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진들도 유지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번에 상향을 하긴합니다만
제 생각은 조금 다른게 지금도 피닉스의 유지력은 다른 프로토스 사령관들이랑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케리건이나 한호너 같은 사령관에 비하면 훨씬 나은 편이란 겁니다.
물론 유지력을 올리기 위한 상향이 자연스럽게 약한 용사, 부담되는 건물가격, 약간 아쉬운 보전기의 성능 같은 명확한 문제점들을 건드려주기 때문에 근본적인 생각은 다르더라도 상향 자체는 굉장히 적절하다고 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실제로 적절한 플레이를 하는 가정하에 상향이 되지않은 현재의 용사빌드로도 공세 상대론 손실이 미미하거나 없는 수준이고 패널이 없어 적진 진입에는 좀 애를 먹지만 약간의 사도 보충만으로 전선을 유지하며 철거가 가능합니다.
용사도 그다지 강하지않고 유닛들도 다 래더스펙인데 이게 왜 가능하냐면 데스볼을 적 유닛들에 상성상 우위인 유닛들로 채워넣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래더에서도 자신의 유닛조합에 상성상 우위인 조합을 상대가 가져왔을때 아무런 대처를 하지않으면 순식간에 집니다. 스타1부터 이어져온 장르 자체의 특징이죠.
협동전에선 적이 플레이어의 조합에 따라 대처를 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이 장점을 고스란히 게임 끝날때까지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닉스의 유닛들이 단순히 데하카 뮤탈이나 대모님 암기처럼 대놓고 강한 유닛이 아니더라도 게임을 진행하는데 충분할만한 효율을 보여줍니다. 그 효율이란것엔 당연히 화력과 더불어 유지력도 포함이 되고요.
그리고 이런 글쓰면 아어는 땡사도건 땡찰기건 뭘해도 깨니까 돌변이 문제다 같은 얘기가 또 나올텐데
피닉스보다도 유지력이 좋지않은 케리건이나 한호너도 강력한 궁극기들이 있어 돌변에서 기용가치가 충분한 사령관들입니다.
피닉스도 이런 식의 유틸능력을 보충하는 식으로 얘기가 되어야지 현재는 그렇게까지 심각하지 않은 예전의 문제에만 매달리는건 납득하기 힘들었습니다. 당장 중재자 은폐장에 회복기능 넣는다고 해서 구파있는 케리건보다 큰 가치가 생길까요? 전 아니라고 봅니다.
피닉스가 돌변을 플레이 하는데 문제가 있는건 분명하지만 유지력은 그렇게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단게 제 생각입니다.
일단 상향안이 확실히 공개된 만큼 이런 얘기를 하는거도 의미가 없는듯하니 이후엔 상향까지 계속 기다려봐야겠습니다.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