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Kyrie.
작성일 2011-11-29 21:30:53 KST 조회 124
제목
박제가에대한 의견, 키워드 제시 바람

레포트써야되는데 정보부족

북학의 짜응 덕무친구짜응 득공친구짜응 정조부하짜응 지원제자짜응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아이콘 빗방울속너고소 (2011-11-29 21:31:28 KST)
0↑ ↓0
센스 이미지
18세기 후반기의 대표적인 조선 실학자. 호는 초정(楚亭). 양반 가문의 서자로 태어나 전통적인 양반 교육을 받기는 했으나 신분적인 제약으로 사회적인 차별대우를 받았기 때문에 봉건적인 신분제도에 반대하는 선진적인 실학사상을 전개하였다. 그는 서울에서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을 스승으로 모시고 공부하였으므로 누구보다도 국내 상업과 외국 무역에 대한 이해가 깊었고 따라서 그의 사상도 당시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던 도시 상공인의 입장을 대변하는 중기 실학, 이용후생학파와 시기를 같이한다.
그리하여 그는 반계(磻溪) 성호(星湖) 등의 토지경제사상을 지양하고 선진적인 청(淸)의 문물을 받아들여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그는 상공업의 발전을 위하여 국가는 수레(車)를 쓸 수 있도록 길을 내어야 하고 화폐 사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중상주의적 국가관을 내세우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북학의』(北學議)가 있다.
아이콘 빗방울속너고소 (2011-11-29 21:31:40 KST)
0↑ ↓0
센스 이미지
1750(영조 26)∼1805(순조 5).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차수(次修)·재선(在先)·수기(修其), 호는 초정(楚亭)·정유(貞?)·위항도인(葦杭道人). 율(栗)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승지 평(坪)이다.
소년 시절부터 시·서·화에 뛰어나 문명을 떨쳐 19세를 전후해 박지원(朴趾源)을 비롯한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 등 서울에 사는 북학파들과 교유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 이덕무·유득공·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 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청나라에까지 떨쳤다.
1778년 사은사 채제공(蔡濟恭)을 따라 이덕무와 함께 청나라에 가서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 등의 청나라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돌아온 뒤 청나라에서 보고들은 것을 정리해 ≪북학의 北學議≫ 내·외편을 저술하였다. 내편에서는 생활 도구의 개선을, 외편에서는 정치·사회 제도의 모순점과 개혁 방안을 다루었다.
한편, 정조는 서얼들의 누적된 불만을 무마시키려는 정책의 하나로 1777년 3월에 서얼허통절목(庶?許通節目)을 발표했으며, 1779년 3월에는 규장각에 검서관직(檢書官職)을 설치해 그를 비롯한 이덕무·유득공·서이수(徐理修) 등의 서얼 출신 학자들을 임명하였다.
이로부터 13년 간 규장각 내·외직에 근무하면서 여기에 비장된 서적들을 마음껏 읽고, 정조를 비롯한 국내의 저명한 학자들과 깊이 사귀면서 왕명을 받아 많은 책을 교정, 간행하기도 하였다.
1786년 왕명으로 당시 관리들에게 시폐(時弊)를 시정할 수 있는 <구폐책 救弊策>을 올리게 하였다. 이 때 그가 진언한 소는 주로 신분적인 차별을 타파하고 상공업을 장려해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국민 생활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나라의 선진적인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하였다.
그 뒤 1790년 5월 건륭제(乾隆帝)의 팔순절에 정사(正使) 황인점(黃仁點)을 따라 두 번 째 연행(燕行)길에 오르고, 돌아오는 길에 압록강에서 다시 왕명을 받아 연경에 파견되었다. 원자(元子 : 뒤의 순조)의 탄생을 축하한 청나라 황제의 호의에 보답하기 위해 정조는 한낱 검서관인 그를 정3품 군기시정(軍器寺正)에 임시로 임명해 별자(別咨) 사절로서 보낸 것이다.
1793년 정원에서 내각관문(內閣關文)을 받고 <비옥희음송 比屋希音頌>이라는 비속한 문체를 쓰는 데 대한 자송문(自訟文)을 왕에게 지어바쳤다. 1794년 2월에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를 보아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798년 정조는 선왕인 영조가 적전(籍田)에 친경한 지 회갑이 되는 날을 기념하기 위해 널리 농서를 구하였다. 이 때 그도 ≪북학의≫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응지농정소 應旨農政疏>를 올렸으며, ≪소진본북학의 疏進本北學議≫는 이 때 작성한 것이다.
그리고 1801년(순조 1)에는 사은사 윤행임(尹行恁)을 따라 이덕무와 함께 네 번 째 연행길에 올랐다. 그러나 돌아오자마자 동남성문의 흉서 사건 주모자인 윤가기(尹可基)와 사돈으로서 이 사건에 혐의가 있다 하여 종성에 유배되었다가 1805년에 풀려났으나 곧 병으로 죽었다.
그가 죽은 연대는 1805년과 1815년 설이 있다. 그런데 그의 스승이며 동지인 박지원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심해 곧 죽었다는 기록과, 1805년 이후에 쓴 그의 글이 보이지 않는 점 등으로 보아 1805년에 죽었다고 볼 수 있다. 묘는 경기도 광주에 있다.
아들은 장임(長稔)·장름(長?)·장엄(長?) 등 셋인데 막내아들 장엄은 유득공의 아들 본예(本藝)·본학(本學) 형제와 함께 순조 때 검서관이 되었다.
시·그림·글씨에도 뛰어난 재질을 보여, 청대(淸代) ≪사고전서 四庫全書≫ 계열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대련 형식(對聯形式)을 수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글씨는 예서풍을 띠고 있으며 조선 말기의 서풍과 추사체의 형성에 선구적 구실을 하였다. 구양순(歐陽詢)과 동기창(董其昌)풍의 행서도 잘 썼으며 필적이 굳세고 활달하면서 높은 품격을 보여준다.
그림은 간결한 필치와 맑고 옅은 채색에 운치와 문기(文氣)가 짙게 풍기는 사의적(寫意的)인 문인화풍의 산수·인물화와 생동감이 넘치는 꿩·고기 그림을 잘 그렸다.
유작으로 <대련글씨>·<시고 詩稿>·<목우도 牧牛圖>·<의암관수도 倚巖觀水圖>·<어락도 魚樂圖>·<야치도 野雉圖> 등이 있다. 저서로는 ≪북학의≫·≪정유집 貞?集≫·≪정유시고 貞?詩稿≫·≪명농초고 明農草藁≫ 등이 있다.
아이콘 Kyrie. (2011-11-29 21:32:27 KST)
0↑ ↓0
센스 이미지
고맙소 빗방울양반
아이콘 Kyrie. (2011-11-29 21:32:48 KST)
0↑ ↓0
센스 이미지
참고로 박제가는 츤데레였다고 합니다.
아이콘 빗방울속너고소 (2011-11-29 21:33:01 KST)
0↑ ↓0
센스 이미지
혹시 이 글을 보고
아! 박제가가 누구였지 분명 알았는데 이과라 까먹었네! 하시는 분들을 위한 자료입니다 ^_^!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