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EndOfBattleS.838
작성일 2011-08-12 23:26:36 KST 조회 398
제목
디시의 유행어
아햏햏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쓸때 없이 너무 자세해!

아햏햏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아햏햏은 다양한 뜻을 지니는 대표적인 인터넷 유행어이다. 아햏햏은 2000년대 초반에 유행하였으며 국립국어연구원에 의해 신조어로 정식 인정된 적도 있으나(2002년 신어 보고서에 수록),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사용되지 않는 편으로, 아햏햏이 만들어진 디시인사이드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있다. 아햏햏은 디씨인사이드 사용자들이 이 모호하고 기분이 언짢은 상황을 표현했던 글로 의성어로는 어리석다는 뜻과 혀과 꼬이면서 당혹스러운 상황을 표현한다.

목차

[편집] 발음과 표기

아햏햏은 현대 국어에 잘 쓰이지 않는 'ㅎ' 받침을 써서 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그 중에서 발음 가능한 표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아해탣] (←[아핻핻])
  • [아행행]
  • [아해해]
  • [아해ㅎ해ㅎ] /a.hɛx.hɛx/ 혹은 /a.hɛx.ɦɛx/

발음을 생각지 않고 태어난 유행어이니만큼, 그저 문자 그대로 아햏햏이라는 의견도 있다. 햏자, 수햏, 亞行杏 등의 용례를 고려하여 [아행행]이 맞다는 의견이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은 이와 같이 발음하고 있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을 고려하면 [아해탣]이 맞으며, 조사를 붙일 때는 아햏햏이[아해태히], 아햏햏에[아해태헤], 아햏햏으로[아해태흐로], 아햏햏을[아해태흘]과 같이 발음해야 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의해 ㄷ으로 변했던 ㅎ이 조사와 붙으면 다시 살아나기 때문이다. 낯[낯]→낯이[나치]와 같은 이치.

또한, 여기서 파생된 단어는 햏자[해차], 수햏[수핻], 득햏[드캗], 햏력[핸녁]과 같이 발음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 정서법에서는 'ㅎ' 받침은 'ㅎ'이란 글자의 이름과 관련된 명사를 제외하면 명사로 사용된 예가 전혀 없으므로 'ㅎ'의 이름을 발음하기 위해 편의상 지정한 발음 규칙을 지나치게 일반화시켜 해석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한자로는 亞行杏(아행행)으로 표기하며, 로마자로는 ahehheh으로 표기한다. 하지만,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ahaetaet이 옳은 표기이나, 네티즌들은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 재미로 '아헿헿', '아핳핳', '으흫흫'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편집] 아햏햏의 유래

2001년 엽기갤러리에서 유행하기 시작하던 같은 내용의 댓글만 다는 고정리플 유저들이 생겨났다.

홀맨, 피바다, 정신과전문의 표잔인 등등 고정리플들을 다는 사람들이 한창 활동하던 중 한 유저가 "아햏햏 소피티아"라는 고정 리플을 달면서 엽갤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편집] 관련 용어

  • 방법하다 (손발이 오그라든다) : 부산지역의 어떤 할머니가 자신의 방석을 돌려달라고 쓴 글을 본 사람들이 사용하게 된 것이, 사이버 시위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사투리로 '응징하다'라는 뜻이 있다는 설도 있음
  • 왜? 달아서 : 한 과일 가게에서 '포도를 잡수시고 혼수상태. 왜? 달아서', '수박을 드시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 왜? 달아서' 등과 같은 글을 적은 것을 보고 사람들이 따라함
  • 쌔우다 : 한 가정집의 길가 화단에 '개똥 쌔우지 마세요'로 시작하는 게시물이 붙었다. 사동형 접미사 '우'는 '싸다'는 말에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싸게 하다'는 뜻으로 '쌔우다'를 쓰는 것은 잘못되었지만, 표현이 재미있게 느껴져 널리 쓰이게 되었다. (게시물 등을) 올리다, 하다의 뜻으로 쓰임
  • (양심) 업ㅂ은/업ㅂ다 : 위의 '쌔우다'가 유래한 게시물의 마지막에 '이 양심업ㅂ(쌍비읍 받침)은 인간들아'라고 적힌 것을 보고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컴퓨터에 한글 받침으로 쌍비읍을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업ㅂ'과 같은 표기법이 생겼다.
  • 자빠링하고싶다
  • 하오체 : 초창기에 취화선의 포스터를 합성하면서 장승업의 말투를 따라한 것이다.
  • 필수요소 : 합성 사진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 또는 사물을 이르는 말
  • 햏자, 수햏, 득햏, 햏력 : 햏을 도에 비유했다.
  • 폐인
  • 압박(스크롤의 압박 등) : 2002년 월드컵때 코스타리카 기자의 티셔츠에 적혀있던 "코스타리카의 압박"에서 시작된 말.

[편집] 햏자

햏자[행자, 行者]는 아햏햏으로부터 파생된 말의 하나로, 디시인사이드에서 활동하는 네티즌들이 자신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였던 단어이다. 이들은 낮에 자고 밤에 활동하거나[1] 라면을 주로 먹으며[2] 인터넷상의 모든 표현에 "아햏햏"을 쓰는 등[3]의 자신들의 특징을 "수햏"하는 활동으로 표현한다. 이들은 평소에 합성사진을 만들어 공유하거나 게시물에 답변을 먼저 달기 위해 경쟁하는 등수놀이, 성인물 감상 등을 즐겨하였다.

아햏햏과 마찬가지로 현재는 자신을 햏자로 지칭하는 사람이 없다.

햏자의 다른 뜻으로는 무엇인가를 한다는 혹은 행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편집] 파생 상품 및 인물

  • 아햏햏 티셔츠 : T09 피터판규햏자가 만든티셔츠로, 붓글씨로 적힌 아햏햏이 새겨진 티셔츠이다.
  • 아햏햏 D.O.G. : MSN 메신저와 연동되어 각종 상황을 소리나 진동으로 알려주는 강아지 모양의 인형이다.
  • 아햏햏 밴드 : 정식명칭은 '저질카피밴드 아햏햏'으로 아햏햏 사이트의 햏자들(아랑쑈, 풍걸,윤득햏, 풍각, 피터판규, 오사마)이 모여서 만든 밴드이다.

[편집] 관련 인물

  • 김풍 - 웹툰 작가로, 아햏햏 문화를 배경으로 한 웹툰으로 유명해졌다.

[편집] 참고 및 외부 링크

[편집] 주석

  1. 주침야활(晝寢夜活)
  2. 면식수햏(麵食修行)
  3. 햏언수햏(行言修行)
이름공간
변수
행위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