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543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아지르
작성일 2018-02-06 00:16:25 KST 조회 1,385
제목
피닉스 마스터 힘2 다음패치 적용 실험 및 평가(중요!)

 ...이거 빨리 투자를 하고 다음패치 적용될떄까지 냅두고 싶은데, 여기에도 마스터 힘2 포인트 배분에 있어서 " 상향되는 체력/방어력도 나쁘지 않고, 공속도 나쁘지 않고..."라는 말이 나와서 도대체 뭐에 투자하는게 좋을까라는 답답한 마음에, 어디 다른 사람이 뭐 실험한거 있나하고 봤는데...

 

나이트메어4님? 그분이 한번 여기에 칼달리스 가지고 1대1 실험한 글이 있더라고요. 한번 흥미롭게 봤는데, 지금패치에서 공격속도 30포인트 vs 체력/방어력 30포인트 투자한 두 칼달리스를 서로 결투해서 실험한 결과가 있었는데, 아슬하게 체력/방어력 30포인트 칼달리스가 이긴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협동전에서는 다수의 병력들과 싸우는 거라서 좋은 실험인건 맞지만 뭔가 아쉽다고 생각했는데요, 그분이 실험한 맵들을 제가 한번 알아봐서 하기로 했네요.

 

뭐 롤에서도 연습 모드라고 해서 영웅가지고 혼자서 연습하는 거랑 비슷한 거라서 대충은 감은 알것 같더라고요...

 

일단 실험 전제는 이렇습니다; '과거의 사원'이라는 맵에 실험했으며, 첫 공세가 저글링만 (세보니 24마리더라고요.) 올 경우에 실행했습니다. 칼달리스 같은 경우는 '강화된 검' (이게 맞는지 잘 모르겠네요.) 업그레이드를 해주고, 보복 프로토콜은 뺴고 그 다음에 저글링 24마리와 맞붙었습니다.

 

결과는....

 

공격속도 30 포인트; 칼달리스가 저글링 24마리를 완전 처치하는데 걸리는 시간: 8초, 남은 피통: 0/312 -> 총 피통에서 남아있는 피통 비율: 52%

 

(다음패치 기준) 보호막/체력 30 포인트; 칼달리스가 저글링 24마리를 완전 처치하는데 걸리는 시간; 9.5초, 남은 피통 0/564 -> 총 피통에서 남아있는 피통 비율: 60%

 

 

 

그리고 1대1도 한번 해봤는데요... 보/체 30포인트 칼달리스가 0/191 남기고 이기네요;;;;

 

 

 

 

 

 

여기에서 저는 하나의 결론을 얻었습니다... 보호막/체력이 좋습니다. 1대1에 물론이고 다수의 적과 상대할떄도 보/체가 비록 처치하는 시간이 아주 조금 많지만, 그런데도 불구하고 더 많이 남아있는 체력을 보면 이득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물론 상향되는 보복 프로토콜도 고려를 해봐야하지만, 수치가 정확히 2배 올라가기 떄문에 수치변동도 평행하게 이동할 것으로 보이고, 애초에 이 실험은 보복 프로토콜을 제외하고 해서 일반 상황에서 이정도라면 보호막/체력이 좋다고 말할 수 있네요.

 

 

상향되는 전술 데이터망으로 이득을 보는 유닛들 (모든 유닛과 용사들)+상향되는 체/보 마스터 힘으로 이득을 보는 용사 (6용사)+용사 자체 스펙 향상++일부 유닛 공격력 및 공격 사거리 증가+보전기 피해감소량 향샹 >>>> 상향되는 보복 프로토콜로 이득을 보는 유닛 (오직 칼달리스와 군단병)+ 용사 공격속도 향상 (6용사)

 

저한테는 오히려 체/방을 올려서 이득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피닉스르 할 것 같네요. 물론 포인트 투자는 여러분들의 취향입니다. ^^

 

 

아직 협동전에 대해서 배우고 있는 유저인지라, 오류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롤에서 영웅실험을 한 경험을 활용해서 최대한 정교하게 실험을 했습니다.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PS: 휴, 이제 저는 체/보에 다 투자를 하고 보라준에 열중할 수 있겠네요.

 

PS2: 보라준이 너무 좋아서 아예 보라준을 주 사령관으로 삼을까 합니다 ^^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닉스파이스 (2018-02-06 00:32:03 KST)
2↑ ↓1
센스 이미지
협동전이 소수유닛 파이트 하는 플레이면 몰라 결국 유닛 쌓고 싸우는 판이 되는건데
체력버프 효과보는건 초반 칼달리스 말곤 없습니다. 어차피 몸빵은 칼달리스랑 군단병만 하니까요. 하지만 공속을 찍으면 칼달리스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용사도 효과를 보니까 범용적으로도 중후반으로 갈수록 공속이 더 좋죠. 탱킹도 후반갈수록은 공속이 더 나을겁니다. 이트리는 내가 체력이 많아 몸빵을 한다기보단 내가 맞기 전에 적을 죽여버려서 내가 맞을일이 없게 만들어 덜맞는 탱커로 만들게 되니까요,
아마 체력용은 6용사가 아니라 관문트리 + 스카웃 중심일때 함 써보는 트리일것 같습니다ㅣ.
아이콘 아지르 (2018-02-06 00:42:38 KST)
2↑ ↓1
센스 이미지
"내가 체력이 많아 몸빵을 한다기보단 내가 맞기 전에 적을 죽여버려서 내가 맞을일이 없게 만들어 덜맞는 탱커로 만들게 되니까요,"

안그래도 저도 이 생각을 안해본건 아닙니다. 롤에서도 이게 적용이 되거든요. 그런데 남아있는 체력의 비율을 보세요. 체/보가 더 8% 많습니다. 이 8%가 말이 8%지, 남아있는 실제 체력 수치를 보면 많은 수치입니다. 그리고 교전을 하게 되면 스노우볼링이 되어서 무시 못할 수치가 나오죠.

다음패치가 되면 " 내가 맞기 전에 적을 죽여버려서 내가 맞을일이 없게 만들어 덜맞는 탱커"가 좋아보여서 공속투자라는 말은 이제 손해가 됩니다.
슈팅매냐 (2018-02-06 00:50:13 KST)
2↑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생각보다 관문유닛과 모조의외엔 죽을일이 없는..
아이콘 천사사냥꾼 (2018-02-06 05:33:27 KST)
3↑ ↓1
센스 이미지
저글링 상대로 실험을 했다고 하니 최소한의 설득력은 있네요
저번에 칼달리스 대 칼달리스로 붙인 그 실험은 머리 나쁘다고 광고하는거같아서 보기싫었는데
아이콘 천사사냥꾼 (2018-02-06 05:35:14 KST)
1↑ ↓1
센스 이미지
지나갔으니 얘기하는거지만 그때 그건 거의 뭐
레이너 공3업 해병이랑 방3업 해병 붙이면 방3업이 체력증가때문에 이기니까 방업이 더중요하다는 수준의 논리였음
아이콘 차원노예 (2018-02-06 06:20:49 KST)
2↑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초에 지금도 피닉스를 운영하면서 보복 프로토콜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보복 프로토콜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은 적 공세가 지상 유닛 위주로 구성되어 칼달리스가 미쳐날뛸 상황이어야 가능하죠.

일단 전술 데이터망의 효과가 공속과 연결되는 용사만 칼달리스, 탈다린, 전쟁인도자, 클로라리온 넷입니다. 스노우볼이 어느정도 구른 이후로는 실질적으로 소모되는 용사는 칼달리스와 모조 정도이며, 다음 패치에서 정찰기 사업 상향으로 대공 사거리가 7로 증가한다면 모조의 소모는 더 줄어들 수 있습니다. 간간히 소모되는 칼달리스를 위해 군단병을 조금씩 소환하는데 필요한 광물 160은 그정도 되면 전혀 부담이 되지 않구요.

또 블리자드의 패치 방향은 보복 프로토콜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의도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왜 굳이 보복 프로토콜로 인한 효과의 성능을 강화하는 방식의 패치 노트를 내놓았겠습니까.
보복 프로토콜의 가장 큰 문제는, 실질적으로 보복 프로토콜이 작용하는 병종이 관문 유닛으로 제한됨으로서(저티어 유닛을 소모하며 고급 유닛을 온존하는 것은 모든 사령관 공통입니다) 혜택을 받는 용사가 극히 제한된다는 "설계상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협동전이라는 게임 특성상 탱보다는 딜이 중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1티어 소리를 듣는 사령관은 자신의 손해는 최소화하면서 적을 섬멸하는 선공권이 바탕이 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고, 상대적으로 비대칭인 적 공세에 대응하는 입장에서는 가급적 빠르게 적을 섬멸하는 것이 보다 중요합니다. 이것이 통용되지 않으면서 사령관이 강하려면 아바투르처럼 낮은 화력을 보완할 정도로 강력한 유지력과 군중 제어 능력이 필요한데, 피닉스는 오히려 유지력이 낮은 힘싸움형 사령관에 가깝죠.

제 의견은 단순히 용사 체력 및 보호막 마스터 힘이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 패치로 상향된다면 분명 초중반에 용사로 버티는 난이도를 많이 줄여줄 것입니다. 하지만 용사 공속에 투자해도 보전기의 보호장 상향으로 전반적인 유지력이 올라서 큰 지장이 없으며, 공속의 영향을 받는 탈다린과 전쟁인도자의 평타에 수반된 군중 제어가 안정성을 상당히 끌어올려줍니다.(전자는 유닛 모아주기, 후자는 광역 공이속감소 디버프)
즉, 용사 공속이 가져다줄 후반 포텐셜과 안정성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됩니다.

마지막으로 실험과 증명은 올바른 가설과 실험 조건이 성립할 때 이뤄지는 것입니다. 단순히 체력에 투자한 칼달리스가 저글링을 보다 잘 잡는다거나 칼달리스 사이의 1:1 일기토를 이긴다는 이유로 더 안정적이라는 것은 논리상 많이 부족합니다. 그런 자잘한 병력을 잡는 것은 피닉스의 전투복 운용을 통해 충분히 가능하며, 용사 체력과 공속 마힘의 효능은 다양한 빌드로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사람의 교차검증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갓과호너 (2018-02-06 07:07:48 KST)
1↑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차피 군단병이랑 사도,정찰기나 갈리고 법무관 잘 굴리면 군단병마저도 잘 안 죽습니다 애초에 쳐맞으면서 죽이거나 시원하게 맞딜 넣는 거 중 하난데요 패치후에도 공속이 이득입니다 본인만의 생각으로 단정짓지 마십쇼 제라툴도 이렇게 말했죠"예언을 단정지을 순 없다...."
Soul_Reaver (2018-02-06 08:57:13 KST)
1↑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국 피닉스의 조합과 아몬의 조합
대다수의 경우를 실험해보지 않는 이상
무엇이 좋다고 확신 못함
꼬맹이네 (2018-02-06 09:03:15 KST)
1↑ ↓1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차원노예님 설명이 기가막힘 예술
아이콘 아지르 (2018-02-06 09:07:06 KST)
1↑ ↓1
센스 이미지
소울리버님의 의견에 존중하겠습니다.

물론 차원노예님의 말씀에도 귀를 귀울여서 본문은 약간 수정하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이건 저의 궁금증을 플기 위한 실험이었으니까요.

포인트 투자에 대해서는 여러분들이 최적의 선택을 할거라고 믿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lolarion (2018-02-06 12:00:57 KST)
2↑ ↓1
센스 이미지
전제부터 잘못된 칼달리스vs칼달리스 실험은 진짜 가관이였음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