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다중복이래 | ||
---|---|---|---|
작성일 | 2013-12-27 23:39:08 KST | 조회 | 200 |
제목 |
스타는 이명박도 해보긴했고,,,원희룡도 관전하고 그랬으니
|
국민 가수, 국민 아이돌이라고 해도 특정 층에게는 인기 없을 수 있음.
그렇지만 그것이 반론으론 부적절함.
(문근영 안좋아하는 층이 있었다고해서 그게 근거가 되었나?)
스타도 마찬가지.
스타는 다각도로 봤을때 인정할만하니까 국민겜이라고 칭해주는거임.
1. 국가 거물들도 알고 있음.
- 여당 거물 ( 이명박, 원희룡등)이 스타를 알고 있음. 관전할 줄도 앎.
(임요환 플레이보고 얼굴 상기되서 눈가 촉촉해진 거보면 관전할줄 안다는 거겠지.)
2. 대딩, 직딩 커뮤니티에서 최고 인기게임이었음.
- 명문대, 지방 거점대 그리고 전문대에서조차 대회가 열렸었음.
대학 갓 들어가면 남자들 친목질 매개체에는 스타가 존재.
3. e스포츠로는 독보적.
- 약 10년간 본좌위치였으며, 프로게이머하면 스타가 떠올릴 정도이기도 하고 대우도 가장 좋음.
롤은 지금 가장 잘가나가는 팀이라고해도 연봉 3천??안된다고 들었음 (롤 게시판에서)
스타는 가장 잘나가는 선수의 경우 그의 10배쯤 됨.
(인지도가 높다는 방증 )
4. RPG로는 따라갈 수 없는 실제 유저층.
- rpg 는 던파니, 리니지니 오토같은게 너무 많음.
리니지는 오토가 한서버에 2천명인데 반해 실유저는 500명 정도.
- 피방 통계자료보면 던파,리니지 이런건 한사람이 3~5시간씩 해서 점유율을 끓어올리는데
스타, 롤같은 게임은 한사람이 1시간 ~ 1.5시간씩이지만 여럿이 해서 점유율을 끌어올림.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