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매실농사
작성일 2014-12-19 23:11:59 KST 조회 616
제목
게이머별 최전성기 나이 정리해봄

스1 


기욤 (2000) : 만 18 

김동수 (2000) : 만 19

임요환 (2001) : 만 21 

홍진호 (2002) : 만 20

박정석 (2002) : 만 19
강민 (2003) : 만 21

이윤열 (2003) : 만 19

박용욱 (2003) : 만 20

서지훈 (2003) : 만 18

최연성 (2004) : 만 21

박성준 (2004) : 만 18

조용호 (2005) : 만 21

박태민 (2005) : 만 21

오영종 (2005) : 만 19

마XX (2006) : 만 19 

김택용 (2007) : 만 18 

송병구 (2008) : 만 20

이제동 (2009) : 만 19 

이영호 (2010) : 만 18

허영무 (2011) : 만 22



스2 


정종현 (2011) : 만 20

임재덕 (2011) : 만 29

장민철 (2011) : 만 20

이정훈 (2011) : 만 18

문성원 (2011) : 만 23 

이승현 (2012) : 만 15(...)

이신형 (2013) : 만 20

김민철 (2013) : 만 22 

백동준 (2013) : 만 19  

주성욱 (2014) : 만 22 

어윤수 (2014) : 만 22 




뭐 빼먹은건 너그러이 봐주시고 

여튼 결론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절정기 평균나이가 절대 23이 될 수가 없습니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투견(레이너특공대) (2014-12-19 23:16: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조용호는 2006년에 첫 우승이었는데요. 이 때가 23세였음. 조용호도 84년생인지라. 그리고 최전성기를 첫 우승했던 해로 잡는다면 세세하게 틀린 부분이 꽤 많아요. 이윤열은 2002년도에 첫 우승해서 그 해를 KPGA TOUR를 쓸어담았죠.
투견(레이너특공대) (2014-12-19 23:17: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뭐 이영호는 자신의 최전성기가 2010년인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데 이제동의 경우에는 어느 때가 가장 전성기였나는 좀 꼽기 애매하긴 함. 한 해에 몰아서 우승했다거나 이런 건 없이 2007~2010년도까지 총 5회 우승을 했으니까요.
다정다정해 (2014-12-19 23:19:24 KST)
0↑ ↓0
센스 이미지
ㄴ 공감. 이제동은 진짜 꾸준한게 강점인듯.
아이콘 매실농사 (2014-12-19 23:19: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사이언 MSL 토너먼트 대부분이 2005년에 있었고 결승만 2006년에 해서 2005년으로 집어넣었고 84년생 조용호가 2005년이면 스물하나 맞습니다

그리고 저거 첫우승 기준 아니구요. 이윤열 앞으로 떙기면 평균은 스물셋에서 더더욱 멀어지겠네요
투견(레이너특공대) (2014-12-19 23:22:1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근데 사실 2003년도 조용호의 전성기가 될 수는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2006년도가 본인의 프로게이머 인생에서 가장 절정기였죠. 사실 우승했을 당시의 나이를 기재해야 가장 정확한 겁니다. 조용호는 저 때 당시 프로리그에서도 팀내에서 공헌도가 꽤 높았고 MSL 우승과 스타리그 준우승을 했던 시기였었죠.
아이콘 매실농사 (2014-12-19 23:23:1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2003년은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2004에서 2005로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조용호가 우승한 MSL은 2005년이라고 분명히 말씀드렸을텐데요? 리플 읽고 답하시는건가요?
투견(레이너특공대) (2014-12-19 23:25:2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리플 읽고 답하는 건 맞고요. 대회의 시작은 2005년도였지만 우승했을 당시는 2006년 2월이니까 우승했을 당시의 나이를 기재해야 맞는 겁니다. 사실 최고령 우승 최연소 우승도 우승했을 그 때 당시의 나이로 기록했었는데요. 시즌이 언제 시작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죠. 어느 때 우승했느냐가 기록상 중요한 거지. 그리고 2003년이면 조용호가 동시기에 양대리그 결승에서 다 이윤열을 만나서 준우승 했을 시기입니다.
아이콘 매실농사 (2014-12-19 23:28:3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 저는 2003년에 대해서 언급한적이 없는데 2003년 이야기는 왜하는지 모르겠네요
2. 조용호선수는 2006년 1월 14일에 우승했습니다. 2월이 아니라요
3. 설령 조용호가 2006년에 우승했다쳐도 만 22세입니다 23세가 아니라요

4. 설령 조용호가 그때 스물셋이라고 해도 게이머 절정기의 '평균' 이 스물셋이 될 수 있는지 없는지 저 통계를 보고 느끼시는게 없나요?
아이콘 갓도우 (2014-12-19 23:29:42 KST)
0↑ ↓0
센스 이미지
조용호 전성기는 2005년이죠. 2006년을 기점으로 조용호는 엄청난 하락세였는데요..
아이콘 갓도우 (2014-12-19 23:30:10 KST)
0↑ ↓0
센스 이미지
2006년을기점으로 연속으로 진출해왔던 스타리그진출기록도 깨지고 프로리그에서도 출전기회를 거의 잡지 못하고
투견(레이너특공대) (2014-12-19 23:36:4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매실농사// 아, 제가 기간을 잘못 맞힌 것은 미안합니다. 하지만 어쨌든 우승할 그 당시의 나이로 기록을 해야 맞ㄴ다고 생각하고 평균 23세가 될 수 없다는 건 매실농사 님의 객관적인 통계를 보니까 이해가 되었습니다. 잘 알겠습니다.

갓도우// 2006년 자체가 조용호가 양대 결승에 진출했던 시기입니다. 결코 그 시기 자체가 하락세라고 할 수는 없어요. 그리고 조용호의 하락세 자체는 스타리그 결승 이후입니다. 프링글스 MSL 시즌2,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2 이 즈음부터 하락세로 돌아섰지요. 프로리그에서도 부진하기 시작했던 시기였구요. 그러니까 2006년 상반기까지는 전성기였고 하반기부터 하락세였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아이콘 디케이찬양 (2014-12-20 00:01:17 KST)
0↑ ↓0
센스 이미지
임재덕이 진짜 대단하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