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4-12-09 00:00:13 KST | 조회 | 472 |
제목 |
김도우 저평가는 포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거지
|
정윤종이 꾸준히 잘했니 뭐니 하면서 하는데 32강 - 준우승 - 8강 - 4강 - 16강 - 8강으로 사실 GSL 성적 딱히 꾸준히 잘했다고 할 수도 없음 그렇다고 티어 대회를 잘했느냐? 면 그것도 아니지 근데 자날 때의 포스에 팬들의 영향력이 겹치면서 마치 꾸준히 최상위권이었다는듯이 포장됨
김유진의 경우에도 올해는 되게 포장 잘 됨 IEM 월챔은 대회가 자체적으로 워낙 마케팅이 성공한 케이스라 거기서 우승한 김유진이 덕을 정말 많이 봤고 핫식스컵도 크게 다르지 않음 케스파컵도 알게 모르게 주성욱과의 경기가 영향을 많이 끼쳤지
근데 김도우는? 꾸준하지 않았다지만 꾸준을 논하기엔 김유진만 봐도 꾸준한 것만큼 단기 대회 임팩트도 무시 못함 종빨 논란이 커서? 그럼 글파 때 진작 종결지어졌어야 함
물론 정윤종의 경우 자날의 포스, 김유진은 한번 우승할때는 정말 압도적인 다전제를 보여왔으니 그 부분도 감안해야겠고 김도우가 너무 극과 극을 오가기도 했지 근데 제일 중요한 건 김도우가 극과 극을 오갈때 최하위권을 오가면 우스운자라면서 비난받는데 비해 최상위권에 근접해도 단 하나 좋은 쪽의 포장을 받아본 적이 없다는거임
난 갠적으로 김도우가 너무 팬층을 모으지 못한게 큰거 같음 결국 이런 이미지는 팬심이 정말 크게 작용하는데 (특히 ~탑 논할때 팬덤 크기 절대 무시 못함) 김도우는 너무 모이지 못했음 스2디5 등의 불명예스러웠던 올해 그슬 행보 때문에 그 우승자인 김도우가 피해본 것도 있고 해설이 제대로 포장 못해준게 너무 크지 않았을까 (비단 그슬뿐만이 아님 케스파컵, 글파 당시 중계진들도 문제라고 생각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