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
||
---|---|---|---|
작성일 | 2013-11-08 09:35:53 KST | 조회 | 665 |
제목 |
[팀리퀴드 번역] 블리즈컨: 통계
|
A. 승률
통산승률
Overall winrates
1. 종족전별 최고승률: 이제동, 저그전 (74 퍼센트)
2. 종족전별 최저승률: 이제동, 토스전 (53퍼센트)
3. 최다 통산전적 (방송경기): 장민철 (1414 경기)
4. 최소 통산전적 (방송경기): 백동준 (207 경기)
5. 백동준은 69경기마다 트로피를 들어올림. (3번우승)
6. 정종현은 80퍼센트에 가까운 5전제 이상 승률을 보유함.(78.95 퍼센트, 38전 30승) 하지만 8번의 패배중 5 번의 패배는 블리즈컨 참전 선수에게서 나온것.
7. 김민철은 블리즈컨에 나오는 선수들중 외국인에게 한세트도 지지 않은 유일한 게이머.(그리고 첫상대는 나니와)
시뮬레이션 결과: 우승/ 결승/ 4강/ 8강/ 16강
Win Top 2 Top 4 Top 8 Top 16
-----------------------------------------------------------------
INnoVation 18.93% 15.24% 18.81% 30.24% 16.77%
Polt 13.48% 7.46% 14.01% 17.36% 47.68%
MMA 10.97% 7.53% 17.31% 20.47% 43.71%
TaeJa 9.51% 10.21% 17.57% 16.17% 46.54%
Dear 7.08% 8.95% 17.52% 12.99% 53.46%
sOs 6.93% 6.58% 13.00% 34.07% 39.42%
Mvp 6.35% 4.97% 10.41% 25.96% 52.32%
NaNiwa 5.37% 5.01% 11.90% 21.75% 55.97%
Bomber 4.65% 4.54% 11.14% 23.38% 56.29%
Maru 4.57% 6.59% 12.24% 21.96% 54.65%
HerO 3.86% 4.26% 8.69% 22.60% 60.58%
Soulkey 2.89% 5.16% 13.53% 34.40% 44.03%
MC 2.03% 4.58% 9.01% 39.03% 45.35%
Jaedong 1.99% 4.28% 12.62% 43.07% 38.04%
aLive 0.70% 2.46% 7.11% 27.77% 61.96%
duckdeok 0.70% 2.18% 5.12% 8.77% 83.23%
B. 상금
통산상금
1. 백동준의 상금중 98.4 퍼센트는 wcs에서 획득.
2. 장민철의 상금중 오직 9.4 퍼센트만 wcs에서 획득.
3. wcs 2013 최다 누적상금: 이신형 (66,000 불)
4. 2013년 통산 최다상금: 이신형 (83,200 불)
5. 정종현은 올해 어느해보다도 적은 상금을 획득함.(2010년부터, 올해상금: 55,000불, 올해 상금 12위)
6. 한이석은 블리즈컨 참전 선수중 가장 적은 상금을 획득. (28,840 불)
7. 이신형이 준우승을 하지 않는다면, 블리즈컨 우승자는 올해 최고 상금 보유자가 됌.
C. 우승
1. 최성훈과 윤영서가 각각 3번의 우승으로 올해 최다 우승을 함.
2. 16인중 이제동, 한이석, 나니와, 김유진만 올해 우승이 없음. 이제동과 김유진은 역대 스타2 우승 자체가 없음. 하지만 시즌 파이널에서 준우승을 기록함.
3. 김민철은 비 WCS 대회에서 포인트를 전혀 얻지못함.
4. 나니와는 WCS 대회에서 가장 적은 포인트를 얻음 (2000 포인트)
5. 김민철이 WCS 대회에서 가장 많은 포인트를 얻음 (6250 포인트)
6. 최성훈은 한국인들만 꺾고 WCS 아메리카 시즌 3를 우승함
7. 이제동은 올해 4번의 결승에 진출하면서 최다 결승전 진출자가 됌.
8. 백동준이 마지막으로 우승한지 11일이 지남. (시파 3)
9. 이제동이 마지막으로 우승한지 1173일이 지남. (WCG 2010 한국 국대 선발전)
10. 정종현이 9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짐. (소규모 토너먼트 포함하면11개)
11. 백동준은 가장 적은 토너먼트 참여 횟수를 가짐 (3회)
D. 경기
1. 정종현은 올해 졌다고 생각된 경기를 두번이나 역전함. (VS TEFEL, VS 이신형)
2. 정종현의 저그전 최근 10전 성적은 10전 10승
3. 최지성은 코드A로 떨어진 후 단 3경기만을 치뤘고, 같은 기간 다른 선수들에 비해 최저의 경기수.
4. 이신형은 팀리퀴드 올해의 명경기들의 최다 경기를 플레이함. 2위의 2배가 되는 경기수. 하지만 대부분은 이신형이 패배한 경기들.
5. 아직 WCS 결승전에서 단 한기의 전투순양함이나 우주모함도 나오지 않음.
6. 프프전 선제련소 빌드는 2012년 김학수가 코드S에서 처음 썼을때와 똑같이 이기기 불가능함.
7. 테테전과 저저전은 WCS 결승에서 나오지 않은 유이한 매치업
E. 기타
1. 김민철은 여태껏 모든 토너먼트의 첫경기를 패배함. 블리즈컨은 그의 첫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세트가 아니라 3선 2선승제나 그런것)
2. 이신형의 새 소프트웨어 패치가 업데이트됌! 이제 테란전과 토스전에 48.54 퍼센트 강화되지만, 저그전에 21.07 퍼센트 약화됌 (뭔소린지 모르겠네요.)
3. 리퀴드의 두 선수, 송현덕과 윤영서는 결승에서 만날 수 있음. 지난 2번의 5전제나 7전제에서 송현덕은 윤영서를 압도함.
4. 최지성은 우승상금 10만불을 시즌2 우승상금에 보태서 집을 사는데 쓰려고함.
5. 모든 시파 결승전은 상당히 원사이드한 결과가 나옴(12대 0). 블리즈컨에서도 마찬가지라면 16대 0이 나 올것.
6. 작년 wcs 챔피언중(파이널, 대륙, 국가별 모두) 한명도 올해 wcs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함. 그나 마 정윤종이 19위로 가장 높은 성적을 보여줌.
7. JIM이 시파 2 에 진출했다면, 한이석은 김동현보다 75 포인트가 모잘라서 그파 진출에 실패했을것.
8. 그파 결승에는 모든 종족전이 가능함. 저저,프프,테테전을 포함해서.
9. 4가지의 WCS 결승 리매치가 가능함: 문성원VS장민철, 이신형VS김민철, 이신형VS김유진, 최지성VS이 제동
10. EG팀킬 결승 역시 가능함.
11. 그파의 최소 경기수는 46. 최대는 77.
12. 그파는 역사상 어느 스타2 대회보다 큰 상금 풀을 가짐.
13. 팀리퀴드의 블리즈컨 스레드는 벌써 276 페이지를 채움. 이는 많은 GSL 결승 스레드들보다 많은것.
출처: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434663
|
||
|
|
||
|
|
||
|
|
||
|
|
||
|
|
||
|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