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토스마레긔
작성일 2014-08-28 14:05:15 KST 조회 477
제목
국내 GSL이 어려워서 해외로 간게 대다수에요.

이건 부정 못함.


왜그러냐면 해외로 진출한 선수들의 대부분이 코드S 32강에서 탈락하고 가거나

코드A에서 탈락하고 가거나하는 시나리오를 밟았거든요.


경쟁도 심하고, 실력이 있어도 언제 광탈할지 모르는 국내보다 안정적으로 프리미어를 유지할수있는

해외가 훨씬 낫다고 판단하고 가는거죠.


초기에 WCS 지역변경한 선수들은 대다수가 이런 과정을 걸쳐서 넘어갔어요.

그리고 그렇게 넘어간 선수들이 생각보다 환경도 좋고, 성적도 잘내고, 벌이도 더 좋으니까 

점점 더 많은 선수들도 넘어가게된거구요.


개인적으로 최지성, 정지훈이 넘어간건 좀 아쉽지만 다른 선수들에겐 오히려 잘된거라고 생각해요.

해외가서 더 잘되었고, 국내에 있던시절보다 실력이 더 향상된 선수들도 있으니까요.



아무튼... 사실상 국내에 남아있는 선수들은 딱 2부류뿐입니다.

1. 협회 기업팀소속 

- 프로리그 출전을 해야하니까 해외로 지역변경을 할 수 없고, 연봉을 받기때문에 해외로 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2. GSL에 대한 자부심과 도전

- 협회 기업팀은 아니지만 이전에 우승을 했었고, 국내 리그에서 다시 정상에 오르겠다는 욕심을 가진 선수들.

여기에 해당되는 선수들이 이신형, 박수호같은 선수들인데... 이마저도 거의 대부분의 선수들은 포기하고

이미 지역변경을 해버렸죠. 이제 국내에 도전하는 비협회 선수들이 몇 남지 않았습니다. 

저는 이 선수들에게 동기부여를 해줄 방법이 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SiTaeja (2014-08-28 14:07:5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렇죠. 태자, 폴트, 짝지, MC 등 일부 선수들 제외하고는 거진 코드 b로 떨어지거나 s 진출 실패하고 갔죠.
아이콘 아스카님 (2014-08-28 14:08:3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다만 ㅁㅊㅁㅁ가 빠는 테란선수는 그 곳에서도 우승을 못한다는게...
SiTaeja (2014-08-28 14:10:0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초창기엔 정종왕, 가장 최근엔 양희수 선수가 코드b로 떨어지자마자 유럽,북미 진출해서 바로 우승한 선수들이구요. 태자 같은 선수도 인터뷰로 국내 리그에선 경쟁이 더 힘들다고 인터뷰 했구요.
아이콘 토스마레긔 (2014-08-28 14:11:09 KST)
0↑ ↓0
센스 이미지
저도 장민철 선수 좋아하는데 장민철 선수도 32강에서 탈락하고 지역변경했어요.
윤영서 선수도 16강 탈락이후에 지역변경을 했죠.

근데 어쨋든 해외가서 우승할정도의 실력을 갖춘 선수들은 잘된거라고보고있어요.
아이콘 린성왕 (2014-08-28 14:11: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동감합니다
SiTaeja (2014-08-28 14:13: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동기 부여 해줄 방법은 결국 리그가 자주 열리는 길밖에는 없는거 같아요.
아이콘 토스마레긔 (2014-08-28 14:13:42 KST)
0↑ ↓0
센스 이미지
최지성 선수가 제일 아쉬운건
2013 시즌2 파이널 우승을 찍을정도로 커리어하이를 달리고있었는데 32강 탈락후 지역변경했다는게 너무 아쉽죠. 정지훈선수도 8강까지 올라갔는데 바로 지역변경했구요
SiTaeja (2014-08-28 14:19: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폭격기 정도 실력이 되면, 변수가 많은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거진 시드권 근처에서 놀며, 프리미어리그 진출을 꽤 할 수 있기 때문에 현명한 선택을 한거라고 볼 수있죠. 나이도 나이니 만큼ㅜ
아이콘 블루베리베리 (2014-08-28 14:20:06 KST)
0↑ ↓0
센스 이미지
국내가 경쟁 더 심한거도있지만 해외에있으면 각종 소규모 토너먼트나 중간규모 대회 많은데 국내에선 gsl이나 프로리그밖에없고.. 드림핵이나 iem 이런거 다 몇일만에 끝나는대회 맨날열리는데 gsl이나 프로리그는 대회기간이 엄청길고 이러니.. 쩝
SiTaeja (2014-08-28 14:20: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2티어급 해외리그 조차도 국내에서 놀면 예선 뚫기가 바늘구멍이니 힘들고.. 결국 국내 리그 증가 밖에는 답이 없네요.
rlaeh (2014-08-28 14:41:5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냥 해외나간 선수들은 경쟁력이 떨어져서 나간거 상금헌터짓 할려고 한국에선 막장이니
아이콘 MiNi_JJang (2014-08-28 20:46: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폭격기가 2013 시즌3에서 탈락했던 건 2013 시즌2 파이널이 끝나자마자 시즌2 리플레이를 공개해버려 최지성의 토스전 전략이 백일하에 노출된 상태에서 대처할 시간적 여유도 없는 상태에서 시즌3에 임하다 보니 결과가 그렇게 된 것밈. 물론 연습할시시간이 짧아 상대선수에 대한 분석이나 대처가 미흡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리플레이가 다음 시즌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공개된 것이 가장 큰 타격이었을 것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