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2525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MD]카파
작성일 2010-11-29 01:29:43 KST 조회 237
제목
좋은거-용 나쁜거-Dragon


고대 중국인이 상상한 영수(靈獸).

왕자()나 위인과 같은 위대하고 훌륭한 존재로 비유된다.


드래곤


서양의 용(dragon)은 동양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그 모습은 뱀과 같은 몸에 발톱이 있는 발이나 날개를 갖추고 화염()을 토하는 동물로 여기는 것이 보통이지만 고대에는 단순히 큰 뱀인 경우가 많다.

한편 그리스도교를 통해서 유대로부터 들어온 악의 상징으로서의 용은 성자()의 이야기와 결부되어 성() 조지의 용퇴치의 전설이 되었다. 용은 지크프리트나 아더왕 등 중세의 영웅전설에서도 퇴치 대상인 괴물로 등장하지만, 한편으로는 적에게 두려움을 주는 전투의 수호자로 여겨 방패 등에 그려넣기도 하였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NightFury   |   아이콘 죽은사람   |  
아이콘 나이트퓨리 (2010-11-29 01:32:56 KST)
0↑ ↓0
센스 이미지
근데 드래곤길들이기에서는

귀엽고 착한 녀석들로밖에 안나옴
아이콘 [부릉여왕] (2010-11-29 01:34: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기본적으로 저렇지만 여러 작품들을 보면 저 경계가 허물.. 아니 거의 없어졌죠.
푸에르토_리코 (2010-11-29 01:37:1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마 서구의 드래곤 개념은 거의 중동 쪽이 원조가 아닌가 싶음

아리안계인 이란이나 셈계인 수메르, 바빌론이나 드래곤이 좋게 나오는 경우가 없으니...
[MD]카파 (2010-11-29 01:38: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유대교로부터 들어왔으니 중동이겠져
푸에르토_리코 (2010-11-29 01:40:3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러니까 유대교 이전의 다른 셈족들 신화에서 말이져. 수메르나 바빌론이나 페니키아나... 거기서 더 동쪽으로 가면 인도-이란계고. 얘네들끼린 고대부터 교류했으니 괴물에 대한 관념도 영향을 받았을 듯
[MD]카파 (2010-11-29 01:45: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위키 찾아보니
서양의 dragon은 고대 그리스어고, 원시 신앙에서 생겨났는데
크리스트교에서 악의 이미지를 심어줬대여
[MD]카파 (2010-11-29 01:45: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자연을 정복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을때부터 악의 상징이 되었을거라는군여
아이콘 소슬님 (2010-11-29 02:11: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