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코너링
작성일 2019-06-10 16:53:37 KST 조회 1,595
제목
15개 사령관별로 보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약점

제라툴 스텟먼을 제외하고 쓰겠습니다.

 

레이너

높은 체제 변환 자유도를 가지고 있지만 운영이 비직관적이며 인프라 구축 난이도가 높습니다.

영웅이 없는 사령관이기 때문에 인프라 구축에 관한 버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번에도 말했듯이 캠페인처럼 사령부를 궤도사령부로 아예 대체했으면 좋겠습니다.

 

케리건

패널도 없고 최적화도 느려서 걍력한 영웅에 초반을 의존하는 사령관입니다.

그런데 케리건은 4분이 지나야 나오고 부활시간도 60초로 깁니다.

특정 맵이나 돌연변이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는 약점입니다.

처음으로 나오는 시기(3분 정도)와 부활시간을 줄였으면 합니다.

덤으로 강력한 대공전문유닛이 없다는 것도 고질적인 약점입니다.

 

아르타니스

아르타니스의 경우엔 유닛간 밸런스 외에는 더 건드릴 요소가 없다고 봅니다.

영웅이 없지만 강력한 패시브와 패널, 공짜인구수를 가지고 있어서 운영난이도가 쉽고 안정적이거든요.

타사령관의 궁합이 굉장히 좋은지라 더 세게 만들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자가라

초반부스팅이 굉장히 강력하고 마힘으로 얻어지는 패시브도 강력합니다.

영웅은 의외로 준수하며 패널이 없지만 유닛의 가성비가 워낙에 좋아서 충분히 보완할 수 있습니다.

유일하게 아직도 아쉬운 점은 점막입니다.

 

스완

스완은 초반부스팅이 구린 것외에는 의외로 갖출건 다 갖추고 있는 사령관입니다.

인구수에 관련된 보너스가 전무하고 채취기가 각각 100원, 천공기업에 500/500원이 소모되어서 마힘으로 줄여줘야 한다는 점이 치명적인 약점입니다.

유닛 쪽으로도 소소한 개선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결정적인 약점은 아닙니다.

 

보라준

초중반 대공이 돌변에서는 여전히 약점이긴 합니다만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패널이 워낙에 강력하고 초반의 취약점도 제법 보완된 상태라 고난이도 돌변에서 많이 쓰입니다.

그런데 다른건 몰라도 천상의 쟁탈전 맵에서 시간정지를 썼을때 걸리는 버그는 고쳐줬으면 합니다.

 

카락스

아군 보조능력이 뛰어나고 수비적인 운용을 할때 좋지만 유닛을 이용한 공격적인 운영이 어렵습니다.

전천후 지대공 유닛이 없고 생산 인프라, 업그레이드, 유닛 가격 모두 비싸기 때문입니다.

이건 마스터 힘을 조정해서 버프를 줘야 한다고 생각힙나다.

(특히 마힘 2는 정말 부실한데 이거 화끈하게 개편했으면 좋겠습니다)

지대공은 불멸자의 그림자포를 개편하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바투르

아바투르는 생체물질을 모으지 못하면 약해진다는 약점이 있지만 이를 실력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수호군주와 포식귀가 왜 인구수 2밖에 안먹는지 의문이긴 합니다만 이건 약점과는 상관없는 내용이니 넘어가겠습니다.

 

노바

노바는 병력을 잃으면 복구하기 힘든 점이 약점인데 병력 손실없이 적을 제거하거나 병력을 보호할 수단이 많습니다.

패치가 시급할 정도의 약점은 없다고 보여집니다.

 

알라라크

광신자가 일회용인거 치고는 비싼 편이고 로공유닛들은 아직도 성능이 부실합니다.

무엇보다도 번개쇄도, 초강화, 군주의 분노같이 부실한 업그레이드 특성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알라라크가 광신자 이외의 유닛들도 잡아먹는다는 점도 약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알라라크가 망하면 복구하기 힘들게 만드니까요.

 

데하카

이번 패치로 거의 무결점이 되었습니다.

초중반 탐지능력이 부실한게 유일한 약점인데 이정도 약점도 없으면...

 

피닉스

패널이 없고 영웅이 가진 궁극기도 없기 때문에 전투복 폼전환에 많은 것을 의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오프라인 상태에서만 회복이 되는 전투복의 회복이 느리다는 점이 약점입니다.

파괴되었을때는 3분을 꼬박 기다려야 쓸 수 있고 그 사이에 다른 전투복도 파괴되기 쉽습니다.

폼전환에 들어가는 재사용 대기시간 15초도 약점이 되는 요소입니다.

유닛들의 팔이 대체로 짧은 편이라 갉아먹기가 잘 안된다는 점도 약점입니다.

 

스투코프

영웅이 없지만 고성능 패널로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벙커가 인구수를 6이나 먹는건 지나친 처사입니다.(차라리 갯수 제한을 넣는게 낫습니다)

감염된 구조물은 업그레이드하는데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갑니다.

메카닉 공속은 일부 유닛에게 적용되지 않으며 메카닉 유닛의 체력회복수단이 제한적입니다.

스투코프의 메카닉은 감염체를 효과적으로 보조하는데 특화되어 있는데 업그레이드에 관련된 보너스가 없다는 것도 단점입니다.

 

한과 호너

갈레온의 생존성이 떨어지고 가격이 의외로 비싸며 유닛 생산력이 의외로 낮습니다.

호너유닛은 성능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납치에 끌려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쓸만한 방어건물이 없기 때문에 땅거미지뢰를 방어용으로 대량 운용할 수 있도록 가스 가격과 인구수를 내렸으면 합니다.

 

타이커스

공세처리는 탑급이지만 구조물 및 오브젝트 철거력은 의외로 떨어집니다.

무법자간의 밸런스에 대해서는 글을 쓴적이 있습니다.

https://www.playxp.com/sc2/co_op/view.php?article_id=5650064&search=1&search_pos=&q=#!4 

그밖에는 타이커스의 포탑을 강화해서 빈집털이 당할 가능성을 내리고 타이커스의 의료선 마힘을 소폭 너프했으면 합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일페이트 (2019-06-10 17:00:53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감합니다
만루홈런 (2019-06-10 21:25:35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체적으로는 동의하는데 케리건은 지금도 충분하다 봅니다. 굳이 조정이 필요하다면 뮤탈 정도로 보고요. 장단점이 확실한 사령관이라 단점을 줄여버리면 OP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코너링 (2019-06-10 21:29: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만루홈런//케리건 스폰타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코랄 균열 첫공세, 공허균열 등의 타이밍을 늦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식으로 간접버프를 해도 되는 문제입니다.
만루홈런 (2019-06-10 21:41: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코너링//코균의 경우 케리건보다 극초반이 부실한 사령관은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동맹이라면 막아 주는게 맞죠. 동맹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하면 손해를 봐가면서 직접 막아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이게 게임이 터질 정도로 극심한 손해는 아니고요. 문제는 공허 균열인데 솔직히 균열은 너프가 필요합니다. 시너지도 더럽게 좋은데 자체 위력도 너무 막강해요.
코너링 (2019-06-10 21:59:5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코균의 빠른 첫 공세는 코균이 가장 쉬웠던 시절에 이를 상향하기 위한 조치였고 지금은 과거의 유물에 불과합니다.
오랜만에 케리건하면 가끔씩 까먹다가 초반에 큰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올때메로나 (2019-06-10 23:37:0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도 내용에 공감합니다
추가적으로 보라준 암흑 집정관 정신제어기능은 제라툴 세르다스나 동력기 교화처럼 일시적으로 지배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인구수도 잡아먹고 업글 영향도 못받으니 대형유닛 저격용을 제외하곤 쓰질 않네요
그리고 저그 사령관은 아직 자동추출장이 없네요
메서스 (2019-06-11 14:20:10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다고 다 강하게 상향먹으면 걍 혼자노는 협동전이 됨
같이 서로보완해준다는 컨셉인데 그럼 제라툴급 개노잼이 됨
코너링 (2019-06-11 15:56:0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매서스//사령관별 성능편차가 명확하게 나니까 혼자 노는 경우가 많은거죠.
제라툴이 개노잼이다 개노잼이다 하는데 어려운 돌변에서는 다들 제라툴뽑기 바쁩니다.
Nakedking (2019-06-11 17:38:03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코너링//편차가 심각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나머지 사령관의 단점을 보완해서 강력한 사령관들과 동일선상에 놓는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혼자놀고 다 쓸어담는데는 변함이 없으니 말이죠. 기존 강력한 사령관들의 적폐적인 능력, 기술 등을 너프해 하향 평준화로 협동 컨셉에 맞게끔 조정하는것이 제일 좋다고 봅니다. 그리고 몇몇 돌변은 패치해줘야 되는게 말씀하신것처럼 맞는거 같습니다. 너무 어려운 돌변은 사령관 편차를 심하게 하는 원흉중 하나니깐요.
코너링 (2019-06-11 17:40:0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국 둘중 하나입니다.

1. 사기적인 위력의 사령관과 돌변을 동시에 너프
2. 기존의 사령관의 약점 보완 버프.

케빈동 성향상 2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라툴 제외하고 봐도 요즘 뚜렷하게 강한 사령관들 제법있습니다.
코너링 (2019-06-11 17:42:14 KST)
0↑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가 보기에 패치가 추가로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령관은
레이너
케리건
카락스
스완
알라라크
피닉스
한과 호너
타이커스
정도입니다.
eagleOwl (2019-06-11 23:50:45 KST)
1↑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초반에 영웅이 취약해서 빠르게 성장이 필요한 데하카, 가용 유닛이 애초에 영웅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타이커스 외엔 전원 영웅 스폰이 4분입니다. 초반에 약하다고 케리건만 빠르게 내보낼 이유는 없죠. 부활 시간도 별다른 이유없이 줄여줄 필요도 없고요. 케리건이 죽은 상태라면 힘이 크게 빠진다는건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안죽일 방법을 궁리하는게 먼저죠.

보조적인 능력이 월등히 뛰어난 카락스의 공격적인 운영을 버프할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버퍼한테 딜링 능력도 줄 필요는 없겠죠. 비슷한 이유로 극강의 딜링 능력을 갖춘 한과 호너에게 탱킹을 보강할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올라운더 사령관이라면 지금도 존재하니까요. 자기 지뢰를 잘만 쓰면 공세 처리 정도는 사실 별로 어렵지도 않습니다. 땅거미 지뢰 성능에 가격을 내리기도 애매한 것도 사실이고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