부려 사용하면서 피해주는 유저의 잘못이라 판단)
단점은
트롤러의 고의적 서렌반대로 인해 진 게임을 못끝내는 상황에서 나갔다간 탈주범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거 정도 인듯
여기서 가장 중요한건
일단 유효탈주시간의 기준이랑 제제먹이는 탈주횟수의 기준선을 잘 조율하는게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