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2-04-15 00:18:31 KST | 조회 | 209 |
제목 |
모순과 역설의 유래
|
모순은 말그대로
창과 방패를 뜻하니
무엇이든 뚫는 창과 무엇이든 막는 방패
둘이 부딪히면 어찌되겠는가? 에서 유래된
동시에 성립할 수 없는 사안(thing)의 충돌개념
역설은
그리스시대였나 로마시대였나
뛰어난 재판관에게 비싼 수업료를 지불하기로 약속하고 어떤사람이 제자가 됨
스승은 자신의 가르침을 받으면 재판에서 질일이 없다 장담함
수업을 마치고 수업료를 내라 하니 못내겠다 그럼
스승이 빡쳐서 소송검
스승 왈
"제자야 너는 무조건 수업료를 내게 돼있다
내가 이기면 소송에서 이겼으니 수업료를 받게되고,
내가 지면 너는 내 가르침을 받아 소송에서 이기게 된 것이니 따라서 또한 내게 수업료를 내야 하게 된다."
그러자 제자가 반박함
"저는 무조건 수업료를 낼 필요가 없습니다
제가 이기면 이겼으니 낼 필요가 없게되고
제가 진다면 스승님이 제대로 못가르친 것이니 수업료를 안내도 할 말씀이 없는것 아닙니까"
이같이 대립하는 사안이 서로 완전히 부정하는건 아닌데
뭐가 어찌된건지 존나 꼴릿하게 된경우가 역설
참고로 영어 아이러니는 원래 뜻이 모순이라 그럼
기사나 글, 말할 때 등 보면
모순과 역설의 개념을 확실히 구분 못하고 쓰는 경우가 많은거 같음
모순은 확실히 알겠는데
역설은 어 좀 애매한듯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