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7053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NoWHere
작성일 2015-04-06 01:57:25 KST 조회 491
제목
나는 아직도 wcs 체재가 좋은건지 잘 모르겠음.

다수가 아니라고 하지만

 

아무리 봐도 다리 부러뜨리고 휠체어를 준 꼴로 밖에 안보인단 말이지...

 

뭐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TuHon- (2015-04-06 02:00:4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저번에 아스카님인가가 제 글에 반박글을 다셨지만,
저는 딱히 동의되지 않은 의견이고 WCS는 씹쓰레기 리그시스템이라고 봅니다.

과도한 롤 따라하기로 말도안되는 리그 규정 도입해놓곤 주관사란 이유로 그냥 강경시행한거죠.
스2 리그를 살릴 생각이었으면 애초에 대회 열때 걷어가던 돈을 없애고 팀단위 지원을 했어야했는데
글로벌 월챔을 그렇게 하고싶었으면 티어제도나 조금 약화시켜서 도입했으면 됐을걸 이정도 자금 들여가며 리그 망하게하는것도 대단한듯...
아이컨택 (2015-04-06 02:00: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이 체제 아니었으면

gsl이 살아남았을지 궁금함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04:14 KST)
0↑ ↓0
센스 이미지
모르겠음. 최소한 2013때 스타리그를 안봤겠지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07: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cs 아니었으면 그냥 gsl 3회로 끝났겠죠. 글로벌 파이널도 없이. 그게 과연 재미있을지는 뭐 각자가 판단..
아이콘 TuHon- (2015-04-06 02:09:2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무슨 GSL3회요... 그당시 리그 안보신것 같은데..;
GSL 한달에 한번 열렸어요. 3회 시스템은 wcs 시스템 이후 도입된거구요.
아이콘 아르노르 (2015-04-06 02:09:25 KST)
0↑ ↓0
센스 이미지
WCS 아니면 GSL도 못열렸지 얘네 2013년 재정 파탄 지경에 이른거 못봄?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09:51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글로벌파이널은 wcs 없을때부터 비슷하게 존재하고 있었음. 2013도 솔직히 2012처럼 4회로 갔을테지. 그슬이 본격적으로 맛간건 2013후반기부터 20142015 거치면서임.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10:56 KST)
0↑ ↓0
센스 이미지
솔직히 곰이 주식으로 돈만 안말아었어도 필요 없는 체재라고 할텐데 참 ㅋㅋ..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11:31 KST)
0↑ ↓0
센스 이미지
2012가 7번이나 열림?...???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12:06 KST)
0↑ ↓0
센스 이미지
뭐야 댓글 어디감..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12: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슬을 무슨 한달에 한번씩 열겠나요. -_-; 2013년 wcs 시즌파이널이 얼마나 흥했는지 모름? 시즌파이널 없애고 2014년 그슬에 떠넘겨줬는데 결과는?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14:5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솔직히 2013년 좋게 봐줘서 4번 열었다쳐도 2013년 wcs에 비해 흥했을거라봄? 전혀...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16:48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아니 시즌 파이널 넘긴 이후 2014때부터 이미 휘청 했음. 2014에 다시 그슬 떠넘겨줘서 결과가 어떻냐니가 왜 나옴. 비교를 때릴려면 2012와 2013을 비교해야.. 그리고 내가 말하고 싶은건 wcs로 묶으려했다가 망가졌다는 이야기임.
아이콘 TuHon- (2015-04-06 02:17: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그때 한달에 한번인가 두달에 한번인가 기준으로 열렸습니다. 2013년은 WCS가 애초에 반강제적으로 3회를 온겜이랑 그레텍을 나눠가지게 했으니 2014년 시즌이 제대로 굴러갈리가 업었죠.

한국에서 열렸던 시파는 글쎄요 어디가 흥했다는지 잘 모르겠네요. 그 당시 직관갔을 때 오히려 전에 열렸던 gsl 결승보다도 관중이 적었는데요. 애너하임에서 열렸던 글파는 그때당시 스2자체의 인기가 어느정도 남아있던 시기니까 그랬구요.
아이콘 아르노르 (2015-04-06 02:18:26 KST)
0↑ ↓0
센스 이미지
곰티비 좆망한건 2013년 중반부터 이미 시작됐음 이건 곰데레가 제시한 자료에서 나옴 시즌 2였음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19:43 KST)
0↑ ↓0
센스 이미지
솔직히 곰티비가 아니면 WCS 병신 체재라고 까고 싶은데 곰티비가 자체적으로 말아먹어서 깔수가 없어
아이콘 아르노르 (2015-04-06 02:19:46 KST)
0↑ ↓0
센스 이미지
2013년에 가장 흥행한 리그가 글파고 그 다음이 시파입니다 이건 절대 변하지 않음 그리고 곰티비가 13년에 주식으로 돈 말아먹어서 재정파탄지경에 이르렀는데 뭔 수로 리그를 열어요 지금도 A4용지 광고에 스2디5에 욕쳐먹을대로 쳐먹으면서 여는데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20:2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cs로 묶으려다가 망한게 아니라 스스로 자멸한거죠. 2013 wcs는 흥했는데요? 굳이 리그의 흥망성쇠를 탓하려면 자날과 군심을 탓해야지 왜 엄한 wcs가 욕을 먹는거지.. 죽어가는판에 상금 다 투자하고 해외리그 연계까지 해주면서 국내 게이머들 살길 마련해준게 wcs 시스템 아님?
아이콘 아르노르 (2015-04-06 02:21:45 KST)
0↑ ↓0
센스 이미지
굳이 WCS를 열자면 롤처럼 오픈시즌 때부터 바로 열어서 외국 게이머들 풀 유지하고 이랬어야 하는건 맞는데 그렇다고 지금 WCS 자체가 병신제도라 하기엔 너무 늦었음 곰티비가 그동안 자멸을 숱하게 보여준지라 이미 재평가받은지가 옛날임 굳이 따지자면 가뜩이나 없는 외국인 풀 작정하고 죽여버린게 비판받아야 마땅하겠지만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23: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정작 gsl로 연 4번 열었어도 2013년에 열렸던 wcs보다 더 흥했을것 같지도 않음. 뭐 gsl로 열리면 프리미엄붙어서 사람들이 더 온다나.. 아니 이름만 wcs지 열린건 gsl이고 똑같은데. 여기에 시즌파이널이란 획기적인 시스템까지 불어넣어줬는데 그걸 왜 wcs 탓을함. ㅋㅋ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23:03 KST)
0↑ ↓0
센스 이미지
위에 썼듯 솔직히 나도 잘모르겠음. 이걸 뭘 타임머신을 탈수 없는 노릇이고.

알고 싶은건 왜 어느 순간부터 해외리그들이 몽땅 사라져버리고 메이저 해외리그들은 IEM이랑 드림핵만 남았는가가 알고 싶음
아이콘 아르노르 (2015-04-06 02:24:25 KST)
0↑ ↓0
센스 이미지
내가 NoWHere님 말에 동의하는건 곰티비의 그 자폭쇼만 아니었어도 WCS 존나 깠을거임 지금도 깔건 많음 MLG 통수질부터 시작해서. 근데 WCS 아니면 국내는 끝장난다는게 너무 커서 못까는거지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24: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cs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시즌파이널 폐지임. 그슬에 상금 7천만원 몰아준게 노답.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25:38 KST)
0↑ ↓0
센스 이미지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3 2012 다른게 있다면 그슬이 파이를 다 못가져가는게 있음. 뭐 파격적으로 흥행했네 어쩌네 했지만 실상은 이익을 절반으로 갈라먹은거니까.

만약에 곰이랑 현 스포티비가 갈라먹듯이 했다면 상관 없었겠지만, 온겜은 결국엔 2013 이후로 아무것도 안했잖음.
아이콘 Lupinus (2015-04-06 02:26:18 KST)
0↑ ↓0
센스 이미지
ㄴ그당시 저도 참 단순했던게 시파폐지후 그슬 상금 급상향발표때만해도 아주 적절한 행동이라며 박수쳤었던...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26:48 KST)
0↑ ↓0
센스 이미지
솔직히 곰이 폭망만 안했어도 저 체재는..

다리 부러뜨려서 휠체어 줄 계획이였는데 자기 스스로 다리를 부러뜨린 꼴로 보임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26: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wcs자체로 해외리그가 어느정도 축소가 된건 맞는데 wcs로 리그 자체가 탄탄해지고 국내나 해외나 주요리그가 생긴 이점도 있죠. 뭐 이것가지고 wcs가 잘못된거라고 판단하긴 어렵다고 봄.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28:59 KST)
0↑ ↓0
센스 이미지
그리고 항상 말하는건데. 히어로즈 나오면 블쟈는 WCS에 자금 끊을 꺼임. 애초에 개발진도 같고 얻을 이익이 없으니 매년 줄이다가 없앨거임. 그런건 지금 다 알잖음? 그런 의미에선 결국엔 리그가 자생을 못하니 부작용이 있음.
아이콘 TuHon- (2015-04-06 02:31: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아르노르님 의견하고 제 의견하고 비슷함. 결과론적으로 자국리그가 조금씩 풀이 좁아지니까 외국리그랑 같이 폭파하자는게 되버린게 WCS시스템입니다. WCS초창기 규정이 해외 메이저 대회를 다죽여놨는데 한국 살았으니 됐다는 논리같은데 그렇게 보기에는 스1과는 다르게 스2는 외국비중이 컷습니다. 차라리 처음부터 해서 외국 풀유지를 도왔어야지 한국이랑 비슷하게 만들어서 그냥 다같이 자폭한 꼴이 된 리그시스템인데 그게 잘됐다니. WCS리그에서 덕을 본건 한국리그밖에 없는데

시파 그파는 WCS자체를 그 다른 메이저대회 다포기하고 그 두단위 대회만 초점으로 진행됐던 리그인데 그정도 흥행도 안나왔다면 말이 안되죠. 그때 스2가 외국에서 인기가 얼마였는데

그때 초창기 규정이 WCS리그 진행 중에는 다른 티어 대회를 진행할 수 없다는 규정 티어제도, 다 외국입장에선 말도안되는 것 투성이었는데...참
자금을 그정도로 끌어들일 거였으면 먼저 주최사에서 받아가던 돈을 없애는거 선이었죠. 그것 때문에 MLG부터 다른 대회가 얼마나 그때 말이 많았는데

+곰TV가 그당시 자기가 자폭했던건 모르고 있었네요. 그런 상황이었으면 GSL은 유지가 안됐을수도 있었겠네요. 저는 리그 자체만 보고 있었으니.
아이콘 NoWHere (2015-04-06 02:32:44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으으 이글에서 내 필력의 한계를 느꼈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을 그대로 적어놓은 글인듯
나한테이러면아니되오 (2015-04-06 02:54: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http://www.fuzic.nl/events/?order_by=average&order=desc&in=event
wcs 자체로 한국리그가 덕본건 모르겠고 2013 wcs 흥행카드였었고 꽤 잘나가던 리그 방식 바꿔서 바로 캐망한건 맞음.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