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XP

서브 메뉴

Page. 1 / 84250 [내 메뉴에 추가]
작성자 압도적인힘
작성일 2013-09-08 19:57:49 KST 조회 494
제목
RTS 진짜 어려운 게임인듯...


나야 손에 익고 습관이 되서 아무렇지 않게 하는 플레이도 


이걸 초보자에게 하나하나 설명하면서 가르칠 생각하면 머리가 아픔 


일꾼 뽑는것부터 건물짓고 정찰하고 유닛배치에 교전컨에...


어느 게임처럼 QWER만 일단 누르고 보라고 할 수도 없고 ㅡㅡ









지속적인 허위 신고시 신고자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 사유를 입력하십시오:

발도장 찍기
ALPACA (2013-09-08 20:00:06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제작사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배우기가 어렵고, 매니아 수도 적고,
PC 시장을 압도하는 콘솔/휴대용 게임기 시장에도 진출할 수가 없으며,
스케일은 또 오지게 크다보니 최신 기술과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고,
공정한 대결을 해야하는 일대 일 유저를 대상으로는 부분유료화 수익을 기대하기도 어려우며,
사후 게임 디자인 관리나 서버 관리도 끊임없이 해야하고
밸런스 맞추기도 상당히 어려운.

몰락한 이유가 충분히 설명가능한 장르.
유일한 장점이라면 e스포츠로서 보는 맛이 있다는 건데, 그것도 유저수가 안따라주면 말짱꽝이지라.
압도적인힘 (2013-09-08 20:03:11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참 흥한게 용한 장르임. 아마 다시는 전성기가 찾아오지 않을것 같음.
ALPACA (2013-09-08 20:06:22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90년대엔 혁신적인 장르였으니까요. RPG야 용량 부족해서 미궁이랑 레벨업 노가다로 플레이타임 어거지로 늘리던 시절이고, 아니면 격투게임같은 아케이드 게임 유행하던 시절. 그런 와중에 엄청난 스케일로 전장을 관할하는 장르니 빠져들 수밖에... 그 시절 생긴 마니아들로 오래 먹고 산거고.

지금이야 MMORPG만 해도 플레이타임이 기본 수십 수백시간인데 ㅋ 오히려 사람들이 지쳐서 캐쥬얼한 게임에 빠져드는 추세고.
아이콘 예능의신 (2013-09-08 20:11:58 KST)
0↑ ↓0
센스 이미지
스케일이 크지는 않음
만들고 관리하는건 편한쪽인거 같은데
재밌게 밸런스맞게 만드는게 힘들지
StarGG (2013-09-08 20:12:5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애초에 가장 난이도 높은 게임이죠 보통 생각 많이해야하는 게임일수록 손이 여유롭고
손이 바쁜 게임일수록 생각해야하는게 단조로운 거에서 빠르게 결정하는 류의 형태인데
RTS는 물론 RTT요소가 굉장히 낮은 기존의 RTS 형태 RTS는 좀 덜 하지만
스타처럼 RTS,RTT 요소 결합이 적절히된 게임은 손하고 머리하고 다 바뻐야하니

아무튼 애초에 게이머 비중에서 어느정도 비율의 사람들만 하는 장르가 RTS죠
스1이 국내에서 비정상적으로 국민 게임이 되서 그렇지 해외쪽 보면 그전 c&c든 스1이든 워3든 현재 스2든 비율적으로 보면 그정도 사람들만 즐기는 게임이죠

물론 e스포츠로서 가장 어울리는 게임이여서 게임 자체 게이머수 보다 더 커보이는거지
ALPACA (2013-09-08 20:16:34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1이야 김대중 정권 시절 IT사업 투자열풍과 초고속인터넷 광풍을 타면서 전 국민적으로 파고든 기회를 잡았던 거고 사실 그 전에도 국내 PC시장에서는 C&C - 워2가 평정했지요. 워2 때문에 대한민국 컴퓨터 평균 사양이 바뀌었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인데. 물론 PC시장이 작다보니 스타1 만큼의 포스는 아니었지만.
사실 그 스1 마저도 독보적인 탑게임이었던건 이년정도고 그 후로는 포트리스, 디아블로2, 리니지 등의 게임들에게 자리를 뺏겼지요. 이스포츠로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ALPACA (2013-09-08 20:22:29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전성기 시절은 동시대에 비하면 스케일이 컸지요. 지금와서도 어지간한 게임들에 맞먹으려면 들어가는 자원이 어마어마하고, 투자대비 수익이 안좋음.
그리고 그 만들고 관리하는게 밸런스 관리. 다른 게임이랑 달리 걍 컨텐츠 추가한다고 되는게 아니라 나비효과를 다 계산해서 해야하는.
StarGG (2013-09-08 21:24:05 KST)
0↑ ↓0
센스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스원 전 시기 멀티 게임 기준으로 말씀하신거 같은데 그때도 판매량 생각하면 여전히 rpg가 가장 많이 팔리고 가장 많이하는 장르였죠

플래이 타임에서 하드코어 게임하고 라이트코어 게임하고 당연히 플래이 타임에서는 안되죠 그래서 mmorpg가 대부분 최상위 차지하는거고 그래도 뭐 나와서 몇년뒤에는 떨어진 반면 스1은 3~5위 거의 10년동안은 차지했죠 그리고 조금이든 몇번이든 진짜 왠만해서 다 해본 게임이라 가볐게 친구들하고 pc방 게임 하려가면 한번씩 하게 되는것도 여러가지로 국민 게임이라고 말 듣는거죠 실제 판매량에서 pc방 판매량 제외하고도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고

블리자드 rts만큼 팔리면 또 몰라도 그냥 일반적인 rts 판매량을 생각하면 수익성이 좋은 편은 아니죠 특히 서버 형태의 멀티플래이 지원하는 게임이라면 더욱
지금와서는 온라인 게임 떄문에 더더욱..

뭐 과거에는 20만장만 팔아도 본전 뽑고 이득이기는 했는데(서버 비용 제외하고)
지금은 개발비용이 늘어서 100만장 정도 아니면 수익이 좋다고 보기 힘든데
rts로 100만장 팔리는게 이제는 힘들죠 f2p로 유저 확보면 또 힘들지만 몰라도
댓글을 등록하려면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로그인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롤토체스 TFT - 롤체지지 LoLCHESS.GG
소환사의 협곡부터 칼바람, 우르프까지 - 포로지지 PORO.GG
배그 전적검색은 닥지지(DAK.GG)에서 가능합니다
  • (주)플레이엑스피
  • 대표: 윤석재
  • 사업자등록번호: 406-86-00726

© PlayXP Inc. All Rights Reserved.