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1483 [내 메뉴에 추가]
글쓰기
작성자 천령 (121.171.xxx.138)
작성일 2015-12-09 19:47:22 KST 조회 1,710
제목
저는 개인적으로 아르타니스가 후지다고는 생각해 본적이 없네요

올 업적하면서 느낀것이지만, 아르타니스가 약하다 라는 인상은 거의 느낀 적이 없습니다.

 

아주 어려움 극초반 러시는 광전사 1~2기로 어그로 끌고 그 위에 궤도 폭격 쓰면 되고, 두 번째 러시는 여차하면 태양 포격 쓰면 되고.

 

저그, 테란 일때는 기사단 테크를 타고 토스 일때는 로공 테크를 타긴 하는데, 고위 기사가 있으면 아르타니스는 깡패입니다.

 

파괴자.. 는 좋긴한데, 그거 쓸 바엔 그냥 광전사+집정관+고위기사가 더 낫더라고요; 이렇게 해도 지상 화력이 밀리는 것도 아니고.

 

동력장 투사를 적 병력 위에 뿌리고 그 옆에 광전사 소환하는 플레이를 하면 그냥 갈려나갑니다.

 

저는 용기병은 초반에 바위 깨는 용도로 딱 두마리 소환하고 그 이상은 안만들고, 파괴자도 안뽑고 하니 더 빠르고 여유있는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가스도 의외로 남아 적 병력 바로 옆에 고위 기사 소환하고 폭풍 뿌리기도 되더군요.

 

근데 제가 느낀건 만렙의 아르타니스라 ㅋㅋㅋㅋ 저렙 때는 힘들긴 했죠. 그건 인정합니다.

 

제 개인적인 재미 순위는 레이너(산개컨, 허리돌리기)>아르타니스(폭풍, 환류 뽕맛)>스완(제가 메카닉성애잡니다.)>자가라(화끈하게 몰아치는게 재밌더라고요.)>케리건(히드라 럴커가 좋긴함)>보라준(암기암기암기암기)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베플 아이콘 DogDRAKE (2015-12-09 23:29:10 KST)
3↑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 모든 사령관 최적화와 이해도만 제대로 됐다면, 아주 어려움 클리어하는데 무리 없습니다.
말이 아주 어려움이지 이해도만 높은 2인 플레이면 무슨 사령관 조합이든 놀면서 깨는 현 실정에서, 클리어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

아르타니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해도와 최적화가 이뤄지기 전에는 입문자가 상대적으로 너무 '힘들어 한다' 라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는 점이에요. 상대적으로 이건 스완도 마찬가지지만.. 스완에 비해 아르타니스가 과장됐다는 건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아르타니스가 전체적으로 문제 있는 건 맞습니다.

물론 궤도 폭격으로 초반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숙련자가 아님 실수나기 쉬운데다, 레이너의 밴시소환(물론 레이너는 이후가 문제지만..)이나, 보라준 그림자 파수대, 자가라의 맹독충 둥지에 자동생성 공짜 맹독충처럼 숙련도가 없어도 초반을 매끄럽게 넘길 수 있는 능력과는 차이가 커요. 게다가 레이너의 밴쉬나 보라준의 그림자 파수대는 수비용 사용 후에도 초반에 멀티지역 바위 파괴에도 도움을 줍니다.

광전사 공격횟수 너프 때문에 초반이 특히 아프게 느껴지는 아르타니스인데, 수비하고 바위까지 부수는 다른 사령관 보면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낄 때가 많아요. 그래서 광전사 공격횟수, 전체적 기동성, 용기병 소폭 상향같은 것 중 단 하나만 해줘도 할만할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거예요.

게다가 기동성도 큰 차이 못느끼겠다고 하시는데 다른 사령관 보시면
보라준은 중요지점에 암흑수정탑으로 대규모 귀환으로 동해번쩍 서해번쩍, 암흑기사의 점멸
자가라야 회전률이 높고 애들 자체가 이속이 상상을 초월하는 애들이라 기동성이 좋은 편이고
캐리건도 잘 쓰는 사람을 만나기 어렵고 초반에 캐리건 말고는 효율적 수단이 없다는 단점이 너무 크게 부각돼서 그렇지 사원수비 임무나, 열차 방어임무에서 오메가망으로 동해번쩍 서해번쩍하는 플레이로 기동성 나름 좋습니다. 스완도 유저수가 너무 적어서 자주 보진 못하는데 헤라클래스 + 탱크로 목표물 치고 빠지기 기동성이 상당히 좋습니다. (사원임무에서 공허분쇄자나, 보너스 목표 제거할 때 혹은 열차 임무 2곳 방어해야할 때 빛을 보죠) 반면 아르타니스는 기동성 증가 효과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유닛들 이속은 물론 비슷하지만.. 사실상 주력부대를 한번에 이동시킬만한 수단이 전무합니다.
보라준의 암흑수정탑 대규모 귀환은 아르타니스에게 있었어야 했어요. 보라준은 그거 없어도 op입니다. 그랬으면 레이너나 캐리건 동급 취급은 안당했을 겁니다. 보호막 없애고 대규모 귀환같은 스킬 있었어도 괜찮을 법 했습니다...

팀원이 0.5분도 못하는 분 만났을 때 단점이 또 많이 부각되는데, 결국 태양포격, 궤도폭격 다 써도 안 될만한 팀원일 때는 정말 답답합니다. 반면 보라준이나 자가라였으면 그런 거 없이 걍 솔플도 되는 사령관이니 상대적인 박탈감이 심하게 들어요. 그래서 더욱 더 아르타니스가 저평가 받는 느낌도 크고요, 또한 같은 프로토스 사령관인 보라준이 심각하게 OP라서 비교 당하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더더욱 그러는 것도 있습니다.
으허헝허허허헝 (2015-12-09 20:11: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확하게 말하면 아르타니스가 약하다... 라기 보다는 협동전 상황자체가 아르타니스에게 너무 안좋다고 생각해요.

제가 아래에도 글을 썼지만 사실 클리어하는 데는 무슨사령관으로 뭘해도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아요. 만렙되면 알타로 땡광전사에 용기병 소수만 뽑아도 무난하게 1인분 이상할 수 있거든요.

알타 지상군이 진짜 강력하고 좋기는 한데 그러한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그렇게 과도한 강력함을 얻고 기동성을 뺏기니 그 외의 단점만 부각되어 보이는거죠.

우선 가장 큰 문제가 기동성, 두 번째 문제가 빠른 자원활성화의 문제죠. 그렇다고 후반에 압도적인 강력함을 뽐낼때 즈음에는 임무가 끝나버리고...

저도 개인적으로 사령관 자체가 디자인이 잘못돼서 후지다...기보다는 알타의 장점을 살릴 무대가 없다고 보입니다.
아이콘 뭐하지 (2015-12-09 20:21:5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사람들이 말하는건 영웅끼리의 상대적 평가임. 아르타니스도 1렙부터 아주어려움했지만 어려움느낀적없이 다 깼었음. 하지만 다른 영웅과 비교하면 구리다는거죠
천령 (2015-12-09 22:00:53 KST) - 121.171.xxx.138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하지 / 다른 사령관하고 비교해도 딱히 꿀린다는 느낌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긴급 상황에 고위 기사 환류와 폭풍으로(물론 혼종이 섞이면 힘듭니다만..) 넘길 수 있고, 방어선을 뚫거나 기동성 측면에서도 타 사령관과 딱히 문제점으로 삼을만한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다만 자원 활성화와 초반 인프라 구축, 업그레이드가 힘든건 인정합니다. 기사단 테크 제대로 사용하려면 9~10분은 있어야 제대로 나오니까요.
아이컨택 (2015-12-09 23:08:2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 케리건이 제일 재미있음 저렙때 암걸렸는데 만렙찍고나니 제일 쉬움
아이콘 DogDRAKE (2015-12-09 23:29:10 KST)
3↑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 모든 사령관 최적화와 이해도만 제대로 됐다면, 아주 어려움 클리어하는데 무리 없습니다.
말이 아주 어려움이지 이해도만 높은 2인 플레이면 무슨 사령관 조합이든 놀면서 깨는 현 실정에서, 클리어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

아르타니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해도와 최적화가 이뤄지기 전에는 입문자가 상대적으로 너무 '힘들어 한다' 라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는 점이에요. 상대적으로 이건 스완도 마찬가지지만.. 스완에 비해 아르타니스가 과장됐다는 건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아르타니스가 전체적으로 문제 있는 건 맞습니다.

물론 궤도 폭격으로 초반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숙련자가 아님 실수나기 쉬운데다, 레이너의 밴시소환(물론 레이너는 이후가 문제지만..)이나, 보라준 그림자 파수대, 자가라의 맹독충 둥지에 자동생성 공짜 맹독충처럼 숙련도가 없어도 초반을 매끄럽게 넘길 수 있는 능력과는 차이가 커요. 게다가 레이너의 밴쉬나 보라준의 그림자 파수대는 수비용 사용 후에도 초반에 멀티지역 바위 파괴에도 도움을 줍니다.

광전사 공격횟수 너프 때문에 초반이 특히 아프게 느껴지는 아르타니스인데, 수비하고 바위까지 부수는 다른 사령관 보면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낄 때가 많아요. 그래서 광전사 공격횟수, 전체적 기동성, 용기병 소폭 상향같은 것 중 단 하나만 해줘도 할만할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거예요.

게다가 기동성도 큰 차이 못느끼겠다고 하시는데 다른 사령관 보시면
보라준은 중요지점에 암흑수정탑으로 대규모 귀환으로 동해번쩍 서해번쩍, 암흑기사의 점멸
자가라야 회전률이 높고 애들 자체가 이속이 상상을 초월하는 애들이라 기동성이 좋은 편이고
캐리건도 잘 쓰는 사람을 만나기 어렵고 초반에 캐리건 말고는 효율적 수단이 없다는 단점이 너무 크게 부각돼서 그렇지 사원수비 임무나, 열차 방어임무에서 오메가망으로 동해번쩍 서해번쩍하는 플레이로 기동성 나름 좋습니다. 스완도 유저수가 너무 적어서 자주 보진 못하는데 헤라클래스 + 탱크로 목표물 치고 빠지기 기동성이 상당히 좋습니다. (사원임무에서 공허분쇄자나, 보너스 목표 제거할 때 혹은 열차 임무 2곳 방어해야할 때 빛을 보죠) 반면 아르타니스는 기동성 증가 효과가 단 '하나'도 없습니다.

유닛들 이속은 물론 비슷하지만.. 사실상 주력부대를 한번에 이동시킬만한 수단이 전무합니다.
보라준의 암흑수정탑 대규모 귀환은 아르타니스에게 있었어야 했어요. 보라준은 그거 없어도 op입니다. 그랬으면 레이너나 캐리건 동급 취급은 안당했을 겁니다. 보호막 없애고 대규모 귀환같은 스킬 있었어도 괜찮을 법 했습니다...

팀원이 0.5분도 못하는 분 만났을 때 단점이 또 많이 부각되는데, 결국 태양포격, 궤도폭격 다 써도 안 될만한 팀원일 때는 정말 답답합니다. 반면 보라준이나 자가라였으면 그런 거 없이 걍 솔플도 되는 사령관이니 상대적인 박탈감이 심하게 들어요. 그래서 더욱 더 아르타니스가 저평가 받는 느낌도 크고요, 또한 같은 프로토스 사령관인 보라준이 심각하게 OP라서 비교 당하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더더욱 그러는 것도 있습니다.
아이콘 DogDRAKE (2015-12-09 23:33:00 KST)
2↑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간단히 말하자면 아르타니스는 전체적으로 딱딱해요, 범용성이 좀 떨어져요.
으허헝허허허헝 (2015-12-10 02:05:1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 그나마 좀 어렵다고 평가받는 공허의 출격 맵에서 아주어려움으로, 아군 사령관이 1레벨이라 가정하고 클리어 여부를 생각해보면 나머지는 어찌어찌 깬다쳐도 알타는 진짜 힘들듯.
아이콘 선봉대 (2015-12-10 09:04:40 KST)
0↑ ↓0
센스 이미지
파괴자 풀라고 렙이 높인지면 쓸만 합니다
단, 초반이 힘들고 다른 사령관과 비교해보면 조금 효율성이 낮고
기동성도 안좋습니다
아이콘 천사사냥꾼 (2015-12-10 11:38:09 KST)
0↑ ↓0
센스 이미지
간단히 말해서 '잘 쓰면' 좋죠
근데 다른 사령관은 잘 쓰면 좋은 수준을 넘어서 날로 먹습니다.

재미는 취존영역이긴 하지만 꽤 있었음
저도 맨 먼저 만렙찍었던게 아르타니스였으니까요
추적자 (2015-12-10 11:38:49 KST) - 121.149.xxx.51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알타가 젤 꾸짐 알타 보라준15렙이고 나머지1렙이고 몇판안했봤는데 알타 진심 개 꾸짐 억지로 15렙만듬

고위기사 쓸만할떄쯤이면 8렙은 되야할텐데 1~8렙사이만 봐도 꾸진거 체감상 크게 느껴질건데
아이컨택 (2015-12-10 14:16:0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아르타니스의 최고 약점은 기동성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