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따지고보면 토스는 스1 때부터 계속 테란, 저그보다도 유닛 중심으로 굴러가던 종족이었기 때문임.
사실 토스는 냉정히 말해서 테란과 저그에 비하면 유닛이 바로 바로 빠르게 뽑혀진다거나 그런 종족은 아님. 유닛은 대체적으로 비싸고, 대체적으로 느리게 뽑히다보니, 결국엔 유닛이 강력한만큼 유닛 하나하나를 잘 써야하고, 잘 보존해야할 필요가 잇었던 것임.
헌데 스1때부터 잘 보자면, 토스의 유닛들은 대체적으로 그러기가 쉽지 않는 경향이 있었음. 오히려 유닛 보존률이 높았던 쪽은 테란 메카닉 쪽이었고, 테란 메카닉들의 화력에 토스들은 어거지식으로 물량으로 가고가고 또 간 끝에 간신히 테란과 대체적으로 엄대엄을 맞출수 있었던 것임. 그리고 이것이 어쩌면 테란본좌들에게 토스들이 털렸던 이유이고. 왜냐하면 테란 본좌들은 그만큼 유닛들을 잘 다루고 그랬고, 때문에 유닛 하나하나를 다뤄야했던 토스들은 유닛손해보면서 지지치고 그랬을것이거든.
그나마 테란 경우에는 아비터 등으로 유닛 손해를 덜보는 방향이 가능해서 그런대로 굴러갔는데...저그는???
저그 얘네들은 개드라러쉬랑 아드저글링, 이런 애들만 보면 알 수 있다시피, 싼 주제에 토스 유닛들에 비해 가성비도 좋았음. 그리고 이런 애들을 극복하는 방법은 토스로서는 하템과 리버 수준이었는데, 얘네들은 비쌌고, 얘네들 역시도 유닛 갉아먹히면 진짜 피눈물이었음. 따지고보면 저그전 역시도 토스는 될 수 있으면 유닛 손해를 적게 볼려고 했었고, 저그는 토스한테서 유닛들을 갉아먹거나 하는 구조였다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저그는 토스들을 갉아먹기 쉬웠던 반면에 토스는 그러는 방법이 제한되었으니...;;;; 그리고 초반에 약했다거나 하는 요인도 다 토스로서는 유닛으로 전부다 설명할 수 있을정도로 토스는 스1 때부터 분명 유닛에 의존했던 종족이었음.
그리고 이런 토스의 특성을 블리자드는 조금씩 깨달아서였을가??
자날에서는 파수기 등의 등장으로 인해서 유닛 손해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플레이하는것이 가능해졌음. 따지고보면 한때 선고기가 유행했던 것도, 그리고 멸뽕도 다 유닛손해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상대를 이기는 방법들인데...전부다 따지고보면 유닛으로 다 설명이 가능할 정도. 물론 테란과 저그도 유닛이 중요하긴 하지만, 토스만큼 유닛이 중요한 종족도 따지고보면 없는 편이니...그 무감타에게 토스가 휘둘렀던것도 무감타는 유닛 인성비와 가성비 전부다 토스들을 능가하다보니까 모선의 소용돌이에 의존할 수 빆에 없었던 구조임....
그리고 이런 유닛을 중요시여기는 것 때문에 초반부터 어떻게든 일꾼을 확보하면서 자원을 캐고 유닛을 뽑는 것이 다른 종족보다 더 중요했는데, 자날 때는 그러기가 진짜 쉽지 않아서 울며 겨자먹기로 파수기를 모으면서 앞마당 가져가야 했고, 그로 인해서 핵심 유닛들의 출현이 늦어지고 그랬으니...거기다가 오히려 초반 유닛 효율이 좋았던 것은 해불이기도 했었고....결국 초반부터 고개를 숙이고 앞마당 가져가는것도 따지고보면 유닛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러던 것이 군심 들어서 모선핵이 등장하고, 이젠 충분히 유닛 손해를 줄이면서 초반 확장을 가져갈 수 있게 되어서야 드디어 불안했던 토스가 완성될 수 있었던 것. 아니 멀리갈 필요 없이 모선핵 하나만 나온것만으로도 토스가 얼마나 할만해졋는지를 고려해보면 얼마나 토스가 유닛 중심으로 굴러가는 체제인지 알 수 있음. 그리고 이런 유닛 중심으로 테란과 저그보다 더더욱 굴러가다보니까, 약점이 딱히 없어야하는 편임.
아니, 약점이 없는 편이라기보다는, 약점을 충분히 유닛으로 커버하면서 유닛 이득을 줘야 토스가 할만해지는 것임. 진짜 약점은 약점대로 있는데, 그것을 유닛으로 커버할 수 없거나, 유닛의 큰 손해를 입으면서 막아야하는 구조라면 토스는 진짜 답이 없는 편. 이것이 토스들이 개드라를 잘 막지 못했던 이유엿고, 지금 군심에서 토스가 강성해진 이유이기도 하고.
정리하자면, 원래부터 토스는 유닛 중심으로 굴러가는 체제이다보니, 약점 역시도 유닛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여지를 줘야하는, 오히려 밸런스형 종족에 걸맞는 편임. 다만 블쟈는 그걸 늦게서야 깨달았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