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1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BloodOrDarkness
작성일 2012-02-27 22:29:09 KST 조회 149
제목
유교까지 말라

고려 말 무신집권기와 몽고간섭기로 인해 고려는 여러 방면으로 큰 변화를 겪었고, 무신세력과 권문세족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유력 계층에 의해 정치, 경제력이 독점되었다. 고려의 국교인 불교 또한 이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어 각종 폐단이 생겨났다. 이에 따라 기존의 불교와 다른 새로운 사상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 사상이 바로 원으로부터 들어오게 된 성리학이었다. 고려 말에 전래된 성리학이 불교를 밀어내고, 훗날 건국되는 조선의 국가 이념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불교의 폐단

 

고려 후기 권문세족과 사원세력의 토지 독점으로 국가 재정에 큰 손실이 있었고, 몽고와 홍건적, 왜구의 침입으로 고려는 내외적으로 혼란을 겪게 되었다. 농민들은 과중한 조세를 이기지 못 하고 유망하거나 스스로 사원에 토지를 맡기고 의탁하게 되었으며, 사원의 무분별한 건립과 잦은 종교행사로 인해 이에 따라 국가 재정에 부담을 초래하였다. 사원의 면세권으로 인해 사원전(寺院田)과 사원의 노비인구가 증가하면서 조세 수입에 지장을 주게 되었고, 군역을 피하기 위해 출가하는 자도 늘어 불교의 기강이 해이해졌다.

 

2) 성리학의 수용과 불교 배척

 

고려의 국교인 불교는 위와 같이 사상적 기능을 하지 못 하고, 사회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자 새로운 사상의 모색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안향이 원으로부터 들어온 주자서와 주자성리학이 주목을 받게되고, 그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들어온 원의 성리학은 주자가 주장한 거경궁리(居敬窮理)가 아닌 거경수기(居敬修己)에 뿌리를 둔 실천적인 성격과 사회 질서와 윤리를 강조하였고, 이는 불교의 폐단을 비롯한 현실 문제를 타파하려는 신진사대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유교적 입장에서 불교를 사상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고, 불교를 배척하는 배불론(排佛論)이 큰 힘을 얻기 시작 하였다. 유교적 입장에선 볼 때, 불교에서의 출가는 주자가 주장한 실천적 윤리인 孝 忠 禮 信 誠을 저버리는 비윤리적 행위이며, 불교에서 주장하는 윤회, 내세론은 현실과 동떨어진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보일 뿐이었다. 배불론은 고려말 신진사대부들이 정치적 세력으로 성장하면서 더욱 심화되는데, 이는 불교가 권문세족과 관련이 깊었기 때문에 정치적인 성격도 띄고 있으나 사회 경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서의 비판도 컸다. 이를 통해 성리학은 부처의 힘을 빌려 불도를 닦는 불교에 비해 인간을 주체로 보고 스스로를 수양하는 실천 윤리적인 이론이었으며, 이를 받아들인 성리학자들에게 현실 문제를 해결할 정신적인 기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리

 

고려 말 불교의 폐단은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원으로부터 들어온 실천주의가 강조된 성리학은 기능을 잃어버린 불교를 대신할 사상으로 받아졌다. 또한 불교는 내세주의적 사상이었고, 성리학은 현실주의적 사상으로서 현실 문제를 해결할 정신적인 기반이 될 수 있었다. 이에 불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그에 따른 배불론이 대두되었다.

신흥사대부들은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개혁 정치를 실시하여 권문세족의 경제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흥 무인 세력과 결탁하여 실권을 잡게 된다. 이 후 반대세력과 온건개화파 세력을 숙청하고 조선을 개국하게 되는데,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으로 대표되는 배불론은 그대로 이어지게 되면서 불교의 입지는 좁아지게 되었다. 태조 시기엔 불교를 종교로써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었지만, 태종에 이르러 숭유억불책이 대대적으로 시행되면서 조선은 유교중심의 정치를 표방하는 국가가 되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2-27 22:29:24 KST)
0↑ ↓0
센스 이미지
...는 저번 학기 본인 발표문
아이콘 얼음덕후노메 (2012-02-27 22:29:45 KST)
0↑ ↓0
센스 이미지
결론은 어떤 종교든 폐단은 존재하기 마련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2-27 22:30:32 KST)
0↑ ↓0
센스 이미지
세줄 요약

조선이 불교를 배척하고 성리학을 받아들인 데엔

내세를 강조하기 보다 현실 문제를 해결할 유교가 더욱 실용적이었으며

부패한 불교 사원을 철폐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
아이콘 빗방울속추적자 (2012-02-27 22:31:35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냥 신진사대부가 유교라 으샤으샤한게 아니었군!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