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아이콘 Re_Surrection
작성일 2013-10-19 00:21:40 KST 조회 256
제목
우리나라의 거지근성(?)이 스타2 몰락의 원인일까

야심한 밤 시험준비 중, 공부하기 싫어서 놀다가 끄적입니다.

스2의 국내부진 이유중 하나로 '스1 공짜로 하는 근성을 못버려서 스2가 부진하다'라는 주장이 심심찮게 보입니다

초기에 69라는 가격은 충격과 공포였고(저 역시 69 호갱님) 이후 40으로 가격을 내렸지만 싸다고 보기는 힘든 가격입니다.

 

물론 '롤에는 십만원씩 쓰면서 스2 4만원은 비싸다고 하냐!'라고 말할 수 있지만, 롤 스킨이 개당 5천원~만원 정도의 가격에서 형성되는 걸 고려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험기피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는 걸 고려할 때 5천원*8과 4만원의 부담이 서로 다르다는건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또한 롤 스킨에 10만원을 썼다는건 5000*20의 결과인데요, 이는 매번 스킨을 사는 5000원의 소비에서 얻는 기쁨이 5000원보다 크다는걸 의미하기 때문에(그것도 20번이나!) 조삼모사 격의 어리석은 소비가 아닌, 충분히 가치있는 소비입니다.

 

또한 디아3의 경우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게임 소비에 인색한 거지근성을 가지고 있다는 명제가 깨졌습니다. 비싼 게임이더라도 가치가 있다면 지갑을 여는것이 우리나라 게이머였습니다(물론 지금의 디아3는...)

 

스타2가 가격 인하 이벤트를 하지 않았던 것 역시 아니었습니다. 자날 막바지이긴 했지만 와우 결제를 하면 스2를 껴주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이벤트를 했었죠(7천원정도 투자하면 자날 살 수 있었습니다) 이 이벤트는 대부분의 게임관련 커뮤니티를 들썩이게 했지만 당시 래더 인구 증가는 천명이 채 안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마지막으로 자날은 우리나라에서 40만장 이상 팔린 히트작이었습니다. 가격이 좀 더 쌌다면 판매가 좀 더 늘었을 수도 있었겠지만, 69 혹은 40의 가격임에도 자날 살만한 사람은 거의 다 샀다고 볼 수 있는 판매량입니다. 자날이 비싸서 국내에서는 부진하다는 말은 40만의 구매자를 애써 외면하는 표현이며 판매량만 놓고 보면 자날은 부진한 작품, 혹은 실패작이 아닙니다. 이런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부진하다면 다른 곳에 원인이 있겠죠.

 

스2가 망한 이유야 게시판에서 논문이 몇개씩 쓰일 정도로 항상 현란한 키배를 불러일으키는 떡밥이지만, 수 많은 이유(?) 중에서 가격 논쟁 혹은 거지근성이 원인으로 수면에 떠오를 때마다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흠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걸까요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압도적인힘 (2013-10-19 00:23:0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가격도 하나의 원인이라는 거지

그게 전부라는게 아니죠.
아이콘 아스카님 (2013-10-19 00:23: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비싼게 문제가 아니라 값을 못하니까 문제
압도적인힘 (2013-10-19 00:23:3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2가 망한 이유에 대한 논쟁에서 제일 답답한건

사람들이 저마다 다양한 이유를 대고 그걸 다 합쳐야 맞는 말인데

그 각각의 이유가 무슨 제일 중요한 이유인것마냥 착각한다는 점임.
Re_Surrection (2013-10-19 00:23:4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ㄴ 가격경쟁력에서 힘이 없다는 말은 동의합니다. 하지만 적지않은 사람들이 '스1 공짜로 하던 근성'을 원인으로 드는 것을 이해할 수 없기에 쓴 글입니다
아이콘 스탑뿡끼 (2013-10-19 00:24:1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2는 안망했어요..

스1같은 미친겜이랑 비교해보니 망한거 처럼 보이는것일뿐...............
2011소켓으로갈아탄다 (2013-10-19 00:24:2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타 게임 대비 비싼건 맞음.

가격방어도 너무 완강하고
아이콘 KoKoMaRaynor (2013-10-19 00:25:0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물론 '롤에는 십만원씩 쓰면서 스2 4만원은 비싸다고 하냐!'라고 말할 수 있지만, 롤 스킨이 개당 5천원~만원 정도의 가격에서 형성되는 걸 고려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험기피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는 걸 고려할 때 5천원*8과 4만원의 부담이 서로 다르다는건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또한 롤 스킨에 10만원을 썼다는건 5000*20의 결과인데요, 이는 매번 스킨을 사는 5000원의 소비에서 얻는 기쁨이 5000원보다 크다는걸 의미하기 때문에(그것도 20번이나!) 조삼모사 격의 어리석은 소비가 아닌, 충분히 가치있는 소비입니다.

이 부분 맞는 말

유비트 1코인에 500원 별거 아닌것 같은 그 동전 하날 지금 10만원째 쓰고 있어서 압니다
2011소켓으로갈아탄다 (2013-10-19 00:25:18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그리고 그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킨 절대적인 원인으로 스1자체가 워낙 광범위하게 무료게임란 인식 덕분.

디2도 크게 다르진 않았지만 스1만 하진 않았고
2011소켓으로갈아탄다 (2013-10-19 00:25:47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근데 확실히 같은가격이어도 나눠서 쓰는거랑 한방에 쓰는거랑은 체감이 다름
아이콘 BHR (2013-10-19 00:26:02 KST)
0↑ ↓0
센스 이미지
디아3때 생각하면 예전에 비하면 살겜은 돈주고삼

다만 스투는 울나라기준으로 그정도 돈을 지불하고 살정도의 메리트를 느끼지못햇다 이거라봄
아이콘 prism nana (2013-10-19 00:26:14 KST)
0↑ ↓0
센스 이미지
정확히는 롤에 비해 흥행이 덜함임.
아이콘 지금은태연시대 (2013-10-19 00:26:48 KST)
0↑ ↓0
센스 이미지
왜 돈을주고 구입하고도 즐기지 않는 사람이 많은지를 생각해야죠. 저도 자유의 날개는 팔릴만큼 팔렸다고 봅니다.
2011소켓으로갈아탄다 (2013-10-19 00:26:50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결정적으로 오베를 몇달간 완전공짜로 풀어서...
아이콘 outlook.com (2013-10-19 00:26:59 KST)
0↑ ↓0
센스 이미지
롤스킨에 10만을 쓰는 사람은 스2가 대중적인 게임이었다면 분명 구매했을 사람들입니다.
4만으로 내렸을땐 이미 스2는 국내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긴 힘들었구요. 이미 낙인이...;

분명히 가격도 영향을 끼쳤습니다만,
가장큰 원인은 출시 당시에 아직도 스1은 최고의 인기 E스포츠였다는 점.
그리고 당시 스1에 비해 스2는 결과적으로 뛰어난 점이 없었습니다. 스1팬들을 스2로 끌어들일 만한 뛰어난 점이....
2011소켓으로갈아탄다 (2013-10-19 00:27:5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2010년 당시면 주작사건 한창 시끌시끌할 타이밍
아이콘 꿈의여명 (2013-10-19 00:31:43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69000원이라 망했다, 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69000원이 진입장벽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해석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