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강박관념
작성일 2013-09-30 14:36:15 KST 조회 549
제목
(펌)스1 브루드워 1.08패치 내용

2.1 테란


  • 발키리
    • 미사일당 데미지 증가
    • 가속도와 약간의 속도증가
    • 생산시간 감소
  • 이로써 미묘하게 느렸던 속도가 레이스와 별 차이 없는 수준으로 늘어났지만 우리가 다 알만한 이유 때문에 여전히 쓰이지 못하다가, 먼 훗날 발리앗, 발리오닉으로 빛을 보게 되었다.


  • 사이언스 퍼실리티
    • Irradiate research가격 150/150->200/200으로 증가
    • 야마토건 개발비용 150/150 -> 100/100감소
    • 생산시간 감소
  • 1.08테란의 유일한 너프점인 이레디에이트 개발비용 증가가 있지만 그전부터 이레디에이트가 워낙 사기여서 너프의 의미가 거의 없었다.


  • 미사일 터렛
    • 터렛 건설비용 100->75
  • 이로써 방어건물 중 가장 허약함을 자랑했던 미사일 터렛을 타 종족의 방어건물의 절반값에 부담없이 지을 수 있게 되었다.


  • 팩토리
    • Charon Missile Booster research 개발비용 150/150 -> 100/100으로 감소
  • 아래의 골리앗 사정거리 패치와 더불어서 골리앗을 쓸 만한 유닛으로 만들어준 계기가 되었다.


  • 골리앗
    • 지상 사정거리 증가
  • 1.07까지, 너무나 짧은 지상 사정거리 때문에 히드라리스크, 드라군만 만나면 그냥 터져죽어야 했으나 이 패치로 인해 숫자만 되면 싸울만 하게 변경되었다.


  • 드랍쉽
    • 스피드 증가
    • 가속도 도입
  • 최악의 가속도와 스피드를 자랑했으며 수송유닛 중 유일하게 가스를 먹던 드랍쉽의 패치로 인해 드랍작전이 어느 정도 편해졌으며 가속도의 도입으로 오래 이동할수록 속도가 빨라진다. 이후 테테전의 양상이 변화하는 계기를 맞게 된다.


  • 배틀크루저
    • 서플라이 감소 8 -> 6
  • 위의 야마토 건 개발비용 감소와 더불어 배틀크루저의 버프내역이다. 특히 서플라이가 8이던 시절에는 배틀크루저를 간다는 것은 거의 올인성 플레이었기 때문에 가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번 패치로 인해서 배틀크루저 체제를 하면서도 지상군도 유지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이 점은 캐리어에서도 동일

2.2 프로토스


  • 드라군
    • 생산시간 증가
  • 드라군의 생산시간이 질럿과 동일하던 시절, 테란은 초반부터 문을 두드려 오던 드라군 푸쉬에 완전히 죽어났으나 이 패치로 인해 사정이 조금 좋아졌다.


  • 스카웃
    • 생산비용 300/100 -> 275/125
  • 하늘의 왕자였던 시절을 지나 점점 하늘의 왕따가 되어가던 그 때 생산비용의 감소가 있었으나 문제의 핵심을 피한 채 패치를 감행했다....솔직히 저것도 비싸다.


  • 캐리어
    • 서플라이 감소 8 -> 6
  • 배틀크루저와 동일


  • 하이 템플러
    • 스톰 데미지가 128 -> 112로 감소
  • 프징징이 가장 문제시 했던 패치 중 하나로 사이오닉 스톰으로 러커를 한방에 죽이지 못하게 되었다. 이 패치로 인해 1.07 당시만 해도 대저그전 최고의 효율을 자랑했던 질템러시가 러커 하나 때문에 완전 끝장났고 저프전 밸런스도 6:4 정도에서 7:3, 심하면 8:2까지 가버렸다.


  • 질럿
    • 실드/에너지 80/80 -> 60/100으로 변경
  • 이로써 질럿은 폭발형 공격에 더 강해지게 변경되었다. 스파이더 마인을 3번 밟아야 죽게 되었고 질럿을 미친듯이 잘 잡던 히드라리스크에게도 강해졌다. 심지어는 만피시 야마토 건 한방에도 안 죽고 버티는(그래봤자 빈사 상태지만) 위엄을 보여준다.


  • 커세어
    • 디스럽션 웹 지속시간 40 -> 20으로 감소
  • 테란을 관광태우면서 찜쪄먹는 빌드 중 하나인 테프전 커세어-드라군 빌드(웹으로 탱크를 바보로 만들고 드라군으로 밀어버리는)가 사장되었다. 또한 이 패치 덕분에 3번째 미션 이벤트에서 집중하고 있지 않으면 지원받은 드라군을 잃어버릴수도 있게 되었다.

2.3 저그



    • 가격 하락(100/100)
  • 그래도 오랜 시간 동안 깜짝 전략이나 눈요기 외에는 쓰이지 않았지만, 브루드 워 극후반에는 레이트 메카닉에 대한 대항책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 울트라리스크
    • 서플라이 감소
  • 이로써 오리지날 시절의 완벽한 쓰레기에서 탈피하여 테란, 프로토스전의 최종병기가 되는 단초가 이루어졌다. 참고로 목동저그 체제는 이 패치가 이루어진 한참 뒤었다.


  • 스포닝 풀
    • 가격 인상 150 -> 200
  • 저그를 울린 첫번째 패치 내용으로써 이로써 그전까지 맹위를 떨치던 4드론, 5드론등의 극단적인 초반 러쉬가 사장되어갔다.


  • 히드라리스크 덴
    • 럴커 개발비용 증가
    • 히드라리스크 발업 개발비용 증가
  • 저그를 울린 두번째 패치로 히드라 발업 개발비용은 땡히드라의 약화를 가져왔고 럴커 개발비용의 증가는 스톰 데미지의 약화를 감안한 내용이기도 하였으나 이후 테란에게 휘둘리게 되는 단초를 제공하게 되었다. 참고로 1.08 베타 버전이 나왔을때랑 유일하게 다른 패치 중 하나인데 다른 내용은 럴커 개발비용 증가가 아닌 럴커 생산비용 증가로서 럴커 생산비용이 1.08 베타 당시에는 75/125 였다. 즉 럴커 하나 뽑으려면 히드라비용 75/25 까지 합쳐서 150/150이 필요 했던 것. 스톰 데미지 약화를 생각해도 이건 너무 했다고 생각했는지 생산 가격은 롤백하고 개발비용이 증가되었다.


  • 퀸스 네스트
    • 부르들링 개발비용 100/100으로 저하
  • 퀸의 가격 하락과 동시에 이루어진 버프.


  • 성큰 콜로니
    • 체력이 400 -> 300으로 감소하고 아머는 1 -> 2로 증가
  • 미묘한 패치인데 아머가 증가함으로써 빠른 연사력으로 승부하는 마린, 질럿, 저글링 등에는 강해지고[3] 체력 자체가 확 줄어버림으로써 시즈탱크, 아콘, 드라군에게는 약해졌다. 성큰 콜로니가 1.07패치까지 드라군에 너무 강했던 탓에 이런 패치를 했던 것.

    --------------------------------------------------------------------------------------
      출처: 엔하위키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아이콘 멍충악 (2013-09-30 14:37:41 KST)
    0↑ ↓0
    센스 이미지
    브루드워 테사기의 기틀을 마련한 패치 ㄷㄷ;;
    아이콘 LunaSea. (2013-09-30 14:38:50 KST)
    0↑ ↓0
    센스 이미지
    발키리 골리앗 조합은 골키리임
    아이콘 해병대장 (2013-09-30 14:40:59 KST)
    0↑ ↓0
    센스 이미지
    예전에는 저그 프로토스가 쉽고 상위권으로 가면 테란이 쎘는데 ㅎㅎ
    StarGG (2013-09-30 14:48:2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1.08 진짜 초기에 저그 진짜 아물했죠 그전에 저그 강세 떄문에 맵도 테란맵인데 너무 씹테란만 나와버렸고 임요환 떄문에 방법론이나 컨트롤,전략,최적화 다 올라간 상태에 패치까지 이렇게 되서
    근데 그때 나타난 홍진호 진짜 ㄷㄷ
    아이콘 해병대장 (2013-09-30 14:51:27 KST)
    0↑ ↓0
    센스 이미지
    +_+;임요환이 잘못했네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