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5-12-13 06:07:37 KST | 조회 | 360 |
제목 |
이상적인 WCS 시스템
|
만약 16년도 스2체제가 저렇게 된다면 잘 안보게 될듯.
솔직하게 말해서 외국선수들 뭐 끽해야 많이 쳐도 4-5명 정도 잘한다 치는데 그래봤자고
게중에서 명경기도 안나오고 보는 사람도 재미도 없음.
개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체제가 그나마 좋은거같다.
단 비자가 있는 사람으로 지역을 나눠서 경기하는게 좋을꺼같다.
WCS GSL, WCS SSL, WCS Premier 이렇게 나누고
-WCS GSL = GSL
-WCS SSL = SSL
-WCS Premier 는 WCS America Challenge, WCS Europe Challenge 에서 상위 8명씩 진출가능하도록 만들어서
16명에서 경기를 치루는것으로 하고, 각 WCS America/Europe Challenge는 예전 WCS Americal/Europe Premier랑 동일하게
생각하면 됨. 단 격을 좀 낮춘것임. 올해의 문제는 America/Europe 합치니까 미국이랑 유럽사는 선수들이 경기하러 다니기가 힘든거같음. 차라리 16명이서 경기하면 블리즈컨 같이 3일에 끝낼수 있으니까 이게 더 나은거같음.
그리고 유럽 + 아메리카 왕중왕 같은걸 가리는 자리니까 16인이라고 해도 어느정도 실력이 있는 사람이 나올꺼라 예상함.
한국인 몇명 + 외궈네임드 몇명 + 실력키운애들(뉴비) 하면 딱인거 같음.
Non WCS는 총 5개로
-IEM (4회 + 월챔1회)
-Dreamhack (4회 + 월챔1회)
-Homestory (3회)
-Redbull (4회 + 월챔1회)
-Kespa (2회) : 케스파는 사실 한국선수들 포인트가 따기 힘드니 해외대회 보상같은 개념.
구성하고 각 예선을 지역TO를 정해놓고 그 지역 비자를 가진 선수만 참가할수 있도록 해놓는것이다.
그리고 대회 오픈 기간을 각 대회랑 주최측이 잘 상의해서 WCS 끝나는 시점이나 방학등 대회 시기를 잘 조율해서
겹치는 일이 없도록 하면 참 좋을꺼같음.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이 궁금하네요
+ 추가
써놓고 보니까 루머랑 대동소이 한거같네요.
단 차이점은 글로벌파이널에 외궈 TO 한정같은거 없고, Non WCS에도 지역TO만 있는거지 사실상 제한이 없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네요.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