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824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gegiral
작성일 2017-09-06 16:36:17 KST 조회 803
제목
스완 개선안

1. 반응로 사령부

 

한 번에 건설로봇을 2기씩 생산합니다.

(그냥 미네랄 50에 일꾼 두마리가 인구수 1로 만들어지는 자가라 버전 건설로봇)

 

일단 반응로 사령부가 생기면

초반 최적화가 더 빨라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건설로봇 숫자 자체를 유지하는 데 큰 부담이 없어진다는 거죠.

 

그럼 사령부 2개 굴린다는 가정시 한 번에 4기씩 찍혀 나오는 건설로봇

 

이녀석들을 전방에서 전투공병처럼 막 굴리는 데 부담이 없어짐.

 

 

 

2. 메카닉 방어력 업글을 건설로봇이 받게 합니다.

 

물론 전투공병처럼 굴릴려면 방어력 업은 필요하니.

 

 

 

 

3. 건설 기계 생존 모듈(신규 업그레이드)

 

일단 공학연구소에서 업글하는 걸로 하죠.

 

건설로봇의 체력을 45증가시킵니다.

 

 

 

 

 

그냥 나사좀 빠진 화기병보다는

 

건설로봇의 생산성과 생존성을 강화해서

스완 병력 전열의 전방 탱커

그리고 전투 공병처럼 막 굴리는 유닛으로.....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gegiral (2017-09-06 16:37: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쉽게 말하자면.
그냥 딜은 안 되고 오로지 앞에서 탱힐만 하는
저글링처럼 건설로봇을 굴릴 수 있게 개선해 준다면.
스완이 가진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됨.
NewBlueRider (2017-09-06 17:01: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서로 수리신공에 과학선 힐받으면 ㅁㅊ개노답이네
gegiral (2017-09-06 17:05: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어차피 스완 유닛의 컨셉이
참전 사령관 없고
양산 가능한 노바죠.

유닛 소모를 지양하고
데스볼을 굴려야 하는 사령관이

최종 유닛인 과학선이 나오기 전까진
유닛 소모를 막아줄 수단이 없다는 거.
gegiral (2017-09-06 17:07: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소모전을 피해야 하는 사령관이
소모전을 반강제적으로 해야하는 것이
바로 스완의 결정적인 문제라는 겁니다.

건설로봇만 개선하면.

전열 앞에 서는 화기병이 단단해지고.
이는 탱커가 단단해지는 결과가 나오고.
이는 가격에 비해 맺집이 구리다는
스완 주력 병력의 생존선을 개선하게됩니다.
(골리앗과 탱크가 가격에 비해 맺집이 참 구리죠?)
irase (2017-09-06 17:07:4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유닛소모를 막아줄 수단은 많습니다. 탱케이드도 그렇고 마렙 불멸프로토콜도 그렇고. 골리앗이 가장 그런면에서는 불안한 유닛이지만 마치 분광기 아케이드하듯 헤라클레스 아케이드를 하면 그마저도 최소화 가능합니다.
gegiral (2017-09-06 17:08: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골리앗이 훅가는 사태만 막아준다면.
스완이 데스볼 굴리기가 용이해지고.

초중반 다 할 만큼은 하는 사령관이 된다는 거죠.
irase (2017-09-06 17:09: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초에 탱크 자체가 사거리와 화력으로 전면소모전이 안되게 막아주는 유닛인데요. 불멸프로토콜도 마렙 다투자하면 거의 공짜나 다름 없는 가격으로 부활이 됩니다.
gegiral (2017-09-06 17:10: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irase //

스완 병력의 주력은 아무래도 골리앗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레이너가 해병 굴리듯이 스완은 골리앗을 굴려야 하죠.

그런데 이 골리앗의 생존을
과학선이 나오기 전까지는 보장하기 함들죠

이게 스완이 초반에 만이 구리다고 평가받는 이유죠
gegiral (2017-09-06 17:12: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완은 골리앗을 중심으로
주변에 유닛이 추가되는 사령광인데

이 골리앗이 후반부에나 제대로 힘을 쓴다.

이게 스완의 본질적인 문제인 겁니다.

탱크 토르 생존성이요?

불멸까지 끼면 협전 전 사령관 중에서 상위급이죠.

이들의 생존이 구려서 지금까지 스완이 구리다고 평가받는 것은 아니잖아요
irase (2017-09-06 17:13:5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레이너가 해병굴리듯 골리앗을 굴린다구요? 해병이랑 골리앗은 엄연히 다른 유닛이고 사거리 차이도 나는데... 골리앗은 탱크 뒤에 숨어서 대공이나 하라그러고 탱크를 몸빵세우거나(불멸프로토콜 활용) 헤라클레스로 적 사거리 이상의 공간에서 싸우는게 좋다 봅니다.
irase (2017-09-06 17:15:1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하지만 골리앗이 주력이 되는 대 스카이 상대로는 어느정도 맞는 말씀이시긴합니다. 다만 대지상 상대 주력은 탱크여야 가장 효율이 나온다봅니다
gegiral (2017-09-06 17:16: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완의 문제는 피닉스의 문제와 거의 일치합니다.

기본적으로 물량을 갖춰야 하는 유닛이
제 역할을 못한다는 거.

피닉스는 군단병이 제 역할을 못 해주니

사도가 탱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딜러인 사도가 탱하니
물량이 쌓이는 게 늦고.

이게 연쇄적으로 피닉스가 구리게 된 이유죠.

스완은

절대로 소모성 유닛이 아니면서도 물량을 갖춰야 하는 골리앗의
생존이 초반에 보장이 안 되니.

중후반에나 자기 기지에서 기어나오는
민폐성 사령관이 되어버린거구요
gegiral (2017-09-06 17:17: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아몬의 군세가 스카이 병력을 안 끌고 나와주는 경우라면?

로공토스인데.
(있다 하더라도 좀 부실하죠?)

로공토스는 중장갑 메카닉의 천적인데요?
콩땡이 (2017-09-06 17:21: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완은 탱크부터 뽑지않나.. 보통 할때 4탱크정도 먼저 뽑고 골리앗쌓았는데
irase (2017-09-06 17:32:3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로공토스는 거신 말곤 사거리가 짧죠. 분열기는 길지만 분열기는 탱크포화를 견뎌낼정도로 튼튼하지 않구요. 문제는 불멸자인데 불멸차의 사거리와 이속으로는 탱케이드로 거리 벌리는 탱크를 따라잡지 못합니다.
irase (2017-09-06 17:33: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물론 거신은 뭐 .,. 아몬 바드라 제외하면 최대호구이니 말할필요가 없죠. 아몬 거신은 사거리업도 안하고 나오던가요?
슈팅매냐 (2017-09-06 18:13: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도 스완은즐겨합니다만..골리앗에 한계를 느낀후 헤클에 탱크랑 건설로봇 태우고 다니면서 포탑공사하네요;;
gegiral (2017-09-06 18:21: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완이나 피닉스나 유지력 하나가 구린 사령관임.
나머지야?

그 정도의 단점도 없는 사량관이 어딨음?
(천상계에서 노는 제독님이나 보라 누나는 제외하구요)

문제는 이 유지력 하나가 구려서

다른 모든 장점이 없는거나 마찬가지라는 거.
gegiral (2017-09-06 18:22: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피닉스고 스완이고

이 유지력에 대한 버프가 없는 이상.
다른 거 아무리 상향해 봤자.
그냥 공염불임.
gegiral (2017-09-06 18:2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3대 암울왕이었던
스완 피닉스 아바의 경우

스완 피닉스는 화력운 되는 데 유지력이 안 되어서 암울왕이고.

아바는 유지력은 되는 데 화력이 안 되어서 암울왕이었던 것임.
뭐 아바는 화력도 되니 암울왕에서 빠져나온거구요.

모든 장점을 갈아먹어버리는
결정적인 약점을 개선하지 않는 이상.
나머지는?
그냥 말 그대로

원인은 냅두고 증세만 완화하는 것에 불과한 것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