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는 가장 위대한 여류 심리학자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대상관계이론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애착의 유형을 혼자서 완전히 정리해냈고, 그녀가 설계한 실험의 탁월한 방법론은 아직도 가장 심리학다운 실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1970년대에 에인스워스는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 유형을 정리했습니다. 애착 유형이란 아이가 부모가 아이에게 낯선 상황에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을 때 부모에게 아이가 어떻게 반응하냐에 따라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정 유형: 아이는 부모가 사라졌을 때 침착하게 근처 상황을 탐색하고, 부모가 돌아오면 부모에게 돌아가 부모에게 안깁니다.
불안정 유형: 아이는 부모가 사라졌을 때 매우 불안한 반응을 보이고, 부모가 돌아오면 부모에게 혼란스러운 반응을 보입니다.
불안정 유형은 또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지는데요.
불안정 회피 유형: 아이는 부모가 사라지건 말건 아무 관심이 없이 근처를 탐색합니다. 부모가 돌아와도 부모에게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부모는 아이의 요구에 항시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아이는 부모에게 아무것도 바라지 않습니다.
불안정 저항 유형: 아이는 부모가 사라지면 굉장히 불안해하며 울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부모가 돌아오면 부모를 밀치고 더 웁니다. 부모가 아이의 요구에 반응 하기도 했고 반응하지 않기도 했으므로 아이는 부모의 사랑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입니다.
종단 연구를 통해서 알아낸 바로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게, 안정적 애착을 형성한 아이가 학교생활에서건 인간관계에서건 매우 뛰어난 적응을 보여주고,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부적응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태어나 몇 년간 부모 밑에서만 자라며 형성한 애착 관계를 내적 작동 모형으로 설정하여, 다른 인간과의 관계에서도 부모를 대할 때와 비슷하게 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회피 유형의 아이는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고, 쉽게 사람을 좋아하지도 않습니다. 저항 유형의 아이들은 매우 집착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애착 유형은 성인까지도 지속되며(물론 다는 아니지만), 성인의 경우 좀 더 세분화된 애착 유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것은 연애 관계와 직장에서의 사무 방식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칩니다.
성인 애착은 2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