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rexious
작성일 2011-07-21 03:54:54 KST 조회 3,140
첨부
제목
젤가디스님의 '팬'관련 칼럼 후기
파일포켓 이미지
파일포켓 이미지



이번 사건은 유달리 많은 사람들이 말이 많은 사건입니다.


그런만큼 너무 이른듯한 타이밍에 공격적인 칼럼을 의도적으로 쓴 것은 칼럼 작성자님의 성급한 판단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되네요.


여성 선수의 등장으로 터져버린 패드립,섹드립, 자격에 대한 이유없는 비난은 댓가(고소 및 법적 처벌)를 치뤄야 함이 맞다고 봅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2 발매이후 터진 사건으로는 가장 말이 많다는 것은

일부 개념없는 사람들의 이유없는 비난과 악플만 많은게 아니죠.

이유 있는 비판을 하는 사람들도 그만큼 많은 것 아닐까요?


왜 많은걸까요??? 무슨 이유로??? 다른 사건과의 어떤 특별한 차이라도있는건가????


김시윤 선수가 등장한 그 날 이후 바로 조치가 들어갔죠.

"프로게이머가 아니라 연습생일 뿐이다"라고 정정도 했죠.


비난과 악플은 이미 슬레이어스 구단 자체 적으로 고소접수를 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유있는 비판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뭘했나요???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비난자들을 고소하는데 비판자들까지 끼여들어가는 듯한 분위기가 생기면서

"이건 아닌듯"이라는 반응이 생겨나기 시작했죠.그러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된 배경도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그 날 이후로 비판자들은 비판을 할 곳이 없어졌습니다.

개인트위터에 자신의 생각을 적었을 뿐인데 자칫하다간 고소 당할듯한 분위기 거든요.

(하지만 추후 검색기능으로 인한 페이지 전체 인쇄였음을 알게되었습니다.)


비판자들은 대게 자격기준에 대한 비판을 했지만 해당구단의 자격기준에 대한 뚜렷한 공식적인 입장도 없었고,

뒤늦게 나온 입장이라고는 '모든 권한은 구단에게 있다. 팬들이 관여할 바가 아니다'였죠.

객관적으로 보나 뭐 법적으로 보나 당연한 말이죠. 팬들이 관여 할래야 할 부분이 없죠.



그런데

곰티비 인터넷 방송으로 중계되는 GSL방송은 팬들과의 소통을 중요시하지 않았나요?

그리고 커뮤니티를 통한 게이머들과의 소통이라던지, 해설진들과의 소통이라던지,

트위터를 통한 소통도 있고요.


초창기 슬레이어스 팀 창단 멤버 선출 관련 글도 이곳 플레이xp에 임요환 선수가 글을 남겨주셨죠.

그만큼 많은 프로게이머들이 눈팅도 하고 글도 쓰면서 스타2는 팬들과 선수들과의 소통이 잘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인해 팬들은 갑자기 무시당하는듯한 기분을 느낄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비판도 안되고, 소통도 안되고, 무시당하는거 같기도하고...

어쩌면 그래서 이번 사건이 유독 더욱 많은 사람들을 자극시킨건 아닐까요?




너무 많은 무개념 비난자들과 악플러들이 많아서 비판을 하시는 분들이 보이지 않으셨던건가요?

일단 너무 많은 악플러들은 처리하고 후에 차근차근 이야기 하려고하셨던 건가요?


비판자들의 의견에는 왜 그리도 소홀했는지 그 내막은 잘 모르겠네요.




김시윤 선수를 가운데 두고, 구단과 팬들의 소통은 현재로서는 없는듯 느껴집니다.




악플러들을 공격하기위해 의도적으로 쓰신 칼럼인 만큼 충분히 성공적으로 공격적이었습니다.

댓글에는 좋은 의견글을 써주신분들도 많더군요. 추후 참고하실 꺼죠?


그 분들의 의견을 모아서 다음번에는 이번 사건이 너무나도 크게 이슈화된 이유가 뭔지,

또는 비판자들의 비판과 옹호론자들의 설전에 대한 칼럼이 올라온다면 좋지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 글은 제 개인적인, 극히 주관적인 의견 글입니다.

그날의 GSTL방송을 보질 못해서

저는 김시윤 선수에 대해서 이렇다 할 의견은 없습니다.

다만 왜 이렇게 말이 많은지에 대해 생각해 본 글임을 밝힙니다.

또한 어쩌면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늬뷔르 (2011-07-21 04:17:58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렇군요. 확실히 김시윤 선수에 대한 비난의 대처만 했을뿐 딱히 뚜렷한 의견을 말하지 않으니 팬들이 더 과민반응 하는것같습니다. 슬레이어스에서 아무 대답이 없다면 계속 이럴것같아요.
아이콘 늬뷔르 (2011-07-21 04:23:40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그래도 슬레이어스가 좀 알아주었으면 하는게 정말 제대로 된 비판을 하는 분들은 김시윤 선수가 여자라서 비판하는게 아니라는거.. 그 비판에 대한 답을 받고싶어한다는거..
Leta_ (2011-07-21 04:46: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월드컵 생각해봅시다 대륙시드 없이 최상위 32국가만 뽑아서 축구했으면 우리나라가 축구가 이렇게 발전했을까요? 평생 단 한번도 출전 못했을것입니다. 첫출전 당시 전쟁으로 폐허된 삼류국가의 축구가 이만큼 발전한건 실력과 무관하게 어느정도 균등한 기회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여성 프로게이머가 '도전' 한다는건 여성 최초고, 더구나 여성부 우승까지 했는데 프로게이머의'기회'조차 박탈하려고 하는건 무슨심본지 모르겠네요.
나보다 못하면 아닥하라는 말로밖엔 안들립니다.
Leta_ (2011-07-21 04:47: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노파심에 한번 더 쓰자면
"나보다 못하면 아닥해야지 뭐야"
라고 생각하시는분은 첫줄부터 다시 읽어주셨으면 하네요.
듀비듀 (2011-07-21 06:30:3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Leta_//덧붙여 보자면, 월드컵 대륙시드가 국가의 축구 수준을 높였다면 다른 나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하죠.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따지고 보면 4년에 한 번 열려 몇 게임 뛰는 월드컵보다 실제 축구 수준을 높이는 데엔 국가 수준의 지원이나 인프라, 시스템 등이 훨씬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선수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주는 건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이지는 않습니다. 수많은 선수들이 쏟아지는 과정에서 좋은 선수를 발굴하는 게 합리적이지 누구에게나 기회를 준다는 건 비현실적입니다. 게다가 이 경우는 균등한 기회라는 시스템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의 낙하산에 가깝죠.

솔직히 얘기해 봅시다. 그 여성 선수가 얼만큼 성장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슬레이어스 팀의 결정을 부정하는 것 또한 아닙니다. 하지만 프로라면 그게 여성, 최초, 외모 등의 이유로 부족한 실력이 정당화 될 수도 없습니다. 팬으로서 기대를 하고 안 하고는 전적으로 개인의 마음이지만 적어도 현재, 실력에 관한 한 팬들의 조롱은 선수 본인이 각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여성이어서도 아닌 경기력으로 팬의 기대를 받는 프로이기 때문입니다.
아이콘 nice10e (2011-07-21 06:56: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그 칼럼을 좋게 본 사람입니다만, 지금의 팬들의 반응이 좀 지나친 것 같습니다.

전 안흥욱 선수가 고통을 호소하고 은퇴를 운운할 때, 안선수를 매우 좋아하는 팬이라 몹시 안타깝게 생각했고요. 선수에 대한 비난/비판의 생각은 조금도 들지 않았습니다.

김시윤 선수의 등장에 대해서도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고 좋게 봤습니다. 스타2판이 더 커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그 점에 대해서 긍정적이면 긍적적이었지 나쁜 영향을 미칠 거라고는 조금도 생각하지 않았었 거든요.

도대체 글쓴이이신 rexious님을 비롯해서 다른 분들이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전 김가연님을 비롯해서 칼럼 작성자분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고 응원을 해드리고 싶습니다.
Leta_ (2011-07-21 08:33: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듀비듀//
시드권을 안주었다면 애초부터 그걸 하고 싶을까요? 노력해서 될지 안될지 모르는데 그걸 하겠냐구요 돈이 없어서 대학 입학금도 못넣을게 뻔한데 공부가 손에 잡힐까 말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이 선수가 어떻게 성장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여성에게도 기회를 주는 최초의 시도이며 더군다나 여성중 최고 자리를 차지했는데
그저 선수 명칭을 붙여주는게 그렇게도 어려운 일인지 반문하고 싶네요
아이콘 맹독드라이어드 (2011-07-21 09:48:3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고위공직자 자식 특채로 자리 하나 만들어줘도 아무 소리 말아라

이말 같더라 그 칼럼글 ㅋ
아이콘 rexious (2011-07-21 10:50:51 KST)
0↑ ↓0
센스 이미지
nice10e//
제가 마지막 줄에 "저는 김시윤 선수에 대한 의견은 없고,
이번 일이 왜 이렇게 말이 많은지에 대해 생각한 글" 이라고 했는데

저를 댓글 단 많은 분들하고 같은 생각으로 보신다는게 이해가 잘 안되네요.

말씀하신대로 지금의 팬들의 반응이 지나칩니다.
지나친면도 있겠지만 그만큼 열띤 면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는 뜻입니다.

무엇이 그렇게 많은 팬들을 자극시켰는지를 생각해 본 글입니다.
아이콘 nice10e (2011-07-21 21:30:0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nice10e// 제 얘기는 rexious님계서 악성 댓글 단 많은 분들하고 같은 생각으로 본다는 게 아니였고요. rexious님이나 악성 댓글 단 많은 분들이나 대체 왜 이걸 이렇게 문제 삼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 모르겠다는 뜻이었습니다. 저는 전혀 아무렇지도 않고 그냥 흥미롭게만 여겨졌었거든요.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아이콘 nice10e (2011-07-21 21:33: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궁금한 게 하나 있는데요. GSTL은 외국에서도 많이 본다고 하던데, 여성 프로게이머의 등장에 대한 외국의 반응은 어떤가요? 지금 여기처럼 이렇게 비판적이거나 그런가요? ㅡ.,ㅡ?
아이콘 lucentpeace (2011-07-22 02:27:49 KST)
0↑ ↓0
센스 이미지
leta//말에 어폐가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월드컵의 32개 국가를 팀으로 보시면 될것같은데 선수로 보셨네요. 월드컵32개국가를 각기 다른 팀으로 본다면 각 국가에서 가장 잘하고 가장 유망한 선수로 엔트리와 선발진을 짭니다. 하지만 김시윤선수는 유망한지도 또 잘하는지도 모릅니다. 거의 로또성입니다. 그렇다면 제가 봤을때는 선발로 올릴지 않고 연습생으로써 연습을 하는게 옳다고 봅니다. 왜냐면 하루라도 선발진에 올라가 얼굴 보여주느니 차라리 연습을 해서 실력을 키운다음에 선발진에 들어갈 정도가 되서 선발진에 올라가 '내가 이정도다'라는걸 보여줬어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봤을때 leta님이 말하신거는 못하는 팀에게도 기회를 줘야한다는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잘 모르시는거 같아서 말씀 드립니다만 32개국가를 뽑는 방식은 그 대륙의 잘하는 국가를 뽑는겁니다. 물론 못하는 국가를 위해서 표를 거의 균등히 나누기는 했지만 말입니다.
즉 그대륙에서 잘하는 국가를 뽑아서 대륙끼리 붙어보자는게 월드컵이지 상위국가끼리 붙어볼까?가 아닙니다 즉 월드컵의 예는 GSTL과는 의미자체가 다르며 국가를 선수에 비교를 하는 것은 비교의 예가 적절치 않다고 봅니다
아이콘 lucentpeace (2011-07-22 02:34:31 KST)
0↑ ↓0
센스 이미지
각대륙의 최고의 국가들이 붙어서 최고의 국가를 뽑는것과 모든 팀들에게 기회를 주는 GSTL 무엇이 다른지 아시리라고 봅니다. 그리고 그 국가들이 월드컵에 나가기 위해 최고의 선수들만을 쓰는것 GSTL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팀이 선발진에 넣어야하는 선수가 누구인가..를 비교해 본다면 김시윤선수는 적어도 프로라는 것을 제쳐두더라도 GSTL 선발진에 들어갈만한 실력은 아니라고 봅니다. 연습생중에서는 그보다 연습도 많이하고 실력좋은 선수가 있을테니까요..여성이니까? 여성이라서 양보해야한다면 리그 대회를 해도 선수들이 70%로 하고 해야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ㅋ 결국 프로의 길을 걸어야한다면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을 해야합니다. 여성대회 남성대회따로따로 연다면 또 모를까 여성과 남성이 똑같은 위치에서 하는 게임에서는 배려보다는 독려를 통해 여성의 실력이 남성에 준하게 만들어야한다고 봅니다. (가장 많이 비교되는 바둑을 보시면 알겠지만 배려를 위해서 여성리그가 따로 열립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만의 룰로써 하게 되구요...즉 배려란 리그를 나누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 공통리그에서 여성은 선발진에 무조건 뽑아줘야한다는게 아닙니다 )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