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2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얼음덕후노메
작성일 2011-07-06 20:52:49 KST 조회 203
제목
김첨지 드립 보고 가져온 글귀
한국에도 존재한다. 초등학교때 남녀 학생이 싸우고 일방적으로 못살게굴면 선생님이 하시는 한마디. "좋아하는데 부끄러우면 때린대" 하는 거.
보급이 된 대표적인 단어[2]가 없었을 뿐 개념은 존재했다.

한국에서는 일찍이 일제강점기의 소설가인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1924)"의 "김첨지"에게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고, 김유정의 "동백꽃(1936)"의 히로인인 "점순이"를 비롯해 황순원의 "소나기(1953)"에 등장하는 "소녀" 등에 서도 츤데레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또 연암 박지원 선생의 마장전에 보면(200년도 더됐다!)...
첫째 상대방을 칭찬하려거든 겉으로는 책망하는 것이 좋고.
둘째 상대방에게 사랑함을 보여주려거든 짐짓 성난 표정을 드러내 보여야 한다.
셋째 상대방과 친해지려거든 뚫어질 듯 쳐다보다가 부끄러운듯 돌아서야 하고
넷째 상대방으로 하여금 나를 꼭 믿게 하려거든 의심하게 만들어놓고 기다려야 한다.

라고 하여 현대에 유통되는 새침데기의 지침을 명확하게 드러낸 바 있다.

여기에서 조상님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다.[3]

이외에도 90년대 대중가요에서도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일반인에게 츤데레-새침데기가 무엇인지 설명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이 노래를 예로 들면 된다.

아니아니 괜히 싫다고 핀잔을 줘도
뭐라뭐라 내게 심술로 큰소릴 쳐도
니가볼까 몰래 감춰둔 내안에 진심
그걸 모르니 이 바보
그냥 한번 살짝 튕기는 자존심인데
그렇게도 너는 눈치가 없는지
정말 널 사랑해 살며시 열어둔 내맘을 왜 몰라줘

-핑클, <자존심> 후렴구 부분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얼음덕후노메 (2011-07-06 20:53:10 KST)
0↑ ↓0
센스 이미지
출처 : 엔하위키 '츤데레'항목
아이콘 얼음덕후노메 (2011-07-06 20:53:49 KST)
0↑ ↓0
센스 이미지
덤으로 엔하에 정확히 설명대로라면, 츤데레는 연애에 국한된 반면 새침데기는 더 포괄적인 단어라서 완전히 대체하긴 어렵다네요. 역시 신조어를 만드는게 나을듯
아이콘 산백합 (2011-07-06 21:39:39 KST)
0↑ ↓0
센스 이미지
아니 이게 뭐얔ㅋㅋㅋㅋㅋㅋ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