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형 문제인데 관련지문으로 눈길이 제시되었음 눈길에서 어머니가 아들에게
'집집마다 모두 도단 아니면 기와들을 얹는단다' 라는 구절에 밑줄이 쳐지고
이 구절에 사용된 말하기 방식을 보기를 참고해 쓰라는게 문제였음
<보기 내용>
대화하는 내용에 따라 말하기 방식을 달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말하려는 내용이 말하는 이나 듣는 이에게
부담이 되지 않을 때에는 '직설적 말하기 방식'을 사용한다. 정확한 정보전달이 중요한 대화에서는 부담이 되는 내용
이라도 이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반면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일이거나 상대방이 섭섭하게 느낄 수 있는 내용을 말할 경우에는
'간접적 말하기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말하려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말하기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기를 참고해서 어떤 말하기를 사용했고 왜 사용했는지 서술하라는게 문제임
내가 쓴 답은 '간접적 말하기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노인의 소망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했다
인데 답은 '간접적 말하기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아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인거임 ㅡㅡ
이 부분 교과서로 나갈 때 참고자료라고 준 프린트에
<어머니의 배려심>
집을 고쳐짓고 싶은 마음 → 우회적으로 표현
이라고 나와서 있는대로 썼더니 틀린다고 함ㅅㅂ
내가 쓴게 틀린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