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961년부터 90년대 말까지 한국에서 시행된 대표적인 만화 탄압 정책.(참고로 이 탄압정책이 명문화 된건 1968년도였다) 그리고 이 계보는 후손에 의해 이어지게 되는데...
[개요]
이때 일어난 만화 검열제 시행과 1967년에 설립한
합동출판사의
독점체제 구축이 겹쳐지면서 한국만화계는 큰 타격을 받았다. 당대 만화가들 입장에선 그야말로 내우외환인 셈.(시장적으로만 따진다면 지속적인 성장을 했지만
질적 저하가 가속화되었다.)
1968년 정부는 이후로 출판되는 모든 만화는 검열을 받아야 하며, 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만화는 연재할 수 없다는 내용의 제도를 시행했다. 검열 기준으로는 성적인 내용, 폭력적인 내용, 정치 비판적인 내용 등이 있었으며 이 시기에 만화라는 존재 자체를 뭔가 사회 암적인 것으로 포장하여 '만화는 불량배들이 보는 것' 이라던가 언론에서는 어린이 사고가 일어나면 우선적으로 만화에서 원인을 찾으려 했다. 요새 사고 일어나면 게임에서 원인 찾는것과 아주 비슷하다.
만화 검열제 기간 동안에는 당연히
자유로운 창작 자체가 아예 불가능했기 때문에(심지어 어느 분량까지 그릴 수 있는지도 정했던 적도 있었다. ㅎㄷㄷ) '건전한' 어린이 명랑만화, 스포츠 만화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 때 작품 중에는 물론 꼽아보자면 명작들도 많고 출판량은 늘었지만
만화의 질은 해방 전보다도 떨어졌다 라고 만화계에서는 자평한다.(이는
합동출판사의 독점도 한 몫했다.)
그렇다고 해서 검열의 기준이 일정했는가 하면, 그 것도 아닌게 기준 자체가
완전 엿장수 마음대로였다. 하단부에 적힌
기준에 걸렸는데도 출판된 경우가 꽤 있었고(예:
공포의 외인구단) 심지어 반공만화의 경우
폭력성, 선정성이 엄청나도 멀쩡히 출판되었다.
(후략)
-----
물론 엔하위키에 올라와 있는 자료를 전부 신빙성 있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이지만, 이에 근거하여 인과관계/상관관계를 살펴본다면 단순한 질적저하때문에 탄압정책이 시행된 것은 아니라는 것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요의 첫 번째 문단이 이해하기 쉽게 적어놓았네요. 또한 명문화된건 68년도지만 암묵적(?)으로 시행된건 61년도 부터인 것 같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