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022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gomchy
작성일 2017-04-30 23:28:31 KST 조회 751
제목
각 맵마다 특징

맵이름 - 채감난이도

시간제한 : 말 그대로

첫 공새 속도 : 빠름 느림으로 구분(영웅 나오기 전과 나온 후로 구분)

적 공세 대응 : 태크선택이 자유롭냐 아니냐

진행방식 : 공격이냐 수비냐 아니면 다른 것이냐

보너스 : 얻기 난이도

 

 

공허 분쇄 - 쉬움

시간제한 : 공허분쇄자를 늦게 처리할수록 부담이 커짐. 즉 빠른 공격이 필요함.

첫 공새 속도 : 빠름

적 공세 대응 : 쉬움.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됨.

진행방식 : 일방적인 기지파괴. 공허분쇄자를 너무 늦게 처리하면 가아아아아아끔가다 터짐.(카운터픽이 안되서 밥값하기 힘든 상황일때 종종 발생.)

보너스 : 대천사 파괴. 매우쉬움. 날아올랐을때 빠르게 파괴할 대공능력이 있으면 뜨자마자 폭발

 

코랄의 균열 - 쉬움

시간제한 : 타이머 방식이라 널널함

첫 공새 속도 : 빠름

적 공세 대응 : 쉬움.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됨.

진행방식 : 일방적인 기지파괴. 이쪽은 순수 타이머방식이라 더 쉽다.

보너스 : 대공이 어지간히 안좋지 않고선 왠만해선 쉽게 처리됨.

 

공허의 출격 - 쉬움

시간제한 : 사실상 타이머 방식이라 널널함

첫 공세 속도 : 빠름

적 공세 대응 : 보통. 대공을 일찍 갖출 필요가 있음. 정 안되면 첫 왕복선때 포탑이라도 깔아야함. 생각보다 혼종들이 많이 공격해오기 때문에 지상공격대응도 잘 준비해야함. 다행히 적 오는 지점이 딱 두 지점뿐이라 입구막고 농성하긴 쉽다.

진행방식 : 왕복선 파괴. 일정시간 되면 스믈스믈 날아오는데 생각보다 안튼튼해서 막판 거대괴수나 로키나 모선이 뜨더라도 개내 안잡고 일점타로 요격하면 병력 갈려 나가도 클리어 하는 경우도 흔함.

보너스 : 특정 지점에 가서 적 밀어주고 공세병력 한번만 막아주면 되다보니 쉬운편. 맨 마지막 보너스 지점에 병력이 좀 있긴 한데 어차피 그때쯤이면 인구 200을 다 채우던가 아니면 풀업 극화력을 뽐낼 시기라 아주 쉽다.

 

버밀리온의 특종 - 쉬움

시간제한 : 타이머방식. 수정을 꾸준하게 주워서 연장해야함.

첫 공세 속도 : 매우 느림.

적 공세 대응 : 쉬움.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됨.

진행방식 : 수정 근처에 적을 박살내고 주워서 바치면 땡. 문제는 멀티 먹기가 좀 늦고 적 공세가 멀티로도 자주 오는 편이라 미니맵을 보고 공세병력을 주시해야함. 이게 가장 중요하고 기동성이 느리면 고생하기 쉬움. 둘 다 느리다면 한쪽은 수비를 담당해주는것도 좋다. 본진 멀티간 거리를 이동하는 시간이랑 적 공세가 본진이나 멀티로 오는 시간이나 비슷하기 때문.

보너스 : 용암도롱뇽. 한타병력 가져다 두면 초 단위로 삭제됨. 아주 쉬움.

 

 

망각행 고속열차 - 지상공세면 보통, 적이 스카이비중이 높으면 어려움

시간제한 : 사실상 타이머 방식이라 널널함.

첫 공세 속도 : 느림

적 공세 대응 : 어려움. 기차파괴를 위해 지상 중추뎀이나 폭딜이 가능해야함. 적이 스카이면 좀 대응하기 어려워짐. 그냥 어택땅 찍으면 기차 때리느라 적 병력 안잡고 기차를 패는 경우가 종종 발생.

진행방식 : 기차 파괴. 수비형 맵이지만 적들이 오는 방향이 크게 세 방향이고 거의 정해져있는 수준이라 수비에 약한 사령관이라도 할만함. 반대로 수비형 포탑플이 생각보다 잘 안됨. 적 공세를 보고 어찌 대응할지 판단할 필요가 있음. 핵미사일 주의. 테란이면 100%확률로 핵 쏴재끼니 언덕입구 근처에 포탑 권장함.

보너스 : 목표열차를 파괴하고 짜투리시간에 기차를 프리딜 하면 됨. 보통 보너스 목표 열차에 수비병력이 거의 없다시피함. 기동성이 느리거나 화력이 딸리면 어려울수 있음. 

 

과거의 사원 - 보통

시간제한 : 완벽한 타이머방식.

첫 공세 속도 : 약간 빠름. 돌 깨기 끝내주는 저글링이나 광전사같은것들은 영웅 나오기 전에 공격들어옴.

적 공세 대응 : 쉬움.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됨.

진행방식 : 사원 방어가 목표인데 문제는 맵이 넓고 공세 방향이 4방향+강습으로 6시 본진+1시방향에 내려옴. 기동성이 뒷받침이 안되면 포탑플이 어느정도는 필요할 수 있음. 가장 성가신건 살변갈링링. 갈귀대처 재대로 안되면 사원이 터진다. (공중병력이 없으면 사원에 꼬라박. 테란은 건물을 띄워 몸대기를 하거나 저그는 대군주 다수를 띄워 몸대기를 하는 방법도 있음. 토스는 갈귀가 박기 전에 빨리 처리하자.) 둘 다 기동성이 딸리면 휘둘리기 딱 좋으니 공수를 서로 담당해줄 수 있는 플레이가 있으면 좋다. 여력이 되면 1시의 섬지역 적 본진을 밀어버리자. 더 이상 적들이 포탑을 못깐다.

보너스 : 천정석 파괴. 시간은 널널하고 발악패턴도 겁나 쌘건 아니라서 쉽게 파괴 됨.

 

광부 대피 - 보통

시간제한 : 거의 타이머 방식. 함선 근처에 접근해 시간을 단축시키는건 가능

첫 공세 속도 : 느리고 아몬의 병력이 아닌 감염체가 먼저 함선을 공격하러 감.

적 공세 대응 : 사령관마다 다른데 일단 주 상대병력이 감염체라서 강력한 지상화력에 밴시를 처리할 대공능력을 어느정도 갖춰야함. 아몬의 병력 대부분 수송선으로 이동시켜 공격해오니 대공이 강력하다면 드랍하기도 전에 처리가 가능. 후반공세가 되야 혼종을 포함한 적 병력이 몰려 오는데 이때쯤 되면 아군도 충분히 강해질 시간임으로 막을만함. 그리고 애초에 아몬의 군대 자체가 다른 맵에 비해 많이 오는 편도 아님.

진행방식 : 함선이 이륙할동안 지키기 위해 공격간 다음 굳히기를 하는 맵. 안갯속 표류기랑 비슷한 느낌. 멀티가 감염체 한가운대에 있어서 이걸 밀어야 하며 근처 두 지점이 멀티랑 가깝기 때문에 첫 함선 방어하면서 멀티를 먹게 된다. 물론 앞당길 수도 있다. 다만 운 나쁘면 멀티 근처 함선이 활성화 되지 않아 멀티가 늦어지거나 혼자 막아야 할 수도 있음. 첫플때는 어렵고 약간 요령만 생기면 쉽게 대응됨.

보너스 : 섬멸전차+역병전파자인데 뜨는 순서는 렌덤. 섬멸전차가 먼저 떴을때 처음 해보는 사람은 여기서 병력을 죄다 날려먹을 위험이 있음. 대체로 패널이나 공중병력이나 영웅으로 처리하는게 속편함. 단 카락스 궤도폭격으로 처리는 하지말자. 경장갑이라 궤폭으로 처리 힘들다. 시간 오래끌면 사이클론도 나오니 주의.

 

천상의 쟁탈전 - 동맹 호응이 있으면 보통. 안도와주면 어렵거나 말귀 못알아먹으면 터짐. 강제로 안터지게 하려면 글로벌 이동기가 필요하다.

시간제한 : 타이머 방식이긴 한데 적이 천상석을 못먹게 막아버리면 연장 가능.

첫 공세 속도 : 매우 느림

적 공세 대응 : 쉬움.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됨.

진행방식 : 천상석을 두 사령관의 병력을 접근시켜 점거해야 함. 문제는 적 공세가 사방팔방으로 오다보니 둘 중 하나의 플레이를 권장하는데, 사령관 둘이 서로 나뉘어 두 라인으로 밀고 올라가거나 한쪽이 밀면 점령한 천상석을 수비라인을 그어 방어해 굳히기 둘 중 하나를 하면 쉽게 클리어 됨. 문제는 동맹이 천상석에 병력을 배치 안해줘서 시간 질질 끌리면 공세가 사방에서 치고 들어오기 때문에 어려워 질 수 있음. 즉 아몬의 군대보다 아군이 더 왠수가 될 수 있다.

보너스 : ​젤나가 피조물 파괴. 피통이 많고 근접병력만으로 잡으려 하면 생각보다 출혈이 생기기 쉬움. 그리고 피조물 위치가 좁은 곳에 있어 사거리 병력들이 버벅이기 딱 좋음. 

 

승천의 사슬 - 동맹의 호응이 있으면 약간 어려움. 안도와주면 터짐.

시간제한 : 일정시간 되거나 특정 지점까지 지나라를 밀어버리면 혼종이 강제로 지나라를 아군기지로 밀어버리니 초반에 한에서 시간제한이 있음. 작정하고 시간끌고 싶으면 맨 마지막 혼종공세까지 밀고 자원 다 파먹을때까지 놔둬도 게임이 안끝난다. 한 임무에서 몇킬이나 몇 데미지나 몇 생산 이런거 업적하기 괜찮음.

첫 공세 속도 : 빠름+두 방향으로 옴

적 공세 대응 : 보통. 카운터 병종으로 편성하면 되긴 하는데 승천의 사슬 자체가 공세 텀이 빠르고 세번째 공세부터 2티어급 병력이 무더기로 올 뿐더러 그 시기를 막고나서 바로 혼종이 지나라를 밀기 시작함. 즉 초반 병력 모이기 전에 고생하는 구조.

진행방식 : 지나라를 두 사령관이 병력을 보내 밀어 적 탈타림을 구덩이에 밀어버리면 되는데 너무 빨리 밀어도 안되고 너무 안밀어도 터지는 맵임. 즉 두 사령관이 적당히 밀당 하는 요령이 있어야 하고 그 시간에 병력을 많이 모아야함. 게다가 이 맵은 적 공세의 고급화가 빨리 진행되는데다가 멀티 먹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초반이 힘들고 중반부턴 널널함. 그렇기 때문에 패널or영웅능력이 강한 사령관일수록 게임이 쉽게 흘러간다.

보너스 : 원시생물 처치인데 공중공격이 가능해야 하고 기동성이 좋던지 dps가 좋던지 해야 쉽게 처리됨. 이도저도 아니면 병력을 더 모아서 도전하자. 폭풍함같은 병력으로 잡을꺼라면 차라리 병력을 넓게 흩뿌리는것도 방법. 어려움이랑 아주어려움이랑 공격속도차이가 상당하니 어려움 생각하고 아주어려움 원시생물 처치하러 가면 고생하기 쉽다.

 

안갯속 표류기 - 어려움

시간제한 : 시간이 거의 정해져있다시피 함. 아주 어려움 한에서 맨 마지막 로봇을 고의로 터친다 해도 한 1분정도밖에 단축이 안됨.

첫 공세 속도 : 빠름

적 공세 대응 : 보통. 카운터병종으로 편성하면 되는데 이 맵이 어려움인 이유는 후술

진행방식 : 테라진 가스를 체취하는 로봇을 보호하면 되는데... 문제는 적 공세가 여러 방향에서+아주 많은 물량으로 공격해온다. 거기다가 로봇이 여기저기 흩어져서 이동하며 수비범위가 생각보다 좀 되다보니 기동성이 느리면 대응하기도 안좋다. 도착지점을 미리 밀어둬야 하기 때문에 공격+방어를 둘 다 할 수 있어야 한다. 게다가 적 본진에서 오는 공세는 혼종도 섞여 온다. 첫번째 보너스목표와 세번째 테라진 채취 시기랑 겹치다보니 둘 다 챙기다 터지는 경우도 빈번함. 

보너스 : 원시생물 구출인데 첫 지점에는 세번째 테라진 채취 시기랑 겹치기 때문에 까다롭고 두번째 원시생물 구출타이밍은 마지막 테라진 채취 타이밍 전이라 시간은 여유 있지만 그 기지에 최상급 혼종도 배치되어있어 어줍잖은 병력으론 밀 수 없다. 쉽게 말해 까다롭다. 정 급하면 원시생물을 포획한 감옥만 때리기라도 하자. 제한시간이 멈춘다.

 

죽음의 밤 - 어려움

시간제한 : 없음. 대놓고 없는 유일한 맵.

첫 공세 속도 : 느림

적 공세 대응 : 거의 대부분이 감염체들이지만 문제는 특수 감염체. 첫날밤에 운빨똥망겜의 진수를 보여줌. 개인적 대응 난이도는 왕저글링<부식군주<<혀감염충 순. 그리고 4일차쯤 되면 아몬의 군대도 공격해오기 시작함. 특히 테란. 핵쏜다. 유령사관학교 빨리 찾아 박살내자. 나도 어디쯤에 있는지 잘 모르겠는데 12시 지역이 가장 유력하다.

진행방식 : 타워디펜스의 끝을 볼 수 있는 맵. 느긋하게 하자면 한없이 느긋하게 할 수 있다. (테란은 건물 다 띄워서 구석에 박아놓고 패널or영웅으로 승부보는 방법도 있음.) 그런데 왜 어려움이냐... 공격과 수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면 게임이 터진다. 밤에도 밖에 나가서 무조건 썰어재끼는게 답인 사령관도 있고 무조건 포탑+광역장거리공격병력으로 우방타워랜드 건설하는게 답인 사령관도 있기 때문에 사전에 협의를 해서 진행을 하는게 좋다. 적 건물을 최대한 처리하지 않으면 사방에서 몰려오는 감염체때문에 출혈이 쌓여 게임이 터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 특히 이 맵은 자원도 모든 협동전 맵 중에서 가장 적기 때문에 출혈이 계속되면 말라죽기 딱좋다.

보너스 : 바이로파지. 쉽게 하고 싶다면 적 건물 거의 다 부숴놓고 나중에 처치하면 아주 쉽게 됨. 피통은 많은데 보통 바이로파지 혼자 덩그러니 있는 경우가 많아 쉽게 잡는다.

 

 

 

 

참고로 겜 하는 요령이 생기면 어느 맵을 하건 다 비슷비슷함.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NewBlueRider (2017-04-30 23:45:2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노바분들 광부대피 섬멸전차 팁
해방선 두기에 방어드론 붙여주면 둘이서 깬다.
싸이클론이나 방어로봇 많다 싶으면 그리핀 한번 날아가면 끝
NewBlueRider (2017-04-30 23:49:1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죽음의 밤 유령 사관학교는
12시에 하나
5시에 하나
아이콘 엔세이 (2017-05-01 00:06:0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에에...공허의 출격 마지막 공세 힘들지않나요..?
gomchy (2017-05-01 01:25:5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빡시긴 합니다. 로키나 거대괴수 우루루 나오면 아주 곤욕이죠. 그럼에도 난이도 보통으로 둔건 그 맵 자체가 대놓고 공중공격이 필수인 맵인걸 알기 때문에 다들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시기까지 대비가 안된다면 패널스킬을 난사하거나 죽을거 각오하고 마구 들이받아 왕복선만 부숴 클리어한 전적도 생각보다 많아서 난이도를 보통으로 생각했습니다.
소년기호 (2017-05-01 11:10: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공허분쇄 첫 공세 속도 느린편 아닌가요? 코랄균열같은건 노바 기준으로 광물 빡빡하게 모아 해병 뽑아야 겨우 첫 공세 맞추는 느낌이라면 공허분쇄는 해병 생략하고 엔베에 기술실, 스팀팩까지 여유있게 올리고 노바로 첫 공세+첫 공허분쇄자 위치 클리어를 하거든요. 오히려 테라진맵보다 공세가 느린 축이던데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