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3270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Deathferado
작성일 2012-02-11 19:08:36 KST 조회 407
첨부
제목
초보들이 한번은 정독해야 할 LOL 용어 정리
파일포켓 이미지





* 맵

라인, 레인 ( Line, Lane ) : 세 방향의 전투를 위한 길목. 가장 윗쪽의 Top 중간의 Mid 아래의 Bot 로 이루어져 탑 미드 봇 이라고 짧게 표현.

부시, 부쉬 ( Bush ) : 바깥에서의 시야가 차단되는 수풀. 부시플레이나 숨기, 매복 등으로도 표현.




* 구조물

넥서스 ( Nexus ) : 양 팀이 40분을 걸고 지켜야 할 최종 건물.

터렛, 타워, 포탑( Turret ) : 쪼렙들은 이거 무서운줄 알아야 한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제발 다이브 하지마 삥글삥글 춤추다가 킬 주고 도발 당하고 멘탈붕괴 당하지 말고 쪼렙들은 제발 부디 이거 무서운줄 알아라.

인히비터 ( inhibitor ) : 억제기. 적의 억제기가 파괴되었습니다. 이 소리 나오면 우리에게 승률이 7할 이상은 넘어왔다. 본진에 존재하는 세개의 건물. 파괴되면 상대의 진영에서 억제된 힘이 제거되어 골드 창고 미니언들의 힘이 거세져 엄청난 놈들이 몰려오기 시작한다. '인히' 라고들 표현하는데 억제기도 어감 괜찮다. 억제기로 쓰도록 하자.




* 정글

정글 ( Jungle ) : 탑 미드 봇의 3라인이 아닌 양 진영 사이의 몬스터들이 소환되는 협소한 지역.

블루 : 양 정글 진영에 하나씩 있는 파란 오라를 가진 골렘. 잡으면 마나 회복량 증가와 스킬 쿨타임 감소.

레드 : 양 정글 진영에 하나씩 있는 빨간 오라를 가진 도마뱀. 잡으면 공격 시 도트 데미지와 슬로우.
( 몬스터도 블루나 레드로 표현하고 이들이 주는 버프, 오라도 블루, 레드로 표현. 블루나 레드 오라를 가진 챔프가 상대에게 죽임을 당하면 죽인 챔프에게 오라가 이전 됨. 잡고 쳐뒤질거면 먹지마세여. 정글러에게 양보하세여. )

바론 ( Baron Nashor ) : 남작 내셔. 맵 가운데 강 북서부 지역에 존재하는 가장 강력한 정글 몬스터. 잡으면 강력한 오라를 팀원 전체가 획득하고 개개인에게 300골드의 배부른 포상이 주어진다. 바론 버프는 레드, 블루와 달리 죽임을 당해도 빼앗기지 않는다.

드래곤, 용 ( Dragon ) : 바론과 대칭된 위치에 존재하는 용 몬스터. 잡으면 팀원 전체에게 190골드씩 지급. 막타를 먹은놈은 25원 더 먹는다.

작골, 늑대, 레이스 : 두 마리의, 블루가 아닌 골렘과 말 그대로 늑대 3형제 그리고 귀신 4인방. 정글 몬스터.

정글 카운터 ( Counter ) : 상대 정글을 우리의 정글러나 기타 다른 라이너들이 뺏어먹는 행위 또는 초반 상대가 시작하며 먹을 첫 레드나 블루에 대한 공격도 카운터. 블루 or 레드 카운터.




* 전투

인베이드 ( Invade ) : 1렙 기습. 시작하자마자 5명이나 다수의 플레이어가 상대 진영의 부쉬를 이용해 숨어 들어가 기습 공격을 펼치는 1렙 전투 유도. 다수의 챔프가 1렙에 위에 설명 된 정글 카운터를 간다면 적절한 인베이드를 유도할 수 있다.

미아 ( mia ) : Missing In Action 의 약자. 주로 라이너들끼리 싸움에서 사용하며 라인에서 상대 챔프가 사라지면 우리 아군들에게 위험요소의 발생을 경고하는 약어. 맵리딩 지지리도 안하는 일부 게이머들이 꼭 갱킹당해서 뒤지면 미아콜좀 하세요 ㅡㅡ 라고 징징댄다. 징징대는거 듣기 싫으면, 자기 라인에서 상대 챔프가 안보일땐 무조건 ' 무슨라인 미아. ' 라고 치자. ex) 미드미아, ㅁㄷㅁㅇ

이니시에이팅 ( Initiating ) : 한타싸움 유도, 한타싸움 개시. 주로 딜탱이나 탱커 혹은 확실한 다수 스턴이나 슬로우 등과 같은 군중 제어 스킬을 가진 챔피언들이 상대와의 한타 싸움을 유발하는 행위.

갱킹, 갱, 갱크 [깽쫌여 ㅡㅡ, 아 정글러님 똑바로좀여 ㅡㅡ, 아 정글러님 라인 죤나 밀리는거 안보이세여?] ( Ganking ) : 러이너들이 라인에서 교전 중, 정글러나 다른 라인의 라이너들이 상대의 뒤나 옆을 치는 아주 비겁하고 졸렬하며 비열하고 더럽고 치사한 플레이. 국내에선 WCG 국가대표 팀 EDG의 현실 갱커 모쿠자가 이 더러운 플레이에 능하다.

백도어 ( Backdoor ) : 쉽게 말하면 뒷문 공격, 뒷치기. 상대의 챔프들이 빠진것을 확인한 후 전문적으로 상대의 빈집을 노리는 플레이를 백도어 플레이라고 한다. ' 혼자서 깨는데 뭐.. ' 라고 방심하다가는 잉여챔프 '마스터 이' 에게 혼쭐난다.


다이브 ( Dive ) : 상대의 포탑을 무시하고 포탑 옆구리 빠는 상대 챔프를 죽이기 위한 움직임. 다이브 플레이로 상대를 조지고 나오는 훌륭한 플레이어는 롤 게이머 모두의 훌륭한 귀감이다. 하지만 니가 하면 골드 셔틀 한솥 도시락이니까 제발 타워 무서운거 알자.

디나이 ( Deny ) : 주로 라이너들끼리 라인 견제중에 나의 당당한 패기로 상대 챔프를 쫄들이 죽으면서 획득할 수 있는 경험치나 골드 획득 가능 범위 밖으로 쫓아버리는 행위. 패기에 지려서 계속 디나이 당하면 답이 없다. 똥을 싸고 장염환자가 되어 설사를 퍼질러 싸더라도 라인은 패기 싸움이다. 당당하게 한판 붙자. 갱킹은 보너스. 외에도 상대 챔프에게 공격당하지 않고 타워에게 죽어 골드나 경험치를 주지 않는 교활한 플레이도 디나이라고 한다.


푸시, 푸쉬 ( Push ) : 압박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게임에선 다수의 챔프가 한 라인에 공격을 가하거나, 레인에서 양 진영 미니언들의 교전 전선을 상대진영으로 밀어버리는 플레이를 의미한다. 보통 라인푸시로 표현한다. 미니언에게 마지막 공격만을 가하면 이 라인을 당기거나 유지할 수 있고, 지속적인 공격이나 스킬을 가하면 라인을 푸쉬할 수 있다.

와딩 ( Warding ) : 아래에 설명할 와드를 사용하는 행위. 주로 써포터들에게 이 와딩이 강요되지만, 승리를 위해선 모든 챔프가 남는 골드를 와딩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 용어

챔피언 ( Champion ) : 게임에서 유저가 사용하는 영웅들. 참프, 챔프, 영웅, 케릭터 등으로 표현한다.


서모너, 소환사 ( Summoner ) :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를 지칭하기도 하고, 유저의 계정을 지칭하기도 한다. 소환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AD ( Attack Damage ) : 공격력을 주로 올리는 성향의 챔피언 타입. 공격력에 투자하여 딜레이 없이 꾸준한 딜을 하는 타입의 딜러로 보통 원거리 딜러를 AD딜러로 표현하고, 일반적으로 평타 위주의 공격을 펼치는 챔피언을 AD챔프라고 한다. 파밍도 공격력이 붙은 템과 공속 위주의 파밍.

AP ( Ability Power ) : 주문력을 주로 올리는 성향의 챔피언 타입. 주문력에 투자하며 스킬을 적극 활용한 공격을 하는 마법사형 챔프. 보통 AP챔프들은 순간 화력이 강하나, AD딜러들에 비해 스킬 사용 후 잠시 약한 타이밍이 있다. 파밍은 주문력 위주.

누커 ( Nuker ) : 강력한 데미지를 순간적으로 줄 수 있는, 마치 핵과 같은 공격력을 가진 챔피언을 의미한다. 보통은 AP딜러들이 이런 순간적인 '폭딜' 에 능한 누커형 챔프가 많다. 단점은 대부분의 AP 챔프가 그러하듯 순간적인 폭딜 후에 다음 스킬의 쿨타임이 돌아올때까지 빈틈이 크다.

탱커 ( Tanker ) : 몸빵을 맡는 타입의 챔프. 내가 맞아 우리 AD, AP딜러들이 안정적인 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타입의 챔프. 교전의 유도나 유발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챔프. 

딜탱 ( Bruiser ) : 브루저 브루저 라고 간지나게 표현하는 치즈섭 이주자들도 있는데 그냥 딜탱이 편하다. 탱커 타입의 챔프들이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데미지 딜링도 가능하다. 대게의 탱커들은 순수한 탱커라기 보다는 딜이 가능한 탱커이다.

써포터 ( Supporter ) : 팀의 체력을 담당한다 !!! 신성 성기사 뿌뿌뿡 !!! 처럼 팀의 힐이나 버프 아이템 등을 담당하고 가장 주된 역할은 와딩. 써포터에게 슈렐리아와 신발 이상의 파밍은 사치다.

정글러 ( Jungler ) : 라인에 서는 챔프가 아닌 정글에서 몬스터를 사냥하고 각 라인의 라이너 챔프들을 도와 얍삽하고 비겁하지만 확실하게 갱킹, 소위 말하는 옆치기 뒷치기를 하는 챔피언들.

라이너 ( Liner ) : 정글을 돌지 않고 라인에서 성장하는 챔프. 

솔탑 : 솔로 탑. 단일 챔피언이 탑 라인에 서는 경우 솔탑.

봇 듀오 ( Bot Duo ) : EU스타일의 전형적인 챔피언 조합에서 봇 라인을 원거리AD 챔피언과 서포터 챔피언이 함께 맡는 경우.


퍼스트 블러드 ( First Blood ) : 퍼블. 양 팀 합 가장 먼저 나온 Kill 을 퍼스트 블러드, 퍼블이라고 한다. 성우분의 짜릿한 ... 퍼어어스트 블러어어드. 소리와 함께 첫 킬을 딴 소환사는 무려 400골드를 획득한다. 초반에 빙다리같이 무리하게 되는 이유.


스택 ( Stack ) : 축적되는 아이템 또는 스킬의 효과나 능력치. 리그오브레전드에는 시간이 가거나, 킬이나 어시스트를 먹을 경우 능력이나 효과가 점점 강력해 지는 아이템과 스킬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스킬은 나서스와 베이가의 Q스킬, 아이템은 메자이와 워모그, 영겁의 지팡이 등.

캐리 ( Carry ) : 리그오브레전드 설명에선 ' 주 공격수 ' 하지만 게임 내의 일반적인 의미는 게임을 이끌어가는, Carry 해가는 성적이 우수한 소환사의 챔피언을 지칭한다. 킬이 다른 팀원들에 비해 높고 데스가 다른 팀원들에 비해 낮거나, 우수한 성적으로 팀을 승리로 이끈 경우에 당당하게 ' 내가 캐리했다 ! ' 라고 외칠 수 있다. 연패의 늪에서도 다음 게임을 진행하게 만드는 리그오브레전드의, AOS 장르 게임의 진정한 재미.


CC ( Crowd Control ) : 군중 제어. 메즈로도 표현. 스턴이나 슬로우 바인딩 스네어 당기기 던지기 벽꿍 돌리기 뒤집기 배치기 업어치기 매치기 자이로드롭.... .... 과 같은 상대의 움직임에 강제의 제약을 걸수 있는 스킬들.

CS ( Creep Stats ) : 쫄, 미니언, 몬스터 막타로 죽인 횟수. 획득한 골드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경기 중 TAB 키를 눌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OP ( Over Powered ) : 말 그대로 오버빠와. 강력한 챔프들을 의미한다. 소위 말하는 사기케릭.

EU Style : 유럽 게이머들이 정형화 시킨 챔피언 조합을 의미. 탑솔로 딜탱, 미드AP, 봇듀오에 정글 한명. 탑1 미드1 봇2 정글1 이라는 규격화된 챔피언 조합. 게임의 틀 자체를 정형화 시켜버렸다는 비난을 받는 EU스타일이지만 그 만큼 롤 이라는 게임에 잘 부합하는 전략이고 최근엔 정공법으로 굳어지고 있다.

뉴메타 ( New Meta ) : EU파괴 스타일, EU파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새로운 스타일의 챔피언 육성 빌드 등 색다른 플레이를 누메타 라고 하지만, 보통은 EU에 반하는 스타일의 챔피언 조합을 뉴메타라 한다. 최근에는 탑에 AD딜탱이 아닌 AP딜러들이 서는 뉴메타 전술이 유행하고 있다.

픽 ( Pick ) : 챔피언을 선택한 상태. 준비 완료( Lock-in ) 을 하지 않은 채 선택만 한 상태. 챔피언 교체가 가능한 상태.

블라인드 픽 ( Blind Pick ) : 비공개 선택. 일반적인 게임의 챔피언 선택 모드. 양 팀의 챔피언 선택 과정을 볼 수 없다. ' 노말게임 '이라고 부른다.


드래프트 픽 ( Draft Pick ) : 교차 선택. 랭킹 게임에 주로 사용되는 챔피언 선택 모드. 양 팀의 챔피언 선택 과정을 볼 수 있다. 또 챔피언 선택에 앞서 양 팀간 3개씩의 ' 챔피언 밴 ( Ban ) ' 을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양 팀 총합 6개의 밴 된 챔피언은 해당 경기에서 양 팀 모두 사용할 수 없다.


필밴, 고정밴 : 드래프트 픽 모드에서 자주, 고정적으로 밴 되는 챔피언을 의미한다. 주로 OP로 정평난 챔프들. ex) 람머스, 모르가나.


락인, 락 ( Lock-in ) : 준비 완료. 챔피언을 선택한 후 준비를 완료한 상태. 챔피언을 교체할 수 없다.

칼픽 : 챔피언 선택장이 뜨자마자 챔피언을 선택하는 행위. 비신사적 행위로 몰아갈 수는 없지만, 보통 소환사들끼리의 협의 없이 챔피언을 선택하는 행위로, 많은 소환사들이 반기는 행위는 아니다.

칼락 : 무덤에 묻어 다시 무덤을 파헤쳐 뼈까지 다시금 갈아 무덤에 묻고 다시 그 뼈를 파헤쳐 공중으로 날려버려야 할 쓰레기 of 쓰레기 의 King of 쓰레기. 칼픽을 한 후에 준비 완료까지 박아버리는 더러운 행위.

꼴픽 : 꼴리는대로 픽을 한다는 의미로, 그다지 현재 픽 상황을 고려했을때 나올만한, 조합에 이로운 챔프가 아닌데 팀과의 조율없이 챔프를 선택하는 경우 꼴픽이라고 한다. 칼픽, 칼락, 꼴픽엔 닷지가 최고다.


닷지 ( Dodge ) : 단어 그대로 회피의 의미인데, 게임 내에서의 닷지는 거의 쓰이지 않고, 챔피언 선택 과정에서 게임에 진입하지 않고 나가버리는 행위를 닷지라고 표현한다. 이블린, 티모, 카르마를 우리팀이 픽 했다면 뒤 볼것도 없이 닷지하자.

리포트 ( Report ) : 리폿쩜. 리포트점. 이 개갞끼 리포트쩜 ㅠ ... 간단하게 말하면 신고다. 게임이 끝난 뒤 결과 보고 창에서 멍청한 플레이나 AFK 한 놈들은 바로바로 리폿 먹여주자. 리폿은 혼자 먹이는 것 보다 다수의 유저들이 같이 먹여주면 효과가 빠르다. 정당한 사유로 리포트 먹일 놈이 있다면, 꼭 아군과 상대에게 ' 저갞끼 리폿쩜 ㅠ ' 이라고 비굴하게 빌자.

BRB ( brb ; Be Right Back ) : 곧 다시 돌아온다는 의미의 brb. 주로 레인을 복수의 챔프가 맡을 경우, 잠시 본진으로 돌아가 정비를 할때 아군 챔프에게 brb 친다. 킴치롤에선 그다지 사용자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가끔 나처럼 입롤하는 애들이 북미섭 물 한잔 먹고온거 티 내려고 brb 치기도 한다. 이때 쿨하게 ' ㅇㅇ ' 쳐 주면, 간지잡으려던 brb 사용자는 당신의 패기에 움츠러들 것이다.

AFK ( afk ) : Away From Keyboard. 키보드로 부터 멀어진다는 의미. 멘탈 붕괴의 절정. Top or afk, Mid or afk 등으로 픽 과정에서 협박을 넣는 쓰레기들도 있다.


트롤링 ( Trolling ) : 고의적인 상식 밖의 플레이. 아군이 하면 빡치고 상대가 해주면 Thx. 아군의 트롤링은 리포트로 대처하자.


피딩 ( Feeding ) : 지속적으로 킬을 당하는 경우 우리는 ' 저갞끼 피딩하네 -_- ' , ' 피딩좀 그만두시져 -_- ' 라고 표현하고 피딩하는 소환사를 피더라고 표현한다. 항복의 단축키인 /ff 는 사실 /fucking feeder 이다. 최근에는 피딩한다는 표현보다 똥싼다, 설사한다 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필자의 경우에는 장염환자, 장트러블, 한솥도시락 등의 서로 기분이 좋은 온순한 표현을 사용한다.


도핑 ( Doping ) : 상점의 소모품 탭에서 판매되는 영약류 아이템을 구매 후 사용하여 챔피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행위. 6칸의 인벤토리가 모두 사용중인 상태에 구매하면 자동으로 챔피언에게 사용된다. 인벤토리를 모두 채우는 극한의 장기전에 돌입되었다면, 남는 골드는 모두 도핑에 사용하자.


로밍 ( Roaming ) : 정글러에게 있어, 가장 필요로 하는 움직임. 돌아다닌다 라는 의미로 쉴세 없이 돌아다니며 상대의 주의를 끌고 공격을 할 수 있는 움직임. 라이너들도 이런 로밍을 하는데, 소환사 스펠 텔레포트를 이용한 로밍이나 미드 라이너의 탑이나 봇 라인에로의 움직임도 로밍에 해당한다.


계수 : 스킬에 반영되는 추가적인 수치 값. 스킬 설명의 데미지 뒤의 ( + xx ) 와 같은 수치가 스킬 데미지의 추가 계수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붉은 괄호의 공격력에 추가 값을 받는 AD 계수, 푸른 괄호의 주문력에 추가 값을 받는 AP 계수가 있지만, 라이즈의 최대 마나 계수나 세주아니의 최대 체력 계수와 같은 특별한 계수도 존재한다.


큐 ( cue ) : 큐 돌린다, 큐가 안잡힌다, 큐가 길다 등의 표현으로 사용되는 큐. 사용자 설정 게임과 튜토리얼 모드가 아닌 일반적인 게임 모드를 시작할때 챔피언 픽 화면에 들어가기 까지의 기간이나 들어가기 위해 실행을 하는 행위를 큐 라고 한다. 함께 큐를 돌리는 유저의 수에 따라 솔로큐, 듀오(더블)큐 로 사용하기도 한다. 





* 아이템


와드 ( Ward ) : 시야 와드. 상점의 소모품 탭에 판매하는 75원짜리 와드. 구매 후 지형에 사용하면 해당 지역의 일정 부분 시야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한 직후에는 보이나 이후에는 탐지 능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상대는 볼 수 없다. 지속 시간은 3분.

핑크 와드 : 투명 감지 와드. 상점의 소모품 탭에 판매하는 125원짜리 와드. 구매 후 지형에 사용하면 해당 지역의 일정 부분 시야를 획득함과 동시에 보이지 않는 적 챔피언이나 상대의 와드도 탐지가 가능하다. 지속 시간은 3분.

오라클 ( Oracle ) : 예언자의 영약. 상점의 소모품 탭에 판매하는 400원짜리 영약. 구매 후 사용하면 해당 챔피언은 주위의 은신 챔피언이나 와드를 감지할 수 있다. 챔피언이 한 번 죽을때 까지 지속된다.








댓글 정리 환영, 수정 환영. 이니시에이팅이 뭐에여? 미아가 뭐에여? 아이윤가여? 하는 분들 이젠 ㅃㅇ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Kyreli (2012-02-11 19:12:28 KST)
0↑ ↓0
센스 이미지
Harass, Bruiser, Snowball, Split Push

[영타 → 한타 자동 변환]
아이콘 Kyreli (2012-02-11 19:13:01 KST)
0↑ ↓0
센스 이미지
헐ㅋ 브루져 써놓으셨네여
Deathferado (2012-02-11 19:13: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한국섭에서 거의 안쓰는 단어들은 배제했고,

브루저는 딜탱에 넣었음.
아이콘 Kyreli (2012-02-11 19:14:13 KST)
0↑ ↓0
센스 이미지
허레스는 뭐 그냥 견제정도로 하면 되고 스노우볼은 이기고 있는 라인 눈구르듯 존나 큰다는거고, 지고 있다가 한번 이기고 눈구르듯 따라잡고 존나 커도 똑같은 용도로 씀.

스플릿 푸시는 라인 나눠서 미는건데 손발이 잘 맞지 않으면 각개격파, 손발만 잘 맞으면 훌륭한 전술이고 당하는 측은 욕나옴
아이콘 Kyreli (2012-02-11 19:15:36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한국섭 유저 위한거면 야 견제쳐 아 존나 큰다 야 나눠서 밀자로 충분하니까 안 넣으셔도 될듯
아이콘 롤게.버게mc (2012-02-11 19:17:13 KST)
0↑ ↓0
센스 이미지
좀 수정하면 공지올라가도 될법한데 쩝
Deathferado (2012-02-11 19:19: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까 올라갔다 내려옴 ㅋ 이유는 모르겠긔.
아이콘 그게모양 (2012-02-11 19:28:34 KST)
0↑ ↓0
센스 이미지
수정하면 내려감
Deathferado (2012-02-11 19:28: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 ~
아이콘 카미씨 (2012-02-11 20:01:52 KST)
0↑ ↓0
센스 이미지
와딩도 넣어주시면 좋을듯!
아이콘 귀염귀염충 (2012-02-11 20:07:00 KST)
0↑ ↓0
센스 이미지
공지로
아이콘 토르놀아요 (2012-02-11 20:13:01 KST)
0↑ ↓0
센스 이미지
칼락은 쓰레기행동이지만 칼픽은 해야 좋은거 아닌가요? 큐돌려서 만나면 서로 뭐하고 싶은지도 모르니까 칼픽하고 의견 조율해서 결정하는게 최상이라고 생각함.
전에 픽 안하고 서로 눈치만 보다가 시간 다 지나가서 똥망했던 기억이 있어서...
Deathferado (2012-02-11 20:33: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게 맞죠. 서로 칼픽 안하고 눈치만 보면 아무도 챔프 못고르고 시간 다 갈듯.

근데 아무래도 먼저 픽해버리면 그 챔프나 포지션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고, 우길만한 껀수가 있다는 점에서

뺏긴놈이 뺏아간놈 칼픽했다고 욕하는 경우도 있어서 참 애매한 경우지만 분명 비매너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