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2_JiHwan
작성일 2011-05-18 06:03:32 KST 조회 3,425
제목
Global Starcraft2 League라는 무게.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224012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224111


먼저 위 두 링크글이 있는 이유는 이런 화두를 던지고 싶어서입니다.


"현재의 GSL은 과연 Global Leaue인가?"


저는 이에 대한 대답을 쉽게 내릴 수 없습니다.


아니라고 말하기도 맞다고 말하기도 매우 애매합니다.


이미 외국에서는 슈퍼토너먼트의 참여 외국 선수가 현재 한국 체류중인 조나단 월시와 크리스 로렌저뿐임을 매우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사실 위의 첫 링크글을 처음으로 작성한것도 저입니다만 링크한 스레드의 원래 의도는 그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많은 외국 유저들이 현재 GSL은 외국인으로서 참여하기에는 너무나 어려우며 많은 것을 포기하고 한국에 가서 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외국의 게이머들은 생업이 게이머가 아닌 각자의 학교 직장 등을 유지하며 게임으로 다른 수익을 얻는 반면 한국의 게이머들은 모든것을 게임에 건 선수들이 많기에 생기는 차이도 클 것입니다. 


외국 유저들은 문화의 차이와 비행기 티켓과 체제비의 부담, 그리고 연습상대를 구하기 힘든 점을 들어 한국에 가기가 힘든 점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2번째 링크에서는 GSTL 관련해서 Fnatic팀이 초청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적혀있습니다. 많은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지만 아직 결과물은 딱히 보이지 않습니다.


팀리그의 확대는 필시 풀리그 혹은 좀 더 긴 형태의 더블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와 같은 방법으로 가능할 것입니다. 그랬을 경우 외국팀의 참전은 어떤 방식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제게 떠오르는 생각은 많이 없습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외국인의 참여를 늘려야만 Global이라는 모토가 확실해진다는 것은 명확합니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분이 생각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2_JiHwan (2011-05-18 06:08:06 KST)
0↑ ↓0
센스 이미지
참고로 두번째 글에서는 해결책을 코드 A를 온라인 대회화하는 것과 외국 게이머들을 코드 S로 직접 초빙하는 두가지 방법으로 제시했습니다.
아이콘 템러바벡 (2011-05-18 06:31:16 KST)
0↑ ↓0
센스 이미지
조금 다른 방향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국내 게이머들은 게임에 인생을 건다는 이 부분이

전 개인적으로 정말 슬픕니다.

프로게이머란 직업의 한계 그리고 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모든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이거죠...... 인생을 게임에 건다는거

외국 게이머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우리처럼 다른 직업 아에 없고 게임만 하는 게이머란건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어쩌면 그렇기에 우리 입장에서 보기엔 프로게이머라는 타이틀을 달지는 못할지라도

그들이 가진 멋진 플레이나 인기는 우리나라 게이머들 못지않다는 겁니다.

최근에 나진산업에서 철권프로게이머 후원을 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있었는데

이 나진엠파이어팀에 소속된 프로게이머들은

전부 다 메인직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부업의 일종으로 게임을 하시는 분들이셨습니다.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서

이 부분은 좀 바뀌는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인터테인먼트 산업이 가진 전반적인 문제이기도 하지만

문화컨텐츠에 인생을 건다는거 자체가 역시 좀 무리수가 많이 따른다고 생각합니다.


프로게이머도 좀 안정적인 하나의 직업으로서 자리잡히기를 기원하며




새벽반에서 의견 제시한대로 전 온라인형식을 외국게이머들 한정으로 해줬으면 합니다.

어차피 진정한 인기를 끌고 싶다면 한국에 와서 오프라인 무대에 서려고 하겠죠.

무조건적으로 온라인만을 하기보단 오프라인 무대를 장려하게끔해서

참여의지가 있는 분들이 참여하게끔 해야한다고 봅니다.
아이콘 TIA포로로카성인 (2011-05-18 08:05: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외국인 선수들의 참여가 늘어나려면 둘 중에 하나일 것 같네요 외국인 선수들이 스스로 gsl우승을 노려볼 만큼 고수가 되거나 곰tv에서 외국인 선수 참가에 대한 지원을 늘리거나(물론 돈이 들겟죠)

전 온라인으로 경기를 치루는 것에 아예 부정적인데 이유는
첫 쨰 현장감이 떨어지고

둘 째로 문제 상황 해결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단 네트워크 등 오류가 날 확률은 경기장보다 비교적 높을 뿐더러 문제가 생겼을 때 조율에 시간이 걸릴 수 있고

극단적인 예 이지만 약간 불리할 때 콘센트 뽑아버리고 오 쉿 배틀넷 에러 이러면 어떻게 합니까 집집마다 감시맨들 보낼 수도 없고
아이콘 나이트스카이 (2011-05-18 08:18:00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는 제한적 온라인대회 라는 것을 생각해 봤습니다.
외국인들에 한하여 제한적 온라인 대회를 하는 것이죠.
예를들어 해외의 어느 특정 장소에서만 온라인 으로 대회를 진행 할 수 있도록 하면
귀맵 등의 부정행위는 막을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4강 이후부터는 그 사람들을 한국으로 초빙하는 것이죠..
물론 위에 님 말씀 처럼 현장감이 떨어지고 네트워크상 문제도 있지만 주는 것이 있는만큼 얻을수 있는 것은 더욱 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당..
ZZooN (2011-05-18 08:56: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템러바벡
"외국 게이머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우리처럼 다른 직업 아에 없고 게임만 하는 게이머란건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누가 그럽디까?
프로게이머라는 단어 자체도 신주영씨가 처음 쓴 게 아님요.
아이콘 천제누구 (2011-05-18 19:09:28 KST)
0↑ ↓0
센스 이미지
GSL측에서 해외랑 많이 연계하려고 하니 조금 두고 봐야될듯 0.0
아이콘 시크남 (2011-05-18 23:41:18 KST)
0↑ ↓0
센스 이미지
Global Leaue -> Global League

[영타 → 한타 자동 변환]
아이콘 Maper (2011-05-19 11:46:48 KST)
0↑ ↓0
센스 이미지
지역마다 리그를 따로만들어 개최하고
1년에 한번씩 GSL하면 어떨까요
아이콘 ops2233 (2011-05-19 12:23: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외국 게이머들은 기본적으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우리처럼 다른 직업 아에 없고 게임만 하는 게이머란건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

이거 사실인가요? 그럼 외국엔 프로게이머란 직업 자체가 아예 없나요?
아이콘 LetsGoGo (2011-05-19 13:1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프로게이머란게 원래 외국에서 나온거고 대한민국 첫 프로게이머는 신주영씨죠..(미국의 프로 게임리그인 PGL(Pro Gamer League)에 신주영씨가 등록되면서...... 그리고 다음해에 KPGL이 생겼죠) 해외에서도 상위권 게이머(입상하는)는 다 밥만 먹고 게임 할거 같은데..... 헉이나 진로만 봐도 프로게이머죠.. 그밖에 미국, 유럽 오가며 게임 하는 사람들도 많을텐데 메인 직장이 있다면 쉽지 않을거 같네요.. 온라인 대회라도 15시간 연습 할 수 있는 사람과 직장다니며 5시간 연습할 수 있는 사람은 차이가 클거 같아요
아이콘 AUTOEXEC.BAT (2011-05-19 17:37:59 KST)
0↑ ↓0
센스 이미지
아 맞네 PGL KPGL 생각나네 -_-;
애닐 (2011-05-19 18:21: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우리나라가 스타가 유난히 흥행했고 그에따라서 프로구단이 생기면서 이렇게 외국과는 다르게 하나의 직업이 생겨진케이스(스폰서가 있기에 그에따른 봉급또한 많이 받고있죠.)지 철권이나 스포보세요;;;;; 프로게이머들이 목숨을 걸고 직업으로 삼고있는가,,,,,,,스타2는 아직 흥행이 덜됐기에 스폰도 없어서 상금으로 먹고사는상황이지만 스1처럼 되는건 시간문제라고 봅니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