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823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갓라준갓락스
작성일 2017-09-06 20:04:04 KST 조회 591
제목
스완 괜찮은데 유지력은 딱히 좋다고 보긴 어려운듯

물론 과학선의 방어막 스킬과 힐이 유지력에 큰 도움을 주긴 하지만, 애초에 거기에 대해선 상위호환인 노바의 방어드론엔 당해낼 수가 없죠

값도 훨씬 싸고 방어막도 여러개 씌워주는데다가 자동시전이니..

 

제 뇌리엔 스완이 유지력이 좋다기 보단 센 화력과 긴 사거리로 적이 오기전에 갈아마신다는 느낌이 강한 사령관입니다

불꽃 베티같은 경우에도 카락스의 포탑에 비해서 근접유닛들을 오기전에 갈아마셔버린다는 느낌이 강하고, 발포빌리도 적을 갈아마시기 참 적합한 특수효과와 공격력을 가지고 있죠

공성전차로 탱케이드할때도 적의 사거리 안닿는 거리에서 안전하게 포격하는 형태로 쓰지

아무래도 유지력이 높다고 보긴 어렵죠

유지력 대신 그걸 손으로 메꿔야하는 다른 사령관보다는 어찌보면 구린 사령관이기도 하지만 전 딱히 구리다고는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irase (2017-09-06 20:07: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손으로 유지력을 메꿀수 있으니 유지력이 좋은거죠. 뭐 말장난이긴한데, 손이 좋아도 유지력이 만족할만큼 안나오는 피닉스보단 유지력이 좋다고봅니다.
마비농간 (2017-09-06 20:08:34 KST)
2↑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초에 적이 닿기 전에 증발함으로서 병력이 유지되는 것도 유지력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나이트메어4 (2017-09-06 20:13:3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렇죠...탱크 덕분에 유지력은 최곤데....왜 스완이 까이는지 모르겠네요. 초반 허약한 부분은 천공기로 지속적인 보조와 아래스로 다목적으로 쓸 수 있죠.
아이콘 천사사냥꾼 (2017-09-06 20:15:06 KST)
0↑ ↓0
센스 이미지
과학선 방어막도 자동시전 넣어주면 좋겠음
자동시전 인공지능은 노바꺼 그대로 쓰면 될테니
갓라준갓락스 (2017-09-06 20:1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런관점에선 스완이 유지력이 상위권 안에 드는 사령관이라고 생각합니다 피닉스는 특성이 보복 프로토콜에 달려있다하더라도 지나치게 갈리고 제 손으로서는 우모 이외에는 병력 유지가 어려운거같습니다
나이트메어4 (2017-09-06 20:16: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탱크아케이드가 안되서 정석의 탱크+골리앗은 안 쓰고, 화염기갑병 + 사이클론 + 망령 + 과학선 조합 갑니다. 물론 기동성 중심의 조합이지만, 컴트롤은 훨씬 편하기 때문에...
gegiral (2017-09-06 20:19: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도 아케이드는 별로 선호 안 해서
그냥 화기병 + 건설로봇 + 골리앗 + 탱크라는
오리지널 메카닉 조합을 더 선호함.
irase (2017-09-06 20:36: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굳이 유지력 비교를 하자면 케리건이 유지력이 좀 딸리는듯.
특히 적이 예언자스카이고, 케리건이 제대로 몸빵을 못섰거나 구속의 파동 쿨타임을 제대로 이용을 못했다면 피닉스급으로 갈려나감.
다만 칼같이 히드라 관리하고 케리건이 제대로 몸빵을 서고, 구속의 파동 타이밍이 정확하다면 케리건도 할만함.
다만 이건 탱케이드로 유지하는 스완이랑 크게 다를건 없다고 생각.
둘다 유저 실력으로 유지력을 증가시키는거니...
유지력이란게 의미가 적은 두사령관인 레이너와 자가라, 스투코프. 주요유닛만 보호하면 되는 알라라크랑 아르타니스도 제외하면 보라준 /데하카/ 아바투르/ 노바인데...
솔직히 얘네들은 유지력을 보조하는 특성이 너무 많아서 상대적으로 스완이 뒤쳐져보이긴함.
irase (2017-09-06 20:41: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굳이 또 비교해보자면 자가라는 자신 병력의 가성비가 아몬의 트리거병력의 가성비를 초과하지 못할경우에는 유지력 부족이 심각한 사태로 다가오고, 아르타니스는 폭풍함 불멸자 중심의 병력 구성이 아니면 유지력이 형편없음.
NewBlueRider (2017-09-06 20:55: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냥 로공 쓰는거 아니라면 폭풍함만 유지되면 광전사 용기병은 막 던져도 되는 거 아님?
gegiral (2017-09-06 20:57: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냥 광전사 용기병은 막 던지는 유닛 아님?
막 던지라고 신관에게는 동력장이 있는 거잖음?
irase (2017-09-06 21:02: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막던지는게 유지력이 좋다곤 안하죠. 그리고 고위기사, 파괴자, 집정관도 포함시켜서 한말이었습니다.
gegiral (2017-09-06 21:05: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신관은 고기 집정관은 봉인하는 유닛인
평가가 힘들고.

파괴자 굴릴 경우
질드라 수만 유지해도 일대를 갈아버립니다.
신관이 딴건 몰라도 유지력이 약하지는 않음.
gegiral (2017-09-06 21:07:4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질드라 수만 잘 유지해 준다는 가정시

파괴자 반줄 ~ 한줄만 유지하면.

파괴자가 폭탄 다 쓰기도 전에 웬만한 기지 하나가 지도에서 삭제되는데요.

신관이 은근 있을 건 다 있음.
뭔가 특출난게 없고.
재미도 없어서 외면받는 거죠
irase (2017-09-06 21:10: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괴자를 광부대피에서 써보세요.
유지력이 왜 안좋다고하는 아실겁니다.
심지어 광부대피에서는 불멸자도 유지력이 안좋은데..
사실 이건 광부대피 특수성때문에 그런것도 있기는 하지만, 지속적인 전투에서는 사거리 길고 튼튼한 폭풍함을 제외한 아르타니스 유닛들은 수호보호막의 약점을 여실히 드러내며 침몰하죠.
irase (2017-09-06 21:13: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파괴자는 대충 자가라의 맹독충이랑 비슷한 느낌의 유닛이라고 봅니다. 폭딜은 되지만 지속딜은 안되는 유닛이라 열차같은 고체력 오브젝트나 광부대피같은 지속전투 상황에서 유지력이 매우 형편없습니다.
gegiral (2017-09-06 21:17: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광부는 그냥 거르는 맵이라 몰겠고.
(어렵고 뭐고를 떠나 짜능나고 재미 없음.)
열차면 당연히 불멸자 섞어야죠.
gegiral (2017-09-06 21:18:3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파괴자는
신관에게 부족한 폭딜을 제공해 주는 유닛임.

지속딜로 떡장들 패잡는 데 전문가 용기병이 있는 데.

굳이 그게 단점이라고 말할만 한지는 몰겠구요.
gegiral (2017-09-06 21:22: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신관의 전투 방식이 파괴자 폭딜로 일대를 정리하고.

그 폭딜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떡장들을
용기병이 마무리하는 형식임.

그냥 그 사령관 특성상 파괴자가 잘 맞을 뿐임.
irase (2017-09-06 21:23: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일단 파괴자는 유닛특성상 맹독충같이 유지력을 논하기가 어렵다고 가정하고 넘어가죠.
다만 파괴자가 은근 단점이 많은 유닛이라.. 갑충탄 ai문제와 충전속도 문제때문에 화력낭비가 너무 심해서 다수 운용하기가 꺼려지는 유닛입니다.
제가 굳이 아르타니스를 짚은건 과거에 수보 너프 이전엔 모든 알타 테크가 다 사용되었다가 너프 이후 폭풍함을 제외하고 버려진것 때문에 그런거지 특별한 의도는 없습니다.
사실 알타 유지력은 폭풍함이 있기때문에 나쁘다곤 할수 없으나, 불멸자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닛이 모두 유지력이 형편없다고 말씀드린거 뿐이죠.
폭풍함을 배제한 빌드에선 이게 팩트 아닙니까?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