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491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갤러리카페휘
작성일 2020-06-20 17:09:22 KST 조회 945
제목
한국영화감독들이 뽑은 자신의 인생영화


• 봉준호가 픽한 아시아 영화 10편



 


<붉은 살의> - 이마무라 쇼헤이(1964)/일본

 

 


<하녀> - 김기영(1961)/대한민국 

 

 


<큐어> - 구로사와 기요시(1996)/일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홍상수(1996)/대한민국 

 

 

 


<이어도> - 김기영(1978)/대한민국 

 


 

<비정성시> 허우 샤오시엔(1989)/대만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미야자키 하야오(2002)

 


 

<스틸라이프> - 지아장커(2006)/중국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 에드워드 양(1991)/대만

 

 


 

<복수는 나의 것> - 이마무라 쇼헤이(1979)/일본 

 

• 인간사를 잔인하게 풀어낸 영화들이 많다.

• 쇼헤이, 기요시 등등 고전적인 일본 거장들의 영화보다는 논쟁적이고 파격적인 감독들의 이름이 눈에 띈다.
• 2014년 최고의 아시아 영화를 뽑을때 만든 리스트이다.

• 리스트의 감독들 대부분이 봉준호가 아카데미 시상식 인터뷰에서 거론한 감독들이다. 

 

 

 

 


• 류승완이 픽한 아시아 영화 10편 

 

 

 


<올드 보이> - 박찬욱(2003)/대한민국 

 

 


<박하사탕> - 이창동(1999)/대한민국 

 


 

<복수는 나의 것> - 박찬욱(2002)/대한민국 

 


<이웃집 토토로> - 미야자키 하야오(1988)/일본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 압바스 키아로스타미(1987)/이란 

 

 

 


 

<촉산> - 서극(1983)/중국 

 

 


 

<금연자> - 장철(1988)/중국 

 

 


 

<최후의 증인> - 이두용(1980)/대한민국 

 


 

<협녀> - 호금전(1971)/대만, 홍콩 

 

 

 


 

<라쇼몽> - 구로사와 아키라(1950)/일본 

 

 

• 성룡 키드답게 무협 영화들이 많다.

• 근데 정작 성룡 영화가 없다.
• 한국 영화가 무려 4편이다. 그 중 3편이 한국 영화 르네상스 시기에 나온 영화다.

• 장르를 가리지 않고 고루고루 보는 듯하다. 

 

 

 

 

 

 


 

• 박찬욱이 픽한 영화 10편 





<가르시아> - 셈 페킨파(1974)/미국

 

 


<복수는 나의 것> - 이마무라 쇼헤이(1979)/일본 

 

 


 

<손수건을 꺼내요> - 베르뜨랑 블리에(1978)/프랑스 

 

 


 

<세컨드> - 존 프랑켄하이머(1966)/미국

 

 


 

<키스 미 데들리> - 로버트 알드리치(1955)/미국 

 

 


 

<사냥꾼의 밤> - 찰스 로튼(1955)/미국 

 


 

<포인트 블랭크> - 존 부어만(1967)/미국 

 

 

 


 

<배드 캅> - 아벨 페레라(1992)/미국 

 

 


 

<말러> - 켄 러셀(1974)/영국


• 알드리치, 프랑켄하이머 등등 작가주의 시절의 할리우드 영화들이 눈에 띈다.
• <배드 캅>은 타란티노와의 인터뷰에서도 언급한 적 있다.

• 폭력적이고 잔인한거 질색한다더니 폭력의 피카소(샘 페킨파)와 <세컨드>, <배드 캅> 같은 미친 영화들이 들어가 있다. 이런 거짓말쟁이 

 

 

 

 

 


• 홍상수가 픽한 영화 10편 








<오데트> -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1954)/덴마크

 

 

 


<익사 직전에 구조된 부뒤> - 장 르누아르(1932)/프랑스 

 

 


 

<부두를 떠나는 보트> - 뤼미에르 형제(1895)/프랑스 

 

 


 

<북극의 나누크> - 로버트 J. 플레허티(1922)/미국 

 


 

<라탈랑트> - 장 비고(1934)/프랑스 

 


<젊은 링컨> - 존 포드(1939)/미국 

 

 


<사형수 탈주하다> - 로베르 브레송(1966)/프랑스 

 

 


 

<녹색 광선> - 에릭 로메르(1986)/프랑스 

 

 

 

 


 

<초여름> - 오즈 야스지로(1951)/일본 

 

 

 

 


 

<나자린> - 루이스 부뉘엘(1958)/스페인 

 

• 할리우드 영화 싫다고 대놓고 꺼려했던 것처럼 미국 영화가 한 편 밖에 없다. 

• 그런데 그게 존 포드다. 
• 따지고 보면 제일 기괴한 리스트이다. 신성모독적인 <나자린>과 구원 서사인 <오데트>와 <사형수>가 동시에 들어가 있다.

• 다 좋은데 뤼미에르 형제의 활동 사진에서 대체 뭘 느낀걸까 싶다. 

 

 

 

 

 

 


• 최동훈의 추천작 






<리오 브라보> - 하워드 혹스(1959)/미국

 

 


• 이명세의 추천작 



<겟 어웨이> - 샘 페킨파(1972)/미국

 

 


 

이준익의 추천작 





<몬티 파이튼의 성배> - 테리 길리엄(1977)/영국


• 셋 다 한편 씩 추천한거라 뭐라 쓸 코멘트는 없지만... 다들 정말 안 어울린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기라졸 (2020-06-20 17:18:09 KST)
0↑ ↓0
센스 이미지
몬티파이튼이 거기서 왜나와..?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