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세트라
작성일 2013-04-19 00:38:07 KST 조회 237
제목
한국에서 말하는 "민족"이란 개념 자체가 모호


민족이란 말 자체가 후쿠자와 유키치가 서양 정치 철학 들여올 때 번역 항문으로 해서 생긴 말...

"민족 국가"를 영어로 하면 nation-state인데 nation은 민족 뿐만 아니라 국가라는 말로도 번역됨.

그래서 한국 정치학자들도 저거 번역하는 데 골치 썩음.. nation은 보통 국가로 번역하는데 정작

nationalism은 보통 민족주의로 번역하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니까 ;;


현재 한국에서 "민족"이라고 할 때의 의미는 이미 조금 이상해져서 영어로 따지면 완전히

대응되는 말이 없고 그저 nation과 ethnicity의 중간쯤되는 애매한 말이라고 할 수 있음..

참고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건 정말 비단 한국 뿐으로 다른 한자문화권들도 이러지는 않음 ;;

좋은 예로 정작 현대 일본에서는 nationalism을 "국가주의"라는 번역으로 가르치고 "민족주의"라는

번역은 폐기되었음. 따라서 nation도 그냥 "국가"라는 말에 대응해서 가르치고 "민족"이란 말 자체를 잘 안 씀


개판 번역은 일본인들이 했는데 개판 번역을 21세기까지 고수하는 건 한국인들이라는 불편한 진실..

거기다 분단 상황까지 겹쳐서 일본에선 "민족주의"의 개정된 번역어로 (즉 같은 개념으로) 가르치고 있는

"국가주의"란 말이 한국에서는 민족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으로까지 변질되는 이상한 상황..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A-27크롬웰 (2013-04-19 00:40: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나라가 없는 상황에서의 민족주의라서 국가주의와 일대일 대입하기는 또 어색
아이콘 네프 (2013-04-19 00:40:47 KST)
0↑ ↓0
센스 이미지
ethnicity가 인종에 가까운가요?
공부해라 (2013-04-19 00:41:07 KST)
0↑ ↓0
센스 이미지
오 잘 아시네요 ㅋㅋ
아이콘 A-27크롬웰 (2013-04-19 00:46: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인종으로 번역되는 건 드물던데요
공부해라 (2013-04-19 01:01:48 KST)
0↑ ↓0
센스 이미지
민족 정체성Ethnic identitiy 문화적 차이 그리고/또는 공통의 혈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타자들에 대비되는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한 개인의 주관적 개념화와 관련된 양상을 일컫는다.


민족 집단Ethnic group 문화적 차이 그리고/또는 공통의 혈통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상호작용하거나 공존하는 타자들가 자신들을 구별하는 그리고/또는 그들에 의해 구별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민족성ethnicity 이상에서 정의된 것처럼 문화적으로 구성construction된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모든 사회적 심리적 현상을 통칭하는 것이다. 민족성 개념은 민족 집단을 정체화하는 과정에서나 민족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 사회적 과정과 문화적 과정이 서로 교차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집단 정체성과 관련된 대표적 범주인 ethnic group과 nation을 어떤 용어로 번역할 것인가는 의견이 분분한 문제이다. 국내 학게에서 nation은 '민족', ethnic group은 '종족'으로 번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nation이 18세기 이후 등장한 정치적 범주인 국민국가의 성원을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들어 '민족'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물론, 때에 따라서 nation이 생물학적 문화적 범주를 의미하는 개념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민족'으로 번역하는 것을 절대적 오류라고 할 수는 없다. 실제 많은 학자들이 자신들의 이론적 입장이나 맥락에 따라 '민족'이나 '국민'을 혼용하고 있다.
ethnic group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번역 관행에 대한 문제제기가 한층 복잡해졌다. '민족'으로 번역되는 nation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ethnic group을 '종족'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으나, 용어가 내포하는 실제 의미는 일반적인 '민족'의 개념에 더 가깝다. 또한 '종족'의 '종'의 의미를 '인종'에서처럼 생물학적 개념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그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에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고려하여, ethnic group은 '민족', ethnicity는 '민족성', nation은 '국민'으로 번역하였다. 특히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 현대 동아시아에서 진행되고 있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역사분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에, ethnic group을 '민족'으로 표현하여야 제대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만 nationalism은 관행적 번역어인 '민족주의'가 갖는 전통이 강하고 의미 전달에 더유용한 측면이 있어 이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일부 맥락에서는 그 의미를 분형히 하기 위해 '국민국가주의'라는 용어도 함께 사용하였다.


위는 책 번역

아래는 번역자님의 주석



참고해보시라구여 ㅎㅎ


자기 전에 괜히 진지한 글 투척
김강건 (2013-04-19 01:20:4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잘 읽고 갑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