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6 / 24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이콘 Baby-J
작성일 2011-01-28 08:48:59 KST 조회 1,924
제목
스타2 리그의 케이블 진출 그 후는?

블리자드가 KeSPA 랑 협상을 끝내던, 아니면 따로 방송국이랑 협상을 하던 스타2 리그 의 TV 중계가 가능해졌다는 전제하에 생각해 본 겁니다.

 

일단 스타2의 흥행과 그 리그의 흥행을 위해선 케이블 방송국으로의 진출은 '무조건','반드시' 해야하는 숙제같은 거라고 봅니다. (모든 분들이 동감하실 듯)

첫번째도 TV, 두번째도 TV, 꿈에도 TV로의 진출을 해야만이 숨통이라도 틀 수 있다고나 해야할까요..

 

 

그렇다면 케이블 진출 그 후에는??

(우선 온게임넷으로 진출했다는 가정하에)

 

 

일단 스타2 리그가 온게임넷 (케이블)에서 중계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단순하게 GSL을 TV로도 중계하는 방식

곰플레이어로 중계되는 GSL을 동시에 TV를 통해서 온게임넷에서도 중계하는 방식

 

이 방식으로 지난 8월쯤이였나요, 온게임넷이 GSL을 중계하고 싶다고 편성표에 넣었었던 적이 있었죠 (결국 불발됐지만)

 

이 방식으로도 흥행에는 조금 무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왜냐하면, GSL 리그일정 자체가 엄청 빡빡하고, 여러분도 느끼시겠지만, 리그의 전체적인 퀄리티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식이라면 TV를 통해 중계를 해서 좀 더 많은 수의 사람이 시청을 하게되고, 스타2의 대중적인 노출이 그만큼 높아지기는 하겠지만, 결국 인터넷만으로 방송할때랑 비교해서 그 시청수가 조금 높아진 것일뿐이지 결국 스타리그 만큼의 흥행은 힘들거라고 봅니다.

 

그냥 고화질에 안끊기는 GSL을 TV로 보는 것일 뿐이니깐요.

 

그리고

스2가 케이블에 진출하게 된다고 해도 그래도 당분간은 영향력이 스1 > 스2 이기 때문에

주 5일제의 프로리그의 일정이 변하지 않는 이상, 프로리그 및 다른 스1리그들과 겹치는 시간대에는 GSL Live는 곰플레이어로 봐야하고, 심야시간대에나 재방송되겠죠.

 

 

2. GSL을 변화시켜서 중계하는 방식

리그 일정 및 중계시간표 조정등을 통해서 좀 더 온게임넷에 맞게 GSL을 변화시켜서 중계하는 방식

 

오프라인 경기장도 춥고 허접한 서울 영상 고등학교였나요? (목동 스튜디오)를 벗어나 용산 이스포츠 스타디움을 사용하고,

리그 오프닝 및 음악 같은 것들도 온게임넷 OAP팀에서 꾸며주고...

리그 일정 및 중계시간표 등을 다른 리그들과 최대한 겹치지 않게끔 조정을 해서 중계하는 방식인데...

(쉽게 말하자면 온게임넷의 노하우로 GSL의 질을 한층 높여주는 방식이라고 할까...)

 

아무래도 이 방식은 실현가능성이 제로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곰티비 자존심 문제도 있겠고, 온게임넷에서 남의 리그를 위해 저런 수고까지 할까 의문이기도하고요..

 

이미 곰티비에서 2011년도 1년치 GSL 및 스타2 메이저 대회 일정들을 이미 거의 다 짜놓았기 때문입니다.

(고로 TV중계가 된다하더라도 빡빡한 중계일정으로 다른 리그와 시간대가 겹치는 꽤 많은 수의 경기들은 miss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온게임넷에서 따로 스타2 리그를 만드는 방식

저는 이 방식이 협상타결후에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방식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10년동안 쌓아올린 노하우와 앞선 기술, 그리고 기존의 '스타리그'의 브랜드를 이용해서 스타2 리그를 새로 만든다면 그동안 GSL이 발전한 것보다 더 빠르게 흥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온게임넷 OAP팀은 리그를 꾸며주고, 리그의 경기외적인 질을 높여주는데는 일가견이 있죠. (로고라던가, 음악, 리그 오프닝, 예고 및 홍보, 전체적인 리그컨셉 등을 담당하는 팀이죠)

 

그 외에 전문인력들이 더 많이 배치되어 있기도 하고, (경력이 많은 전문 옵저버라던지.. 전문 맵퍼 등..)

 

그리고 사전에 GSL의 장단점을 파악했다면 GSL에 비해 좀 더 쉽고 익숙한 리그방식과

널널한 리그일정 등의 장점이 있겠네요..

 

그리고 사전기획부터 다른 리그들과의 일정을 생각해서 안정적인 시간대를 잡아놓고 중계될 수 있다는 점도 있겠고요...

 

써놓고 보니 횡설수설한 부분이 많네요. 다른 XPer 분들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예의 (2011-01-28 09:37: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 현재 엠겜+온겜을 합쳐서
리그가 서너개 되는거 같던디
스타2 리그는 따로나올듯
스타2 리그가 흥하다보면
또 스타2 예능방송이 나올듯요 (예 : @플레이, 스타무한도전, 매너파일런 등등..)
아이콘 적절한_사막여우 (2011-01-28 09:59:07 KST)
0↑ ↓0
센스 이미지
2번처럼 하게되려면 시간이 좀 걸릴겁니다.
GSL방송으로 온게임넷도 "어? 이거 꽤 인기 많은데? 괜찮네?" 이런 생각이 들어야 투자를 하지않겠습니까.
일단 스타2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도 많을거고,온게임넷에 GSL영상을 보내 온게임넷에서 그대로 방송하되 여러 자막으로 유닛설명이라던지 건물설명이라던지,세심한 부분을 보충해서 사람들과 가깝게 다가가는게 좋을거같네요,스타2가 출시된건 사람들이 많이 알지만 기존과 달라진 부분을 모르면 GSL을 봐도 뭐가뭔지 모르잖습니까.
NoWHere (2011-01-28 14:39: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3을 동시할 가능성이 있죠. GSL을 먹은 다음 OSL을 같이 개최하겠죠.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