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사사하라
작성일 2012-01-28 12:25:22 KST 조회 213
제목
의자왕을 바치고 배신한 신하

최근에 이게 밝혀졌다는데 그러면서 나온 소리가(<-메이져한 소리는 아니지만)

 

 

 

우리 매국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에...음...

 

 

그런가

마치 배신은 우리나라만 하는 종특인 것처럼 말하는것 같아 기분이 애매하당

 

근데 어짜피 포로로 잡혔던 상황에선 그냥 백제 상황이 亡亡亡亡亡이었지않나

 

 

사비성을 적에게 내주고 주위 4개 성에서 포위 협격한다는것이 우리 의자왕의 전략이었다!라는게 예전에 어떤 교수님이 주장하셨던 것 같은데 다른 교수님은 '애초에 사비성 내주는 상황 자체가 혼돈의 카오스였는데 의자왕이 그런 생각을 했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라고 하셨던 듯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테란다죽여 (2012-01-28 12:27: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이건 뭔소린지...

야시꾸리가 뭔뜻인가요?

왜언어좀... 자제...
사사하라 (2012-01-28 12:27:24 KST)
0↑ ↓0
센스 이미지
ㄴ아무 의미없이 그냥 제가 적당히 지어낸 언어입니다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1-28 12:27:40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시대는 사료가 적어서...

학설은 이래저래 많은데 뚜렷하게 뭐라 하질 못 함.

신라 골품제 성골과 진골 차이도 구별 할 수 없고 그러함 끵 ㅠ
사사하라 (2012-01-28 12:27:51 KST)
0↑ ↓0
센스 이미지
헉 혹시나 검색해보니 19금 뜨네;;; 켁켁
사사하라 (2012-01-28 12:29:06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사기는 사대주의적이니까 믿으면 안된다는 분들이 계신데 그 분들은 대체 무슨 사료로 연구하라고 하는걸까요 허허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1-28 12:30:09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러게 말임. 그거라도 없으면 뭘보고 연구해야되나 'ㅅ'?
아이콘 승기린 (2012-01-28 12:31:12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사기는 사대적이고 고려이면서 신라중심으로 쓴 더러운 역사서...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지만.. 믿으면 안된다는 뜻이 전부다 믿으면 안된다는 소리가 아니라 비판적으로 수용하라는 소리겠죠-_-;; 애초에 남은 역사서가 거의 전무한 상태니까 있는 자료로 열심히 맞춰봐야죠..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1-28 12:35:17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러한 인식의 발단은 일제시대 일본 식만 사학자들의 주장에서 시작된 겁니다.

김부식이 신라 계통의 출신이며, 따라서 신라를 부각시켜 기록한 것은 사실입니다.

삼국사기에서 신라 분량이 많은 것은 저러한 배경 말고도

백제, 고구려보다 더 오래 지속된 통일 국가이기 때문에

당연히 분량도 많아질 수 밖에 없다고 볼 수도 았죠.

하지만 모든 사료를 보는데엔 비판적 시각에서 접근해야되는 건 당연한 것이고,

현재 남아 있는 관찬 사서 중 삼국시대에 대해 기록되어 있는 유일한 자료임엔 틀림 없습니다.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1-28 12:37:46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유사는 내용 자체는 사서라고 보기 힘듭니다.

불교에 관련된 이야기, 기담이나 전설, 민들에게서 전해지는 구담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삼국유사를 사료로 볼 수 있는 이유는 일연이 참고한 자료를 상세히 기록해놓았기 때문에

당시에 있었을 문헌들을 추정할 수 있고, 당시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기에 인정받는 겁니다.
아이콘 승기린 (2012-01-28 12:37:48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러니까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이겠죠.. 라고 저도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 싫어하는건 싫은거죠 ㅎㅎ;

애초에 삼국사기가 편찬된 배경이 묘청의 서경파를 몰아낸 뒤에 개경파 김부식이 왕명으로 편찬한 역사서인건 사실이잖아요?

나라이름은 고구려계승의 국호인 고려면서 신라중심의 역사관을 가지고 쓴 삼국사기가 맘에 들지 않는게 이상한건 아니잖아요;;
아이콘 승기린 (2012-01-28 12:39:30 KST)
0↑ ↓0
센스 이미지
삼국유사는 사서.. 라기 보다는 구전설화, 향가 수록집에 더 가깝다는건 저도 인정하는 바에요..;
아이콘 BloodOrDarkness (2012-01-28 12:43:32 KST)
0↑ ↓0
센스 이미지
고려 건국 당시에도 왕건은 신라를 흡수하고 계승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예로 경순왕과 이중혼인을 하여 사돈 겸 사위로 관계를 유지하고,

무력적으로 압박한 견훤과 다르게 신라에 대해 포용하는 입장을 취했거든요.

고려 시대가 진정한 통일 국가로써 인정받는데엔 민족 내에서 자력으로 통일을 이륙했고,

지역적으로 갈라져있던 민심을 하나로 묶는데 성공했다는데 있습니다.

신라 통일 직후에도 골품제 모순 및 백제, 고구려 부흥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으니까요.

물론 신라 중심의 역사 서술에 비판도 가해져야 하는 이유가 있음은 분명합니다.
아이콘 승기린 (2012-01-28 12:48:20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렇죠, 그런면에선 이미 삼국사기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잘 해석이 된 상태라고 봐도 된다고 저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하나 현존하는 최고의 관찬사서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니까요;
그래도 개인적으로 김부식이 싫은건 어쩔수 없음 ㅎㅎ;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