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전 게시판 beta
협동전 공략 beta
작성자 | 쓰까드빱 | ||
---|---|---|---|
작성일 | 2017-05-11 16:02:32 KST | 조회 | 681 |
제목 |
머리수와 란체스터의 법칙
|
밑에 글에서 공X2체X2하면 전투력이 4가아니란 글을 보고 씁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유닛들이 사거리가 닿고 스플래시가 없고
오버킬이 없다는 가정하에서 각 부대의 총 전투력은
유닛당전투력X유닛수^2이 됩니다.(오버킬을 포함하면 그냥 10000배쌘애랑 1대1 교환해도 할말없습니다 체력1 공격력 1만VS 체력 1만 공격력 1억하면 둘이 러브샷하고 죽습니다)
즉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해병2마리는 한명씩 오는 해병 4마리를 상대하고 죽습니다
함께 있는 해병2마리는 전투력이 1이 아니라 4인겁니다. 실제로도 공격력 2배 체력 2배이지요
체력 2배 공격력 2배한애가 왜 동시에 2마리를 상대하고 딸피로 살아남느냐
하면 둘이 스탯이 같기 때문입니다.(왜 딸피로 살아남냐면 전투가 어느정도 진행될시 상대방은 유닛이 사망해 전투력을 손실합니다)
그래서 군단병의 가치는 광전사의 3배 전투력이며(1:1로 연속교전시 광전사 3명따고 죽습니다) 광전사 1.7인분입니다(군단병10:광전사 17 하면 둘다 전멸합니다)
----
여기서 부터 란체스터의 법칙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1.무조건 1:1로 연속전투(근거리들이 너무 많아서 길막하면서 있을경우입니다)
이경우는 그냥 유닛당 전투력에 따릅니다.
2.모두가 사거리 닿는대로 다:다 전투(모두 사거리가 닿는 원거리 유닛일때 이야기입니다)
유닛당전투력에다가 유닛수 제곱을 곱합니다. 즉 유닛수가 깡패입니다.
그렇다면 원거리 VS근거리의 경우는 어떻게되느냐 하면
옛날 스1때 실험했던걸 이야기드리면
해병2명은 질럿 1개를 못이기지만 해병 200명은 거의 안죽고 질럿 100개를 이깁니다.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